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H. 허블
출생 | 1926년 2월 27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윈저 |
---|---|
사망 | 2013년 9월 22일 (87세) 미국 매사추세츠 주 링컨 |
국적 | 미국[1] |
분야 | 신경생리학 |
소속 |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하버드 대학교 |
출신 대학 | 맥길 대학교 |
주요 업적 | 시각 기관 |
수상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1978년) 딕슨상(198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1981년) ForMemRS(1982년)[2][3] |
데이비드 헌터 허블(영어: David Hunter Hubel, FRS, 1926년 2월 27일 ~ 2013년 9월 22일)은 캐나다 출신의 미국의 신경생리학자이다. 1981년에 대뇌반구의 기능과 시각정보화 과정에 관한 연구로 토르스텐 비셀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4][5][6]
수상 경력[편집]
- 1978년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 1980년 : 딕슨상
- 1981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회원[편집]
각주[편집]
- ↑ “David H. Hubel - Biographical”. Nobelprize.org. 2013년 9월 22일. 2015년 11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1660-2015”. London: Royal Society. 2015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Wurtz, Robert H. (2016). “David Hunter Hubel. 27 February 1926 — 22 September 2013”. 《Biographical Memoirs of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Royal Society). doi:10.1098/rsbm.2016.0022.
- ↑ Hubel, D. H.; Wiesel, T. N. (1959). “Receptive fields of single neurones in the cat's striate cortex”. 《The Journal of Physiology》 124 (3): 574–591. PMC 1363130. PMID 14403679. doi:10.1113/jphysiol.1959.sp006308.
- ↑ Hubel, D. H.; Wiesel, T. N. (1962). “Receptive fields, binocular interaction and functional architecture in the cat's visual cortex”. 《The Journal of Physiology》 160 (45): 106–154. PMC 1359523. PMID 14449617. doi:10.1113/jphysiol.1962.sp006837.
- ↑ Livingstone, M.; Hubel, D. (1988). “Segregation of form, color, movement, and depth: Anatomy, physiology, and perception”. 《Science》 240 (4853): 740–749. PMID 3283936. doi:10.1126/science.3283936.
외부 링크[편집]
![]() | |
---|---|
1901-1925 | |
1926-1950 | |
1951-1975 | |
1976-2000 | |
2001-현재 | |
← 1981년 노벨상 수상자 → | ||
---|---|---|
물리학상 |
| ![]() |
화학상 | ||
생리학·의학상 | ||
문학상 |
엘리아스 카네티(불가리아/영국) | |
평화상 |
유엔 난민 기구(UNHCR) | |
경제학상 |
제임스 토빈(미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