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슬린 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수 함수에서 넘어옴)

일반위상수학에서 수슬린 수(영어: Suslin number)는 위상 공간서로소 열린집합들의 집합족크기상한이다. 이 글에서는 수슬린 수를 비롯한 위상수학의 다양한 기수 값 불변량을 다룬다.

정의[편집]

무게[편집]

위상 공간 무게(영어: weight)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제2 가산 공간인 위상 공간이다.

무게의 개념의 몇 가지 변형은 다음과 같다.

집합족의 조건 최소 크기 기호
기저 무게
유사 기저 유사 무게
π-기저 π-무게
망 무게

유사 무게[편집]

위상 공간 유사 기저(영어: pseudo-base) 또는 ψ-기저(영어: ψ-base)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위상 공간이 유사 기저를 가질 필요충분조건T1 공간인 것이다.

T1 공간 유사 무게(영어: pseudo-weight) 또는 ψ-무게(영어: ψ-weight) 는 그 유사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π-무게[편집]

위상 공간 π-기저(영어: π-base)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이다.

  • 공시작 집합이다. 즉, 이며,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만약 라면, 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π-무게(영어: π-weight) 는 그 π-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망 무게[편집]

위상 공간 (영어: network)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족 이다.

  •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저열린집합들로 이루어진 망이다.

위상 공간 망 무게(영어: network weight, net weight) 는 그 망의 최소 크기이다.

밀도[편집]

위상 공간 밀도(영어: density) 조밀 집합의 최소 크기이다. 분해 가능 공간인 위상 공간이다.

유전적 밀도[편집]

위상 공간 유전적 밀도(영어: hereditary density) 또는 너비(영어: width) 의 정의는 다음 두 가지가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 부분 집합의 밀도의 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을 취한다).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크기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을 취한다).

즉,

이다. 유한한 값을 허용할 경우 두 정의는 더 이상 동치가 아니다.

증명:

의 증명. 부분 집합이며, 위의 정렬 전순서이며, 의 모든 상집합열린집합이라고 하자. 를 보이면 충분하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임의의 무한 기수 에 대하여,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의 순서형이라고 하자. 이므로, 순서형이 인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 임의의 상집합 에서의 상폐포교집합이므로, 열린집합이다. 무한 기수따름 기수이므로, 정칙 기수이다. 따라서, 만약 조밀 집합이라면, 공종 집합이며, 이다. 즉,

이다.

의 증명. 임의의 에 대하여,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초한 귀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초한 점렬 을 만들 수 있다.

이제,

라고 하자. 위에 그 원소의 첨수에 따른 순서를 부여하면, 순서형이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룬다. 또한, 임의의 상집합 에 대하여, 그 최소 원소라고 하면,

이므로,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수슬린 수[편집]

위상 공간 이 주어졌을 때,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들의 부분 순서 집합 강하향 반사슬들은 정확히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열린집합들로 이루어진 집합족들이다.

위상 공간 수슬린 수(영어: Suslin number) 또는 세포도(영어: cellularity) 강하향 반사슬크기상한이다.

유전적 수슬린 수[편집]

위상 공간 유전적 수슬린 수(영어: hereditary Suslin number, hereditary cellularity) 또는 퍼짐(영어: spread) 의 정의는 다음 두 가지가 있으며, 이는 서로 동치이다.

  • 부분 집합의 수슬린 수의 상한이다.
  • 이산 집합크기상한이다.

즉,

이다.

증명:

의 증명. 부분 집합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르면,

부분 집합이며, 또한 이산 공간이다.

의 증명. 이산 집합 가 주어졌을 때,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열린집합들의 집합족이다.

린델뢰프 수[편집]

위상 공간 의 임의의 열린 덮개 에 대하여, 가 그 부분 덮개의 최소 크기라고 하자.

위상 공간 린델뢰프 수(영어: Lindelöf number) 는 다음과 같다.

린델뢰프 공간인 위상 공간이다.

유전적 린델뢰프 수[편집]

위상 공간 유전적 린델뢰프 수(영어: hereditary Lindelöf number) 또는 높이(영어: height) 의 정의는 다음 두 가지가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 부분 집합의 린델뢰프 수의 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을 취한다).
  •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크기상한이다 (이 상한이 유한한 경우 대신 을 취한다).

즉,

이다. 유한한 상한을 허용할 경우 이는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반례로 시에르핀스키 공간이 있다.)

