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하낭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nfobox-Chromalveolata.png
피하낭류
Ceratium furca.jpg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쌍편모생물
계: 크로말베올라타계
상문: 피하낭상문
(Alveolata)

피하낭류 또는 알베올라타(alveolates)[1]원생생물의 중요한 계통군의 하나이다.

하위 분류[편집]

형태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4개의 (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양한 초미세구조와 발생학적 유사성에 기초하여 현재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2][3][4]

진핵생물
AH/SAR
원시색소체생물

홍조식물

피코조아


회청조식물

녹색식물 (좁은 의미의 식물)



크립티스타 



합티스타 


TSAR

텔로네마류

SAR
할바리아

부등편모조류

피하낭류

리자리아


디스코바

단편모생물

아메바류

오바조아

아푸소모나스목

후편모생물

홀로미코타(균류 포함)

홀로조아(동물 포함)

다음은 피하낭류의 계통 분류이다.[5][6][7]

피하낭류

섬모충류

미오조아

콜포네마강

아카보모나스류

미조조아
디노조아

와편모충류

페르킨수스류

넓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좁은 의미의 정단복합체충류

크로메라류

콜포델라류

각주[편집]

  1. “WordNet Search - 3.0”. 2009년 1월 16일에 확인함. 
  2.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3.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4.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5. Ruggiero MA, Gordon DP, Orrell TM, Bailly N, Bourgoin T, Brusca RC, Cavalier-Smith T, Guiry MD, Kirk PM (2015).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6.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7. Cavalier-Smith, Thomas (2017년 9월 5일).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Protoplasma》 255 (1): 297–357. doi:10.1007/s00709-017-1147-3. PMC 5756292. PMID 28875267.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