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편모충류
![]() | ||||||||
![]() Ceratium furca | ||||||||
생물 분류![]() | ||||||||
---|---|---|---|---|---|---|---|---|
| ||||||||
강 | ||||||||
|
와편모충류(渦鞭毛蟲類, dinoflagellates)는 대형 편모충류 원생생물 분류군의 하나이다. 대부분 해양 플랑크톤이지만, 담수 환경에서도 발견된다. 분포하는 개체수는 해수면 온도와 염도 또는 수심 등에 의존한다. 모든 와편모충류의 약 절반은 광합성을 하며, 이들은 규조류를 제외하고 해양 진핵생물 조류 중에서 가장 큰 분류군을 형성한다.
현재, 약 1,555종의 자유 생활하는 와편모충류를 기술하고 있다.[1] 또한 1,700종 이상의 해양 종과 220여 종의 담수 종을 포함하여 약 2,000여 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2] 가장 크게 추산하는 경우는 현존하는 와편모충류를 2,294종으로 집계하며, 해수와 담수 그리고 기생하는 와편모충류를 포함하고 있다.[3]
하위 분류[편집]
- 디노피시스강 (Dinophyceae)[4] 또는 페리디니움강 (Peridinea)
- 블라스토디니움목 (Blastodiniales 또는 Blastodinida) - 7종[4]
- 디노피시스목 (Dinophysiales 또는 Dinophysida) - 379종[4]
- 고니아울락스목 (Gonyaulacales 또는 Gonyaulacida) - 550종[4]
- 김노디니움목 (Gymnodiniales 또는 Gymnodiniida) - 740종[4]
- 하플로준목 (Haplozoonales) - 14종[4]
- 페리디니움목 (Peridiniales 또는 Peridiniida) - 1086종[4]
- 프로로켄트룸목 (Prorocentrales 또는 Prorocentrida) - 98종[4]
- 피로키스티스목 (Pyrocystales 또는 Pyrocystida) - 20종[4]
- 수에시아목 (Suessiida) - 60종[4]
- 옥시리스강 (Oxyrrhidophyceae)
- 옥시리스목 (Oxyrrhida)
- 야광충강 (Noctilucea)
- 야광충목 (Noctilucida)
- 신디니움강 (Syndinea)
계통 분류[편집]
피하낭류 |
| ||||||||||||||||||||||||||||||||||||||||||
각주[편집]
- ↑ GÓMEZ, F. (2005). “A list of free-living dinoflagellate species in the world's oceans”. 《Acta Botanica Croatica》 64 (1): 129–212.
- ↑ Taylor, F. J. R.; Hoppenrath, M.; Saldarriaga, J. F. (2008). “Dinoflagellate diversity and distribution”. 《Biodiv. Cons.》 17: 407–418.
- ↑ Gómez, F. (2012). “A checklist and classification of living dinoflagellates (Dinoflagellata, Alveolata)”. 《CICIMAR Océanides》 27: 65–140.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Class: Dinophyceae”. AlgaeBase. 2017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Ruggiero MA, Gordon DP, Orrell TM, Bailly N, Bourgoin T, Brusca RC, Cavalier-Smith T, Guiry MD, Kirk PM (2015).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 ↑ Cavalier-Smith, Thomas (2017년 9월 5일). “Kingdom Chromista and its eight phyla: a new synthesis emphasising periplastid protein targeting, cytoskeletal and periplastid evolution, and ancient divergences”. 《Protoplasma》 255 (1): 297–357. doi:10.1007/s00709-017-1147-3. PMC 5756292. PMID 28875267.
외부 링크[편집]
- Noctiluca scintillans - Guide to the Marine Zooplankton of south eastern Australia, Tasmanian Aquaculture & Fisheries Institute
- Tree of Life Dinoflagellates Archived 2012년 10월 13일 - 웨이백 머신
- Centre of Excellence for Dinophyte Taxonomy CEDiT
- (영어) 와편모충류 - 생명의 백과사전
- "A Tale of Two Flagella" by Olivia Judson, New York Times, 1/5/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