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편모조류
보이기
착편모조류 | ||
---|---|---|
Coccolithus pelagicus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식물+HC+SAR 대형군 | |
(미분류): | 하크로비아 | |
(미분류): | 합티스타 | |
(미분류): | 착편모조류 (Haptophyta) Hibberd 1976 sensu Ruggerio et al. 2015 | |
강 | ||
|
착편모조류(着鞭毛藻類, haptophytes)는 프림네시움문(Prymnesiophyta) 또는 착면모조문(Haptophyta)으로 분류되는 조류의 생물 문(門)이다. 착편모조강(Haptophyceae)이라는 용어로도 사용된다.[1][2]
하위 분류
[편집]- 파블로바강 (Pavlovophyceae)
- 후각편모조강/프림네시움강 (Prymnesiophyceae) 또는 원석조강 (Coccolithophyceae)
- 미분류 목
- Alisphaeraceae
- Amphimonadaceae
- Braarudosphaeraceae
- Ceratolithaceae
- Papposphaeraceae
- Umbellosphaeraceae
계통 분류
[편집]2016년 실라(Silar)에 의한 하크로비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4]
하크로비아 |
| ||||||||||||||||||||||||||||||||||||||||||||||||||||||||||||
각주
[편집]- ↑ “www.ncbi.nlm.nih.gov”.
- ↑ Satoh M, Iwamoto K, Suzuki I, Shiraiwa Y (2009). “Cold stress stimulates intracellular calcification by the coccolithophore, Emiliania huxleyi (Haptophyceae) under phosphate-deficient conditions”. 《Mar. Biotechnol.》 11 (3): 327–33. doi:10.1007/s10126-008-9147-0. PMID 18830665.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