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어스 액설로드
보이기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Julius Axelrod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출생 | 1912년 5월 30일 미국 뉴욕 |
---|---|
사망 | 2004년 12월 29일 미국 메릴랜드주 베세즈다 | (92세)
국적 | 미국 |
출신 학교 | 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 조지 워싱턴 의과대학 |
주요 업적 | 카테콜아민 |
수상 | 가드너 국제상(196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1970년) ForMemRS(1979년)[1] |
분야 | 생화학 |
소속 | 미국 국립보건원 |
줄리어스 액설로드(영어: Julius Axelrod, ForMemRS[1], 1912년 5월 30일 ~ 2004년 12월 29일)는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신경말단에서의 정보전달 물질을 발견·연구한 공로로 1970년에 울프 폰 오일러, 버나드 카츠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2][3][4][5][6][7][8]
수상 경력
[편집]- 1967년 : 가드너 국제상
- 1970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회원
[편집]참고 문헌
[편집]-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rofiles in Science: The Julius Axelrod Papers."
- Snyder, S. H. (2007). “Julius Axelro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51 (1): 81–90. PMID 18175546.
- Insel, T. R. (2006). “Introduction”.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26 (4–6): 4 p preceding 343, 343–1055. doi:10.1007/s10571-006-9074-4. PMID 16758321.
- “Julius Axelrod (1912-2004)”. 《In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49 (2): 251–252. 2005. PMID 16247945.
- Iversen, L. (1992). “Remembrance: Leslie L. Iversen, Merck Sharp & Dohme Research Laboratories, Neuroscience Research Centre, Harlow, England. "The Axelrod Lab, 1964-1965"”. 《Endocrinology》 131 (1): 4. doi:10.1210/en.131.1.4. PMID 1612020.
- “Special issue: Tribute to Julius Axelrod on the occasion of his 75th birthday”.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8 (1): 1–138. 1988. PMID 3042140.
- Anon (1970). “Nobel Prizes: Neurophysiologists Honoured (Ulf von Euler, Julius Axelrod, Bernard Katz)”. 《Nature》 228 (5269): 304. doi:10.1038/228304a0. PMID 4319740.
- Autobiography (for Society for Neuroscience; 2.2MB pdf) Archived 2012년 3월 7일 - 웨이백 머신
- Julius Axelrod Papers (1910–2004)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finding aid
- The Julius Axelrod Papers – Profiles in Scienc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Obituary at washingtonpost.com
- Kanigel, Robert, "Apprentice to Genius" ISBN 0-8018-4757-5.
- Sabbatini, R.M.E.: Neurons and synapses. The history of its discovery IV. Chemical transmission. Brain & Mind, 2004.
-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Biographical Memoir
- Interview with Dr. Axelrod in the NIH Record, Feb. 19, 1991
각주
[편집]- ↑ 가 나 다 Iversen, L. (2006). “Julius Axelrod. 30 May 1912 -- 29 December 2004: Elected ForMemRS 1979”.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52: 1–13. doi:10.1098/rsbm.2006.0002. PMID 18543469.
- ↑ Udenfriend, S. (1970). “Nobel prize: 3 share 1970 award for medical research. 1. Von Euler and Axelrod”. 《Science》 170 (3956): 422–423. doi:10.1126/science.170.3956.422. PMID 4394111.
- ↑ Raju, T. N. (1999). “The Nobel chronicles. 1970: Bernard Katz (b 1911), Ulf Svante von Euler (1905-1983), and Julius Axelrod (b 1912)”. 《Lancet》 354 (9181): 873. doi:10.1016/S0140-6736(99)80056-7. PMID 10485764.
- ↑ Shafrir, E. (1994). “Julius Axelrod, Bernard Katz and Ulf von Euler--Nobel Prize winners for the discovery of mechanisms of nerve signal transmission”. 《Israel journal of medical sciences》 30 (11): 869. PMID 7982784.
- ↑ Shampo, M. A.; Kyle, R. A. (1994). “Julius Axelrod--American biochemist and Nobel Prize winner”. 《Mayo Clinic proceedings. Mayo Clinic》 69 (2): 136. doi:10.1016/s0025-6196(12)61039-8. PMID 8309264.
- ↑ Coyle, J. T. (2005). “Julius Axelrod (1912–2004)”. 《Molecular Psychiatry》 10 (3): 225–226. doi:10.1038/sj.mp.4001650. PMID 15738927.
- ↑ Snyder, S. H. (2005). “Obituary: Julius Axelrod (1912–2004)”. 《Nature》 433 (7026): 593. doi:10.1038/433593a. PMID 15703735.
- ↑ Pincock, S. (2005). “Julius Axelrod”. 《The Lancet》 365 (9457): 380. doi:10.1016/S0140-6736(05)17814-3. PMID 15688459.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줄리어스 액설로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