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
제주특별자치경찰단 청사 전경 | |
기본정보 | |
설치년도 | 2006년 |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기자길 7 |
모토 | 성장과 도약을 통한 자치경찰 정착, 더 큰 제주 실현 |
지휘체계 | |
국가 | ![]() |
상급기관 | 제주특별자치도청 |
산하 기관 | 서귀포지역경찰대 |
관할구역 | 제주특별자치도 전역 |
함께 읽기 | |
웹사이트 |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 - 공식 웹사이트 |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濟州特別自治道 自治警察團, Jeju Municipal Police)은 대한민국 최초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경찰행정의 지방자치가 시행됨에 따라 2006년 7월 1일에 제주특별자치도청 산하에 설치된 자치경찰이다.[1]
자치경찰단장은 자치경무관이나 개방형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2]
설립 근거[편집]
연혁[편집]
- 2006년 7월 1일: 제주자치경찰 출범
- 2008년 3월 5일: ITS센터 자치경찰단 이관
- 2008년 7월 1일: 행정시 주정차 단속사무 이관
- 2011년 1월 18일: 행정시 교통시설사무 이관
- 2012년 1월 9일: 통합 자치경찰단 출범
조직[편집]
|
|
|
논란[편집]
자치경찰단장의 직급이 자치총경에서 자치경무관으로 격상되었으나, 나머지 직급이 조정되지 않아 자치총경의 보직이 없어 외부에서 단장을 수급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으며[4], 자치경찰단 경찰정책관이 자치총경 보직으로 신설되면서 이러한 논란이 해소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2016년 1월 11일).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제주특별자치도청 (2016년 1월 11일).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88조(자치경찰기구의 설치) ① 제90조에 따른 자치경찰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도지사 소속으로 자치경찰단을 둔다. ② 자치경찰단의 조직과 자치경찰공무원의 정원 등에 관한 사항은 도조례로 정한다.
- ↑ 김정호 (2016년 6월 10일). “제주자치경찰단장 결국 공모 대신 '임기 연장'”. 제주의소리. 2016년 7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제주특별자치도자치경찰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