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포동물 (刺胞動物, Cnidaria)은 1만여종을 포함하는 자포동물문 동물의 총칭이다. 대부분이 수중 생활을 하며, 몸은 방사대칭형으로 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착 생활을 하거나 부유 생활을 한다. 예전에는 유즐동물 과 함께 강장동물 (腔腸動物)로 분류했었다.
다른 분류군과의 차이점 [ 편집 ]
해면동물 [2] [3]
자포동물
유즐동물 [4]
좌우대칭동물
자포
X
O
X
점착세포
X
O
X
소화기 및 순환기 기관
X
O
중심세포층(main cell layers)의 수
2, 2개의 층 사이에 젤리 같은 층이 존재한다.
2 혹은 3[4]
3
세포가 서로 부착 가능한지의 유무
세포부착분자(cell-adhesion molecules), 동골해면목 을 제외하고는 기저막(basement membranes)이 없다.[5]
세포 내 연결 : 기저막
감각 기관
X
O
중간젤리층(middle "jelly" layer) 내의 세포 수
많음
적음
(해당사항 없음)
외층(outer layer)이 안에서 움직일 수 있거나, 다른 기능으로 변할 수 있는 세포의 유무
O
X
(해당사항 없음)
신경 기관
X
O, 간단한 구조
단순한 종부터 복잡한 종까지 다양함
근육
없음
일반적으로 상피근(epitheliomuscular)
일반적으로 근상피근(myoepithelial)
일반적으로 묘사이트(myocyte)
산호충아문 (Anthozoa)
해파리아문 (Medusozoa) - 해파리[6]
해파리강(Scyphozoa)이 아닌 것으로 추정하는 미분류 아문[7]
↑ Subphyla Anthozoa and Medusozoa based on “The Taxonomicon - Taxon: Phylum Cnidaria” .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0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0일에 확인함 .
↑ Ruppert, E.E.; Fox, R.S. & Barnes, R.D. (2004). 《Invertebrate Zoology》 7판. Brooks / Cole. 76–97쪽. ISBN 0-03-025982-7 .
↑ Bergquist, P.R. (1998). 〈Porifera〉. Anderson, D.T.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0–27쪽. ISBN 0-19-551368-1 .
↑ 가 나 Ruppert, E.E.; Fox, R.S. & Barnes, R.D. (2004). 《Invertebrate Zoology》 7판. Brooks / Cole. 182–195쪽. ISBN 0-03-025982-7 .
↑ Exposito, J-Y.; Cluzel, C.; Garrone, R. & Lethias, C. (2002). “Evolution of collagens”. 《The Anatomical Record Part A: Discoveries in Molecular, Cellular, and Evolutionary Biology》 268 (3): 302–316. doi :10.1002/ar.10162 . PMID 12382326 .
↑ Classes in Medusozoa based on “The Taxonomicon - Taxon: Subphylum Medusozoa” . Universal Taxonomic Services. 2009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Collins, A.G. (2002). “Phylogeny of Medusozoa and the Evolution of Cnidarian Life Cycles” (PDF) .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15 (3): 418–432. doi :10.1046/j.1420-9101.2002.00403.x . 2006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