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등편모조류
![]() | ||
---|---|---|
![]() 올림픽 국립공원 태평양모자반, Fucus distichus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미분류): | 쌍편모생물 | |
계: | 크로말베올라타계 | |
문: | 부등편모조문 (Heterokontophyta) | |
강 | ||
|
부등편모조류(不等鞭毛藻類, heterokonts)는 진핵생물의 주요 계통군의 하나로,[1] 이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조류를 포함하여, 현재 100,00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2] 대부분은 거대한 다세포인 다시마부터 단세포인 규조류에 이르는 조류로서, 플랑크톤의 주요 구성원을 이룬다. 기타 유명한 스트라메노필라는 (일반적으로 측계통군) 난균류가 포함되며, 난균류에는 악명높은 감자의 피토프토라(Phytophthora)와 씨앗을 말라죽게 하고 썩게 만드는 피티움(Pythium)이 포함되어 있다.
부등편모조류라는 이름은 편모 세포가 2개의 다른 모양의 편모를 가지는 운동성이 있는 생명 주기 단계를 가리킨다.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3][4][5]
|
부등편모조류 |
| ||||||||||||||||||||||||||||||||||||||||||||||||||||||||||||||||||||||||||||||
각주[편집]
- ↑ “stramenopiles”. 2009년 3월 8일에 확인함.
- ↑ Hoek, C. van den; D. G. Mann; H. M. Jahns (1995).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 124, 134, 166쪽. ISBN 0-521-31687-1.
- ↑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Bibcode:2015PLoSO..1019248R.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 ↑ Cavalier-Smith, Thomas; Scoble, Josephine Margaret (2013). “Phylogeny of Heterokonta: Incisomonas marina, a uniciliate gliding opalozoan related to Solenicola (Nanomonadea), and evidence that Actinophryida evolved from raphidophytes”.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49 (3): 328–353. doi:10.1016/j.ejop.2012.09.002. PMID 23219323.
외부 링크[편집]
- 생명의 나무 웹 프로젝트: 부등편모조류 Archived 2003년 10월 19일 - 웨이백 머신
-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부등편모조류(홍조식물, 녹조식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