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핵생물
![]() | ||
---|---|---|
![]() 진핵생물의 생물다양성(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가위벌, 그물버섯, 섬모충, 페르시아미나리아재비, 좁쌀공말, 침팬지)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Eukaryota) (Chatton, 1925) Whittaker & Margulis, 1978 | |
상군[2] 및 계 | ||
|
진핵생물(眞核生物, 영어: Eukaryota)은 진핵세포를 가진 생물을 말한다. 진핵세포(眞核細胞)는 세포 내에 핵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가진 세포들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세포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는 과거 진화 과정에서 외부의 원핵세포들이 세포내 공생체로 도입된 경우로 생각되며, 그 외의 소기관들도 각각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분화되어 있다. 원핵세포의 DNA와는 달리, 진핵세포의 DNA에는 필요 없는 부분(인트론)이 대단히 많이 존재하며, 따라서 필요한 부분(엑손)을 이어서 mRNA를 만들게 된다. 또한 리보솜은 원핵세포보다 큰 80S이다.
진핵생물은 단계통군으로 나타나며, 3개의 생물 역 중 하나를 구성한다. 나머지 2개의 역은 세균과 고균으로, 원핵생물로 불리며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지 않다. 진핵생물은 모든 생명체 중에서는 일종의 소수이다. 심지어 인체에는 사람의 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은 미생물이 들어 있다.[3] 그러나 진핵생물은 계 수가 가장 많다. 3개의 역 중에 거의 가장 많은 종이 알려져 있다.
도메인 분류[편집]
린네 | 헤켈 | 채튼 | 코플랜드 | 휘태커 | 워즈 | 캐빌리어스미스 | ||
---|---|---|---|---|---|---|---|---|
1735년 2계 분류 |
1866년 3계 분류 |
1925년 2계 분류 |
1938년 4계 분류 |
1969년 5계 분류 |
1977년 6계 분류 |
1990년 3역 분류 |
1993년 8계 분류 |
1998년 6계 분류 |
(다루지 않음) | 원생생물 (Protista) |
원핵생물 (Prokaryota) |
모네라 (Monera) |
모네라 (Moner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고세균 (Archae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
진핵생물 (Eukaryo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진핵생물 (Eukarya) |
고동물 (Archezoa) |
원생동물 (Protozoa) | ||
원생동물 (Protozoa) | ||||||||
유색조식물 (Chromista) |
유색조식물 (Chromista) | |||||||
식물 (Vegetabilia)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6년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가 제안한 생명의 나무 계통 분류이다.[4]
LUA |
| |||||||||||||||||||||||||||||||||||||||||||||||||||||||||||||||||||||||||||||||||||||||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5][6][7]
|
Scotokaryotes/ Opimoda/Neozoa |
| ||||||||||||||||||||||||||||||||||||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Sakaguchi M, Takishita K, Matsumoto T, Hashimoto T, Inagaki Y (July 2009). “Tracing back EFL gene evolution in the cryptomonads-haptophytes assemblage: separate origins of EFL genes in haptophytes, photosynthetic cryptomonads, and goniomonads”. 《Gene》 441 (1–2): 126–31. doi:10.1016/j.gene.2008.05.010. PMID 18585873.
- ↑ Adl, Sina M.; 외. (September 2012).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PDF). 《Journal of Eukaryotic Microbiology》 59 (5): 429–514. doi:10.1111/j.1550-7408.2012.00644.x. PMC 3483872. PMID 23020233. 2016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Zimmer, Carl (2010년 7월 13일). “How Microbes Defend and Define Us”.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 2011년 4월 9일에 확인함.
- ↑ Cavalier-Smith T (2006). “Cell evolution and Earth history: stasis and revolution”.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61 (1470): 969–1006. doi:10.1098/rstb.2006.1842. PMC 1578732. PMID 16754610.
- ↑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 ↑ Brown, Matthew W; Heiss, Aaron A; Kamikawa, Ryoma; Inagaki, Yuji; Yabuki, Akinori; Tice, Alexander K; Shiratori, Takashi; Ishida, Ken-Ichiro; Hashimoto, Tetsuo (2018년 1월 19일).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10 (2): 427–433. doi:10.1093/gbe/evy014. ISSN 1759-6653. PMC 5793813. PMID 29360967.
- ↑ Lax, Gordon; Eglit, Yana; Eme, Laura; Bertrand, Erin M.; Roger, Andrew J.; Simpson, Alastair G. B. (2018년 11월 14일).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Nature》 (영어) 564 (7736): 410–414. doi:10.1038/s41586-018-0708-8. ISSN 0028-0836.
- ↑ Ruggiero, Michael A.; Gordon, Dennis P.; Orrell, Thomas M.; Bailly, Nicolas; Bourgoin, Thierry; Brusca, Richard C.; Cavalier-Smith, Thomas; Guiry, Michael D.; Kirk, Paul M. (2015년 6월 11일). “Correction: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6): e0130114. doi:10.1371/journal.pone.0130114. ISSN 1932-6203. PMC 5159126. PMID 26068874.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