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Rotifer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뢰성 있고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대부분 연못이나 호수에서 자유로운 생활을 하거나 다른 동물에 붙어 산다. 또 부식성 토양이나 이끼 또는 바닷물 속에서도 산다. 몸의 앞끝에 달린 섬모 꼬리를 움직여 섬모를 수레바퀴처럼 운동시키므로 윤충류라는 이름이 붙었다. 윤충류는 여러 동물의 먹이가 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전 세계에 약 1,5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암컷은 껍질이 얇은 2배성의 여름 알을 낳고 이 알은 수정되지 않은 채 그대로 발생하여 암컷의 개체가 된다. 이때 알은 물 속이나 수생 식물 위에 붙어 있거나 부화할 때까지 어미의 몸 표면에 붙어 있다. 알은 곧 난할이 진행되어 1-2일 만에 부화하며, 수일 후에는 번식 능력을 갖는 개체로 성숙한다. 그러나 난태생의 종류는 부화할 때까지 알이 자궁 안에 머무르므로 몸 안에서 한 개 내지 여러 개로 발생한 유생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단위생식이 오래 계속되거나 주변 환경이 극단적으로 춥거나 덥고, 또 개체수의 밀도가 높아 환경이 나빠지면, 암컷은 장차 수컷이 될 작은 알과 암컷이 될 큰 알을 각각 낳는다. 이리하여 부화한 수컷과 암컷이 교미를 하면, 여름알보다 저항력이 강한 두꺼운 알껍질에 싸여진 수정란, 즉 겨울알(내구알)을 낳는다. 이 알의 껍질에는 가시나 혹 모양의 돌기 등 여러 가지 부속물이 있다. 대부분의 겨울알은 어미가 죽어도, 또한 내용물이 없어진 후에도 계속하여 어미의 몸 안에서 보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