튀르크족
![]() | |
![]() | |
총인구 | |
약 1억 4,000만 ~ 1억 6,000만 명 | |
인구분포 | |
![]() |
7,400만 명 |
---|---|
![]() |
1,640만 명 |
![]() |
2,770만 명 |
![]() |
817만 명 |
![]() |
540만 명 |
![]() |
510만 명 |
![]() |
1,040만 명 |
지역 | |
중앙아시아 | |
언어 | |
튀르크어파 | |
종교 | |
이슬람교, 기독교, 유대교, 텡그리교 등 | |
민족계통 |
튀르크족(Turk or Türkic People) 또는 투르크족은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시베리아에서 발칸 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 퍼져 거주하며 튀르크어족 언어를 모어로 하는 민족을 말한다.[1]
역사[편집]
중앙아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700년경부터 생존을 위한 이동과 전쟁이 반복되는 유목 문화가 싹트기 시작했다. 흔히 안드로노보(Andronovo) 문화권 종족으로 알려진 이 유목민들에게 영향을 받은 몽골로이드/코카소이드계의 튀르크족은 주로 아무다리야강과 카스피해에서부터 알타이 산맥과 톈산(天山) 산맥까지를 배경으로 활동해 오면서 돌궐 제국 등 여러 시대에 걸쳐 고유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2] 이런 점에서 안드로노보 문화를 이끈 중심 종족의 일부가 튀르크족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현대의 터키인, 아제르바이잔인과 같은 일부 튀르크족과 다르게 원시 튀르크는 몽골로이드에 가까운 형질이었다. 우즈벡, 오스만 튀르크는 코카소이드에 가까운 투라니드 그룹에 속한다. 원시 튀르크가 넓은 지역에 걸쳐 이동을 계속하면서 여러 부족들과 섞이며 합병시켜 카자흐, 키르키즈, 살라르, 투바 등 중앙아시아 동부와 북아시아의 튀르크인은 북방계 몽골로이드의 형질을 보인다. 중앙 아시아의 고대 종족들의 분포 상황을 보면, 투르크 원족(原族)들로 추정되는 집단이 주로 알타이-사얀 지대, 톈산 산맥 및 카자흐스탄 일대에 거주하고 있었다. 튀르크인들은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유럽, 서남아시아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오구즈 튀르크족은 11세기 무렵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셀주크 제국과 오스만 튀르크 제국을 건설하였다.
튀르크제족[편집]
- 원시 튀르크족 : 오늘날 튀르크 제족들의 조상이다.
- 흉노족
- 선비족
- 훈족 : 서로마 제국의 멸망에 기여한 튀르크계 민족이다. 일부 학계에서는 훈(Hun)이 흉노족의 별칭으로 쓰인 적이 있다는 점 때문에 흉노족과 연관짓기도 한다.[3]
- 괵튀르크족 : 돌궐을 건설한 튀르크 민족이다.
- 위구르족 : 위구르 카간국을 건설한 튀르크 민족으로, 오늘날에는 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다.
- 철륵
- 에프탈족 : 굽타 제국의 쇠퇴에 영향을 끼친 튀르크계 민족으로, 백훈족이라고도 불렸다.
- 오구르 튀르크족
- 킵차크족 : 킵차크 칸국의 어원이 된 튀르크계 민족.
- 쿠만족(폴로베츠족)
- 오구즈 튀르크족
- 타타르인
- 노가이인
- 투바인
- 사라족
- 바시키르인
- 야쿠트인
- 카라칼팍인
튀르크 민족 국가[편집]
- 터키 : 인구 7,400만 명
- 카자흐스탄 : 인구 1,640만 명
- 우즈베키스탄 : 인구 2,770만 명
- 아제르바이잔 : 인구 817만 명
- 키르기스스탄 : 인구 540만 명
- 투르크메니스탄 : 인구 510만 명
러시아 자치 공화국[편집]
- 알타이 공화국 : 러시아 내 공화국 인구 20만 명
- 바슈코르토스탄 : 러시아 내 공화국 인구 410만 명
- 타타르족 : 러시아 내 공화국 인구 380만 명
- 투바 공화국 : 러시아 내 공화국 인구 30만 명
- 크림 : 러시아 내 공화국 인구 200만 명
위구르 자치구[편집]
- 위구르 : 중화인민공화국 위구르 자치구 인구 800만 명
각주[편집]
- ↑ 영어에서 'Turk'는 튀르크족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반면, 'Turkish'는 대개 터키의 민족과 언어를 특정하여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터키 공화국에서 Turk의 발음은 '튀르키예' 이지만 중앙아시아에서 Turk의 발음은 '투르크'이다.
- ↑ Yunusbayev, Bayazit; Metspalu, Mait; Metspalu, Ene; Valeev, Albert; Litvinov, Sergei; Valiev, Ruslan; Akhmetova, Vita; Balanovska, Elena; Balanovsky, Oleg (2015년 4월 21일).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PLoS Genetics》 11 (4). doi:10.1371/journal.pgen.1005068. ISSN 1553-7390. PMC 4405460. PMID 25898006.
- ↑ de la Vaissière, Étienne (2015). 〈The Steppe World and the Rise of the Huns〉. Maas, Michael.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Attil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5–192쪽. ISBN 978-1-107-63388-9.
- ↑ Kristó, Gyula (1996).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ISBN 1-4039-6929-9.
- ↑ <дека името Украина доаѓа од старословенскиот поим украина што значи „гранична област“ или „крајина“{{웹 인용|url=http://litopys.org.ua/rizne/nazva_eu.htm |title=З Енциклопедії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Назва "Україна" |publisher=Litopys.org.ua |accessdate=October 31, 2011
- ↑ Maḥmūd, Kāshgarī; James Kelly (1982). Türk Şiveleri Lügatı = Dīvānü Luġāt-It-Türk. Duxbury, Mass: Tekin.
- ↑ 실크로드에 타오르는 투르크 민족주의 시사인 96호, 2009.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