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형동물
보이기
![]() | ||
---|---|---|
![]() Paragordius tricuspidat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아계: | 진정후생동물아계 | |
상문: | 탈피동물상문 | |
문: | 유선형동물문 (Nematomorpha) Vejdovsky, 1886 | |
강 | ||
|
유선형동물(類線形動物)은 기생물로 이루어진, 동물의 하위 분류군이다. 선형동물과 유사하게 생겼다고 하여 ‘유선형동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종은 326종이나 전 세계적으로 20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유선형동물들의 유충은 종에 따라 딱정벌레목 · 바퀴목 · 메뚜기목 등의 곤충이나 갑각류에 기생한다. 스피노코르도데스 텔리니(Spinochordodes tellinii)는 메뚜기목 곤충에 기생하여 숙주가 물에 뛰어들어 자살하도록 조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통 분류
[편집]탈피동물 |
| ||||||||||||||||||||||||||||||||||||||||||
각주
[편집]- ↑ Poinar Jr., G (2008). “Global diversity of hairworms (Nematomorpha: Gordiaceae) in freshwater”. 《Hydrobiologia》 595 (1): 79–83. doi:10.1007/s10750-007-9112-3.
- ↑ Nielsen, Claus; Brunet, Thibaut; Arendt, Detlev (2018년 8월 22일). “Evolution of the bilaterian mouth and anus”. 《Nature Ecology & Evolution》 2 (9): 1358–1376. Bibcode:2018NatEE...2.1358N. doi:10.1038/s41559-018-0641-0. ISSN 2397-334X. PMID 30135501. S2CID 52067372.
- ↑ Howard, Richard J.; Giacomelli, Mattia; Lozano-Fernandez, Jesus; Edgecombe, Gregory D.; Fleming, James F.; Kristensen, Reinhardt M.; 외. (10 March 2022). “The Ediacaran origin of Ecdysozoa: Integrating fossil and phylogenomic da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9 (4). Bibcode:2022JGSoc.179..107H. doi:10.1144/jgs2021-107. hdl:2445/186596. ISSN 0016-7649. S2CID 246494357.
외부 링크
[편집]- 유선형동물 생물다양성 프로젝트 웹사이트. 사진, 생활환 정보 및 검색가능한 정보.
- 플로리다 대학교 / 플로리다 대학 식품농업연구소의 유선형동물 정보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