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브레너
보이기
![]() 시드니 브레너 (2008년) | |
출생 | 1927년 1월 1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하우텡주 제미스턴 |
---|---|
사망 | 2019년 4월 5일 | (92세)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출신 학교 | 위트워터스랜드 대학교 학사, 석사 옥스퍼드 대학교 엑서터 칼리지 박사 |
주요 업적 | 선형동물의 유전 연구 |
배우자 | 메이 브레너 (1952 ~ 2010, 사별) |
자녀 | 2남 2녀 |
수상 |
|
분야 | 생물학 |
박사 지도교수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박사 지도학생 | 제럴드 M. 루빈 존 그레이엄 화이트 |
시드니 브레너(영어: Sydney Brenner, CH, FRS, 1927년 1월 13일 ~ 2019년 4월 5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생물학자이다. 로버트 호비츠와 존 설스턴과 함께 세포의 사멸을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를 규명함으로써 AIDS 등의 각종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공로로 200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왓슨과 크리크에 의해 유전자의 본체가 DNA임을 밝혀진 이후 분자생물학은 "박테리오파지"유전학으로 발전했는데, 브레너는 여기서 활약하였다. 그는 박테리오파지의 형태학 연구상 획기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네거티브 스테이닝(염색)을 고안해내었다. 그전에는 균체를 잘라 그 절편을 염색해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그는 균체를 카본글릿드 위에 놓고 거기에 염색제를 부어 파지 부분만 염색되는 방법이 고안해 냄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하였고 이는 현재 단백질형태를 보는데 응용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DNA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해주는 RNA를 발견하는 등 유전학과 생물학의 발전에 큰 이바지를 하였다.
분자생물학이 꽃피던 시기에 여러 중요한 연구를 해낸 그는 "천재 세 사람 몫의 일을 한 사람"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서훈
[편집]- 1987년 컴패니언 오브 아너(CH;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1]
각주
[편집]- ↑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87 New Year Honours”. 《런던 가제트》 (영어) (런던) (50764): 4. 1986년 12월 30일.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시드니 브레너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생물학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1927년 출생
- 2019년 사망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생물학자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유전학자
-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노벨상 수상자
- 코플리 메달 수상자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수상자
-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대인
- 유대계 리투아니아인
- 유대계 영국인
- 라트비아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리투아니아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 동문
- 옥스퍼드 대학교 엑서터 칼리지 동문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
- 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교수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 왕립학회 석학회원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무신론자
- 리투아니아의 무신론자
- 영국의 무신론자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