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의 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엉성한 위상에서 넘어옴)

일반위상수학범주론에서, 위상 함자를 통해 주어진 집합 위에 여러 위상수학적 구조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이 경우 한 구조가 다른 구조에 대하여 더 섬세한 구조(纖細-構造, 영어: finer structure) 또는 더 엉성한 구조(-構造, 영어: coarser structure)라고 한다.

정의[편집]

범주 , 사이의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

  • 의 대상은 인 대상 이다.
  • 의 사상은 인 사상 이다.

만약 충실한 함자라면, 얇은 범주이며, 이는 위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들의 범주로 생각할 수 있다.

얇은 범주이므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가 존재한다.

이 관계를 엉성함이라고 한다.[1]:30, Definition 1.1.4 즉, 만약 속에서 사상 가 존재한다면, 보다 더 엉성한(영어: coarser) -구조이며, 반대로 보다 더 섬세한(영어: finer) -구조이다.

이 정의는 특히 위상 함자 에 대하여 적용된다.

에서 만약 최대 원소(즉, 가장 엉성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비이산 -구조(영어: indiscrete -structure)라고 한다. 반대로, 에서 만약 최소 원소(즉, 가장 섬세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이산 -구조(영어: discrete -structure)라고 한다.

성질[편집]

위상 함자라고 한다면, 이산·비이산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위상 함자에서는 또한 시작 구조끝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편집]

위상 공간[편집]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충실한 함자이다. 따라서 이 경우 더 엉성한 위상과 더 섬세한 위상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위상 (열린집합의 족)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2]:77–78

  •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연속 함수이다.
  • 이다. 즉, 항등 함수 열린 함수이다.

주어진 집합 위의 위상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엉성한/섬세한 위상 대신 "약한/강한 위상"(영어: weaker/stronger top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에서는 "강한/약한 위상"(영어: stronger/weaker topology)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저[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원소 집합 와 그 위의 기저 의 순서쌍이다.
  • 의 사상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부분 기저[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원소 집합 와 그 위의 임의의 집합족 의 순서쌍이다. (이는 의 위상을 생성하는 부분 기저로 생각한다.)
  • 의 사상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룬다.

그렇다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부분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부분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인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부분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덮개와 유계형 집합[편집]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대상 은 집합 와 그 위의 덮개 순서쌍이다.
  • 의 사상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이렇게 정의하였을 때, 같은 집합 위의 두 덮개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세분이다.

유계형 집합의 범주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루며, 따라서 위와 같은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필터[편집]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하자.

  • 의 대상 집합 위의 필터 기저 이다.
  • 의 사상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그렇다면, 집합 위의 두 필터 기저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보다 더 엉성하다.
  • 이다. 여기서 필터 기저로 생성되는 필터(즉, 상폐포)를 뜻한다.

가측 공간[편집]

가측 공간가측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이 경우 더 섬세한/엉성한 가측 공간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참고 문헌[편집]

  1. Preuss, Gerhard (2002). 《Foundations of topology: an approach to convenient topology》 (영어).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i:10.1007/978-94-010-0489-3. ISBN 978-94-010-3940-6. 
  2. Munkres, James R. (2000). 《Topology》 (영어) 2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81629-9. MR 0464128. Zbl 0951.5400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