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딕티온과
![]() | ||
---|---|---|
![]() 콜로딕티온속(Collodictyon)의 종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포디아타 | |
(미분류): | CRuMs | |
과: | 콜로딕티온과 (Collodictyonidae) Brugerolle et al. 2002 | |
학명이명 | ||
Diphylleidae Cavalier-Smith 1993 | ||
속 | ||
|
콜로딕티온과(Collodictyonidae)는 2~4개의 말단 편모를 가진 수생, 단세포 진핵생물 분류균의 하나이다. 식작용을 통해 조류와 세균(박테리아)과 같은 다른 단세포 생물을 섭취한다. 콜로딕티온과의 가장 주목할만한 사실은 계통 분류학상에서 위치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최근의 계통발생학 연구를 통해 엑스카바타 원생생물인 말라이모나스속(Malawimonas)의 자매군 또는 쌍편모생물의 자매군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1] 좀더 최근의 분자생물학 분석에 의하면 콜로딕티온과 분류군은 리기필라목(Rigifilida) 및 만타모나스과(Mantamonadidae) 원생생물과 함께 크룸스(CRuMs) 분류군을 형성하며, 크룸스 분류군은 단편모생물(Unikonts 또는 Amorphea)의 자매군이다.[2][3]
하위 분류[편집]
- 콜로딕티온속 (Collodictyon) Carter 1865
- 디필레이아속 (Diphylleia) Massart 1920 non Michaux 1803[4]
계통 분류[편집]
Scotokaryotes/ Opimoda/Neozoa |
| ||||||||||||||||||||||||||||||||||||
각주[편집]
- ↑ Zhao, Sen; Fabien Burki; Jon Bråte; Patrick Keeling; Dag Klaveness; Kamran Shalchian-Tabrizi (2012). “Collodictyon – An Ancient Lineage in the Tree of Eukaryot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9 (6): 1557–68. doi:10.1093/molbev/mss001. PMC 3351787. PMID 22319147.
- ↑ Lax, Gordon; Eglit, Yana; Eme, Laura; Bertrand, Erin M.; Roger, Andrew J.; Simpson, Alastair G. B. (2018년 11월 14일).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Nature》 (영어) 564 (7736): 410–414. doi:10.1038/s41586-018-0708-8. ISSN 0028-0836. PMID 30429611.
- ↑ 가 나 Brown, Matthew W; Heiss, Aaron A; Kamikawa, Ryoma; Inagaki, Yuji; Yabuki, Akinori; Tice, Alexander K; Shiratori, Takashi; Ishida, Ken-Ichiro; Hashimoto, Tetsuo (2018년 1월 19일).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10 (2): 427–433. doi:10.1093/gbe/evy014. ISSN 1759-6653. PMC 5793813. PMID 29360967.
- ↑ 주걱박쥐과 털다리흡혈박쥐속(Diphylla) 또는 매자나무과 디필레이아속(Diphylleia)과는 별개의 속이다.
- ↑ Lax, Gordon; Eglit, Yana; Eme, Laura; Bertrand, Erin M.; Roger, Andrew J.; Simpson, Alastair G. B. (2018년 11월 14일).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Nature》 (영어) 564 (7736): 410–414. doi:10.1038/s41586-018-0708-8. ISSN 0028-0836.
- ↑ Ruggiero, Michael A.; Gordon, Dennis P.; Orrell, Thomas M.; Bailly, Nicolas; Bourgoin, Thierry; Brusca, Richard C.; Cavalier-Smith, Thomas; Guiry, Michael D.; Kirk, Paul M. (2015년 6월 11일). “Correction: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6): e0130114. doi:10.1371/journal.pone.0130114. ISSN 1932-6203. PMC 5159126. PMID 26068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