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설스턴
![]() | |
출생 | 1942년 3월 27일[1] 잉글랜드 버킹엄셔주 풀머 |
---|---|
사망 | 2018년 3월 6일 | (75세)
출신 학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팸브로크 칼리지 |
주요 업적 | 인간 게놈 프로젝트[2][3][4][5] Sulston score[6] 세포 자살 유전자 규명 |
수상 |
|
분야 | 화학, 분자생물학 |
소속 |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 케임브리지 대학교 솔크 생물학 연구소 분자생물학 연구소 맨체스터 대학교 |
박사 교수 | 콜린 리즈(Colin Reese)[10][11] |
존 설스턴 경(영어: Sir John Sulston, CH, FRS, 1942년 3월 27일 ~ 2018년 3월 6일)은 영국의 생물학자이다. 2002년에 세포 자살 유전자를 규명한 공로로 시드니 브레너, H. 로버트 호비츠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상훈[편집]
- 1986년: W. 올던 스펜서상
- 1996년: 다윈 메달[7]
- 2000년: 비들상[9]
- 2001년: 에든버러 메달
- 2001년: 기사작위(Knight Bachelor) 서임[12]
- 200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 2002년: 가드너 국제상
- 2017년: 컴패니언 오브 아너(CH; Member of the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13]
회원[편집]
- 1986년: 왕립학회 회원 선출[7]
- 1989년: EMBO Membership[8]
각주[편집]
- ↑ 〈SULSTON, Sir John (Edward)〉. 《Who's Who》. 《ukwhoswho.com》 2015 online Oxfo University Press판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구독 또는 영국 공립 도서관 회원 가입 필요) (구독 필요)
- ↑ Wilson, R.; Ainscough, R.; Anderson, K.; Baynes, C.; Berks, M.; Bonfield, J.; Burton, J.; Connell, M.; Copsey, T.; Cooper, J.; Coulson, A.; Craxton, M.; Dear, S.; Du, Z.; Durbin, R.; Favello, A.; Fraser, A.; Fulton, L.; Gardner, A.; Green, P.; Hawkins, T.; Hillier, L.; Jier, M.; Johnston, L.; Jones, M.; Kershaw, J.; Kirsten, J.; Laisster, N.; Latreille, P.; Lightning, J. (1994). “2.2 Mb of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 from chromosome III of C. Elegans”. 《Nature》 368 (6466): 32–38. doi:10.1038/368032a0. PMID 7906398.
- ↑ Sulston, J.; Brenner, S. (1974). “The DNA of Caenorhabditis elegans”. 《Genetics》 77 (1): 95–104. PMC 1213121. PMID 4858229.
- ↑ Sulston, J. E.; Schierenberg, E.; White, J. G.; Thomson, J. N. (1983). “The embryonic cell lineage of the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Developmental Biology》 100 (1): 64–119. doi:10.1016/0012-1606(83)90201-4. PMID 6684600.
- ↑ Sulston, J. E.; Horvitz, H. R. (1977). “Post-embryonic cell lineages of the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Developmental Biology》 56 (1): 110–156. doi:10.1016/0012-1606(77)90158-0. PMID 838129.
- ↑ Sulston, J.; Mallett, F.; Staden, R.; Durbin, R.; Horsnell, T.; Coulson, A. (1988). “Software for genome mapping by fingerprinting techniques”. 《Computer Applications in the Biosciences (CABIOS)》 4 (1): 125–132. doi:10.1093/bioinformatics/4.1.125. PMID 2838135.
- ↑ 가 나 다 라 Anon (1986). “Sir John Sulston FMedSci FRS”. London: Royal Society. 2016년 4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John Sulston EMBO profile”. 《people.embo.org》.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2018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Kimble, J. (2001). “The 2000 George W. Beadle Medal. John Sulston and Robert Waterston”. 《Genetics》 157 (2): 467–468. PMC 1461515. PMID 11370623.
- ↑ Sulston, John Edward (1966). 《Aspects of oligoribonucleotide synthesis》. 《repository.cam.ac.uk》 (학위논문) (University of Cambridge). EThOS uk.bl.ethos.648083.
|id=
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John E. Sulston - Biographical”. 《Nobelprize.org》. Nobel Media AB. 2015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Supplement No. 1: New Year's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The Gazette》 (영어) (런던) (56070): 2. 2000년 12월 30일.
- ↑ “Supplement No. 1: Birthday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The Gazette》 (영어) (런던) (61962): B26. 2017년 6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존 설스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