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 상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nfobox-Chromalveolata.png
하로사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착편모조류, 돌말류, 난균류, 은편모조류, 마크로키스티스속, 갈조류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착편모조류, 돌말류, 난균류, 은편모조류, 마크로키스티스속, 갈조류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쌍편모생물
(미분류): 코르티카타
계: 크로말베올라타계
또는 크로미스타계
아계: 하로사아계
(Harosa)[1]
하계

SAR 상군부등편모조류(Stramenopiles)와 피하낭류(Alveolates) 그리고 리자리아(Rhizaria)를 포함하고 있는 생물군이다.[2][3][4][5]

명칭 내의 "SAR"은 각 포함된 각 생물군의 알파벳 첫 글자를 딴 것이다. 크로말베올라타 생물군 내의 대부분의 생물을 포함하고 있지만, 하크로비아(Hacrobia)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 분류군은 하로사(Harosa, 아계(亞界) 분류 등급)라는 아름으로도 사용된다.[6]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7][8][9]

진핵생물
AH/SAR
원시색소체생물

홍조식물

피코조아


회청조식물

녹색식물 (좁은 의미의 식물)



크립티스타 



합티스타 


TSAR

텔로네마류

SAR
할바리아

부등편모조류

피하낭류

리자리아


디스코바

단편모생물

아메바류

오바조아

아푸소모나스목

후편모생물

홀로미코타(균류 포함)

홀로조아(동물 포함)

다음은 2019년 리자리아의 계통 분류이다.[10]

리자리아
사족충류
필로사

레티쿨로필로사

모나도필로사

엔도믹사

유공충류

유공충아문

다공낭충류

방사극충강


각주[편집]

  1. “Subkingdom Harosa”.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3년 5월 4일에 확인함. 
  2. Archibald JM (2009년 1월). “The puzzle of plastid evolution”. 《Curr. Biol.》 19 (2): R81–8. doi:10.1016/j.cub.2008.11.067. PMID 19174147. 
  3. Burki F, Shalchian-Tabrizi K, Minge M; 외. (2007). “Phylogenomics reshuffles the eukaryotic supergroups”. 《PLoS ONE》 2 (8): e790. doi:10.1371/journal.pone.0000790. PMC 1949142. PMID 17726520. 
  4. Hampl V, Hug L, Leigh JW; 외. (2009년 3월). “Phylogenomic analyses support the monophyly of Excavata and resolve relationships among eukaryotic "supergroups". 《Proc. Natl. Acad. Sci. U.S.A.》 106 (10): 3859–64. doi:10.1073/pnas.0807880106. PMID 19237557. 
  5. Frommolt R, Werner S, Paulsen H; 외. (2008년 12월). “Ancient recruitment by chromists of green algal genes encoding enzymes for carotenoid biosynthesis”. 《Mol. Biol. Evol.》 25 (12): 2653–67. doi:10.1093/molbev/msn206. PMID 18799712. 
  6. Cavalier-Smith T (2010년 6월). “Kingdoms Protozoa and Chromista and the eozoan root of the eukaryotic tree”. 《Biol. Lett.》 6 (3): 342–5. doi:10.1098/rsbl.2009.0948. PMC 2880060. PMID 20031978. 2020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3일에 확인함. 
  7.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8.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9.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10. Irwin, Nicholas A.T.; Tikhonenkov, Denis V.; Hehenberger, Elisabeth; Mylnikov, Alexander P.; Burki, Fabien; Keeling, Patrick J. (2019년 1월 1일). “Phylogenomics supports the monophyly of the Cercozo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영어) 130: 416–423. doi:10.1016/j.ympev.2018.09.004. ISSN 1055-7903. PMID 30318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