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로스배시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Michael Rosbash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2017년 촬영 | |
출생 | 1944년 3월 7일 미국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 (79세)
---|---|
국적 | 미국 |
출신 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
주요 업적 | 생체시계를 통제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발견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2017년) |
분야 | 유전학 시간생물학 |
소속 | 브랜다이스 대학교 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
마이클 모리스 로스배시(영어: Michael Morris Rosbash, 1944년 3월 7일 ~ )는 미국의 유전학자, 시간생물학자이다. 2017년에 생체시계를 통제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로 제프리 C. 홀, 마이클 W. 영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1][2]
수상 경력[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ha, Arlene Eujung (2017년 10월 2일). “Nobel in physiology, medicine awarded to three Americans for discovery of ‘clock genes’”. 《Washington Post》.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The 2017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Press Release”. The Nobel Foundation. 2017년 10월 2일.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The Louisa Gross Horwitz Prize –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www.cumc.columbia.edu》. 2013년 11월 26일.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Michael Rosbash – Gairdner Foundation”.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Lebovits, Susan Chaityn (2012년 8월 14일). “Rosbash awarded Massry for circadian rhythms work | BrandeisNOW”. 《BrandeisNOW》 (영어).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Wiley: Twelfth Annual Wiley Prize in Biomedical Sciences Awarded to Dr. Michael Young, Dr. Jeffrey Hall and Dr. Michael Rosbash”. 《www.wiley.com》.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Sample, Ian (2017년 10월 2일). “Jeffrey C Hall, Michael Rosbash and Michael W Young win 2017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as it happened”.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17년 10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마이클 로스배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