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색조식물
보이기
유색조식물 또는 크로미스타(영어: Chromista)는 진핵생물 분류군의 하나로, 다계통군으로 추정하고 있으며,[1] 별도의 생물 계(界) 또는 원생생물의 하위 분류로 취급한다. 엽록소 a와 b를 함유한 엽록체를 가진 모든 조류뿐만 아니라, 이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다양한 생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생물 분류 체계의 변천
[편집]린네 | 헤켈 | 채튼 | 코플랜드 | 휘태커 | 워즈 | 캐빌리어스미스 | ||
---|---|---|---|---|---|---|---|---|
1735년 2계 분류 |
1866년 3계 분류 |
1925년 2계 분류 |
1938년 4계 분류 |
1969년 5계 분류 |
1977년 6계 분류 |
1990년 3역 분류 |
1993년 8계 분류 |
1998년 6계 분류 |
(다루지 않음) | 원생생물 (Protista) |
원핵생물 (Prokaryota) |
모네라 (Monera) |
모네라 (Moner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진정세균 (Eubacteria) |
세균 (bacteri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고세균 (Archaea) |
고세균 (Archaeabacteria) | ||||||
진핵생물 (Eukaryo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원생생물 (Protista) |
진핵생물 (Eukarya) |
고동물 (Archezoa) |
원생동물 (Protozoa) | ||
원생동물 (Protozoa) | ||||||||
유색조식물 (Chromista) |
유색조식물 (Chromista) | |||||||
식물 (Vegetabilia)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식물 (Plantae) |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균류 (Fungi) |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동물 (Animalia) |
하위 분류군
[편집]유색조식물은 여러번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어 왔다.
3 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2]
2010년, 토마스 캐빌리어-스미스는 피하낭류와 리자리아, 태양충을 크로미스타로 옮길 것을 제안했다.[3]
각주
[편집]- ↑ Cavalier-Smith T, Allsopp MT, Chao EE (1994년 11월). “Chimeric conundra: are nucleomorphs and chromists monophyletic or polyphyletic?”. 《Proc. Natl. Acad. Sci. U.S.A.》 91 (24): 11368–72. doi:10.1073/pnas.91.24.11368. PMC 45232. PMID 7972066.
- ↑ Csurös M, Rogozin IB, Koonin EV (2008년 5월). “Extremely intron-rich genes in the alveolate ancestors inferred with a flexible maximum-likelihood approach”. 《Mol. Biol. Evol.》 25 (5): 903–11. doi:10.1093/molbev/msn039. PMID 18296415.
- ↑ Cavalier-Smith T (2010년 6월). “Kingdoms Protozoa and Chromista and the eozoan root of the eukaryotic tree”. 《Biol. Lett.》 6 (3): 342–5. doi:10.1098/rsbl.2009.0948. PMC 2880060. PMID 20031978. 2020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