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넛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coconut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Cocos nucifera | ||||||||||||||||||
![]() 코코넛의 분포 |

코트디부아르산 코코넛
코코야자(coco椰子)는 종려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며, 그 열매는 코코넛(영어: coconut)으로 부른다. 코코야자속에서 유일한 활엽수로 30미터 크기까지 자라며, 4~6 미터 길이의 날개 모양의 잎사귀와 각 작은 잎사귀들은 60에서 90센티미터 길이이다. 수명이 다해 떨어진 나뭇잎들은 나무 주위에 흩어져 코코야자 나무에게 영양분을 준다. 바다에 가까운 열대 지방 전역에 분포한다.
역사[편집]
유전체 분석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와 멜라네시아의 코코야자가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 그곳이 원산이라고 추정된다.[1][2][3][4] 코코넛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이주와 함께 인도-태평양 연안으로 전파되었다.[3][4][5][6]
코코야자의 분포[4]
이용[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354 kcal (1,480 kJ) |
15.23 g | |
당분 | 6.23 g |
식이 섬유 | 9.0 g |
33.49 g | |
포화지방 | 29.698 g |
단일불포화지방 | 1.425 g |
다불포화지방 | 0.366 g |
3.33 g | |
트립토판 | 0.039 g |
트레오닌 | 0.121 g |
아이소류신 | 0.131 g |
류신 | 0.247 g |
라이신 | 0.147 g |
메티오닌 | 0.062 g |
시스틴 | 0.066 g |
페닐알라닌 | 0.169 g |
티로신 | 0.103 g |
발린 | 0.202 g |
아르기닌 | 0.546 g |
히스티딘 | 0.077 g |
알라닌 | 0.170 g |
아스파르트산 | 0.325 g |
글루탐산 | 0.761 g |
글라이신 | 0.158 g |
프롤린 | 0.138 g |
세린 | 0.172 g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6% 0.066 mg |
리보플라빈 (B2) | 2% 0.020 mg |
나이아신 (B3) | 4% 0.540 mg |
판토테산 (B5) | 6% 0.300 mg |
비타민 B6 | 4% 0.054 mg |
엽산 (B9) | 7% 26 μg |
비타민 C | 4% 3.3 mg |
비타민 E | 2% 0.24 mg |
비타민 K | 0% 0.2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1% 14 mg |
구리 | 22% 0.435 mg |
철분 | 19% 2.43 mg |
마그네슘 | 9% 32 mg |
망간 | 71% 1.500 mg |
인 | 16% 113 mg |
칼륨 | 8% 356 mg |
셀레늄 | 14% 10.1 μg |
나트륨 | 1% 20 mg |
아연 | 12% 1.10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47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코코넛 열매 자체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팜유 등의 유지로도 사용된다.
장식이나 요리 등 실제로 코코야자의 모든 부분을 인간이 사용한다.
또한 캄보디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코코넛 껍질을 일반 나무를 대체할 신 재생 대체 연료로 매우 유용하게 쓰고 있다.[10]
코코넛야자의 잎은 연료나 바닥에 까는 바닥재로 이용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Perera, Lalith, Suriya A.C.N. Perera, Champa K. Bandaranayake and Hugh C. Harries. (2009). "Chapter 12 – Coconut". In Johann Vollmann and Istvan Rajcan (Eds.). Oil Crops. Springer. pp. 370–372 Archived April 20, 2016, - 웨이백 머신.. ISBN 978-0-387-77593-7.
- ↑ Elevitch, C.R., 편집. (April 2006). “Cocos nucifera (coconut), version 2.1” (PDF). In: Species Profiles for Pacific Island Agroforestry. Permanent Agriculture Resources, Hōlualoa, Hawai‘i. October 20, 2013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December 22, 2016에 확인함.
- ↑ 가 나 Baudouin, Luc; Lebrun, Patricia (2008년 7월 26일). “Coconut (Cocos nucifera L.) DNA studies support the hypothesis of an ancient Austronesian migration from Southeast Asia to America”. 《Genetic Resources and Crop Evolution》 56 (2): 257–262. doi:10.1007/s10722-008-9362-6.
- ↑ 가 나 다 라 Gunn, Bee F.; Baudouin, Luc; Olsen, Kenneth M.; Ingvarsson, Pär K. (2011년 6월 22일). “Independent Origins of Cultivated Coconut (Cocos nucifera L.) in the Old World Tropics”. 《PLOS ONE》 6 (6): e21143. Bibcode:2011PLoSO...621143G. doi:10.1371/journal.pone.0021143. PMC 3120816. PMID 21731660.
- ↑ Crowther, Alison; Lucas, Leilani; Helm, Richard; Horton, Mark; Shipton, Ceri; Wright, Henry T.; Walshaw, Sarah; Pawlowicz, Matthew; Radimilahy, Chantal; Douka, Katerina; Picornell-Gelabert, Llorenç; Fuller, Dorian Q.; Boivin, Nicole L. (2016년 6월 14일). “Ancient crops provide first archaeological signature of the westward Austronesian expans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3 (24): 6635–6640. doi:10.1073/pnas.1522714113. PMC 4914162. PMID 27247383.
- ↑ 가 나 Brouwers, Lucas (2011년 8월 1일). “Coconuts: not indigenous, but quite at home nevertheless”. 《Scientific American》.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Chambers, Geoff (2013). 〈Genetics and the Origins of the Polynesians〉. 《eLS》. John Wiley & Sons, Inc. doi:10.1002/9780470015902.a0020808.pub2. ISBN 978-0470016176.
- ↑ Blench, Roger (2009). 〈Remapping the Austronesian expansion〉 (PDF). Evans, Bethwyn. 《Discovering History Through Language: Papers in Honour of Malcolm Ross》. Pacific Linguistics. ISBN 9780858836051.
- ↑ Lutz, Diana (2011년 6월 24일). “Deep history of coconuts decoded”. 《The Source》.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YTN (2011년 10월 31일). “환경도 지키고 경제도 살리고...”. YTN. 2011년 11월 7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