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균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난균류
Phytophthora infestans의 생식 구조
Phytophthora infestans의 생식 구조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쌍편모생물
계: 크로말베올라타계
문: 부등편모조문
(미분류): 유사균류
강: 난균강(Oomycota)
  • 본문 참조

난균류(卵菌類)는 부등편모조류의 하나이다. 외관이 균류를 닮아 있다. 수중이나 습한 토양에 살며, 동식물의 사체를 분해하여 살아가는 종속영양 생물이다.난균류는 몸이 격벽(격막)이없는 균사로 이루어져 있어 한때 접합균류와 함께 균류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난균류의 세포벽에는 셀룰로스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균류의 세포벽에는 키틴이 포함되어 있다. 또 부등편모를 가진(무성생식을 하기 위해 편모를 가지고 있는 세포를 말한다) 유주자를 생성하므로 규조류 ,갈조류와 유연관계가 있어 원생생물계로 분류하게 되었다. 난균류는 주로 균사에서 만든 유주자에 의한 무성생식을 하지만 좋지 않은 환경에서는 균사이의 접합에 의한 유성생식을 하기도 한다. 몇가지 난균류는 물에서 살며 상처가 있거나 물에 노균병이나 역병을 일으켜 큰피해를 입힌다. 그러나 난균류는 동식물의 사체를 분해 하기 때문에 세균과 함께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곰팡이 백색 녹병균,감자역병균, 노균이 있다. 또한 초기의 형태학적 연구에서는 다핵성 균사로 이루어져 있어 균류에 포함되었으나 세포벽의 성분 분자생물학적 자료에 의하면 넌균류는 균류와 밀접한 연관이 없다. 외형적으로 유사성은 비슷한 환경에서 적응하며 사는 과정에서 획득된 결과이다.

난균류는 물 속이나 육상에서 기생 또는 부생하는데, 그 몸은 단세포인 것도 있지만 대개는 길쭉한 균사가 가지친 균사체이다. 이 균사 또는 균사체는 격벽이 없는 관 모양의 균사벽으로 둘러싸인 세포질 속에 다수의 핵을 가지고 있으며, 균사벽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의 유주자는 그 앞끝 또는 옆면에 편모가 2개 있는데, 그 하나는 채찍꼴 편모이고 다른 하나는 깃꼴 편모이다.

이들의 유성 생식에 대해서는 단상 생물의 경우만이 알려져 있다. 몸이 단세포나 간단한 균사로 된 것은 성숙하면 몸 전체가 1개 내지 몇 개의 유주자낭 또는 배우자낭이 되는데, 이것을 전실성이라고 한다. 이에 비하여, 발달된 균사체에서는 그 일부에 격벽이 생겨서 칸막이가 된 부분이 유주자낭이나 배우자낭이 되며, 그 밖의 다른 부분은 더 생활을 계속하게 되는데, 이것을 분실성이라고 한다.

난균류는 깃털형 통곰팡이류를 포함시켜 이모균 식물로 다루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나, 각 균류의 특징에 따라 두 균류를 독립된 문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부등편모조류의 계통 분류이다.[1][2][3]

부등편모조류

플라티술쿠스강

사게니스타류

Eogyrea

망형충류

비코소에카류

플라시디아류

플라시디아강

나노모나스강

오팔로모나스강

오팔리나상강

블라스토키스티스강

오팔리나강

기리스타류

비기로모나드강

난균류

역모균류

피르소니아강

대롱편모조식물

각주[편집]

  1.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Bibcode:2015PLoSO..1019248R.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2.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3. Cavalier-Smith, Thomas; Scoble, Josephine Margaret (2013).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49 (3): 328–353. doi:10.1016/j.ejop.2012.09.002. PMID 23219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