증명:

의 증명. 부분 집합이며, 위의 정렬 전순서이며, 의 모든 하집합열린집합이라고 하자. 를 보이면 충분하다. 이를 보이기 위해서, 임의의 무한 기수 에 대하여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의 순서형이라고 하자. 이므로, 순서형이 인 부분 집합

가 존재한다. 의 모든 하집합 역시 열린집합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무한 기수따름 기수이므로, 정칙 기수이다. 따라서, 열린 덮개

의 모든 부분 덮개의 크기는 이다. 즉,

이다.

의 증명. 임의의 부분 집합 무한 기수 에 대하여, 임을 보이면 충분하다. 열린 덮개 를 고르자. 초한 귀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초한 점렬 을 만들 수 있다.

이제,

라고 하자. 는 자연스럽게 순서형이 정렬 전순서 집합을 이룬다. 또한, 의 임의의 하집합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지표[편집]

위상 공간 부분 집합 국소 지표(영어: local character) 국소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위상 공간 지표(영어: character) 는 모든 점의 국소 지표의 상한이다.

제1 가산 공간인 위상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개념들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족의 조건 개념 기호
국소 기저 (국소) 지표
국소 유사 기저 (국소) 유사 지표
국소 π-기저 (국소) π-지표

유사 지표[편집]

위상 공간 부분 집합 국소 유사 기저(영어: local pseudo-base) 또는 국소 ψ-기저(영어: local ψ-base)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이다.

위상 공간 부분 집합 국소 유사 지표(영어: local pseudo-character) 또는 국소 ψ-지표(영어: local ψ-character) 의 국소 유사 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T1 공간 유사 지표(영어: pseudo-character) 또는 ψ-지표(영어: ψ-character) 는 모든 점의 국소 유사 지표의 상한이다.

π-지표[편집]

위상 공간 의 점 국소 π-기저(영어: local π-base)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이다.

  • 이며, 의 임의의 근방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의 점 국소 π-지표(영어: local π-character) 의 국소 π-기저의 최소 크기이다.

위상 공간 π-지표(영어: π-character)는 는 모든 점의 국소 π-지표의 상한이다.

밀착도[편집]

위상 공간 의 부분 집합 및 그 폐포의 점 에 대하여, 의 최소 크기라고 하자.

위상 공간 의 점 국소 밀착도(영어: local tightness)는 다음과 같다.

위상 공간 밀착도(영어: tightness)는 는 모든 점의 국소 밀착도의 상한이다.

가산 생성 공간인 위상 공간이다.

성질[편집]

위상 공간 이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증명 (ㄱ):

의 증명.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열린집합들의 집합족이라고 하자. 조밀 집합이라고 하자. 임을 보이면 족하다. 조밀성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를 수 있다. 가 서로소이므로, 단사 함수이다. 따라서 이다.

의 증명. 의 π-기저라고 하자. 조밀 집합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르자. 그렇다면,

조밀 집합이며, 이다.

의 증명. 모든 기저는 π-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기저를 이루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의 망이라고 하자. 임을 보이면 족하다. 이는

전사 함수이므로 자명하다.

증명 (ㄴ):

의 증명. 의 망이라고 하자. 조밀 집합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을 고르자. 그렇다면,

조밀 집합이며, 이다.

의 증명. 의 망이라고 하자. 열린 덮개라고 하자. 인 부분 덮개 를 찾으면 족하다.

라고 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르자. 그렇다면,

의 부분 덮개이며, 이다.

의 증명. 의 망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모든 기저는 망을 이루므로 자명하다.

증명 (ㄷ):

의 증명. 국소 기저라고 하자. 이며 라고 하자.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르자. 그렇다면,

는 위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의 증명. 의 임의의 국소 기저 에 대하여,

열린 근방들로 이루어진 국소 기저이며, 특히 의 국소 π-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증명 (ㄹ):

의 증명. (ㄷ)에 의하여 자명하다.

의 증명. 의 임의의 기저 및 임의의 에 대하여,

국소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모든 에 대하여 국소 기저 가 주어졌을 때,

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증명 (ㅁ):

의 증명. 모든 π-기저는 모든 점의 국소 π-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모든 점 에 대하여 국소 π-기저 가 주어졌고, 임의의 조밀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의 π-기저이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증명 (ㅂ):

임의의 에 대하여 이므로 자명하다.

증명 (ㅅ):

의 증명. 의 임의의 π-기저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의 크기 이하의 부분 집합들의 집합으로 가는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정칙 닫힌집합 에 대하여,

속의 서로소 열린집합 들로 구성된 집합족 가운데 극대 원소인 하나라고 하자. (이는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존재하며, 선택 공리에 따라 극대 원소들 가운데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이제, 함수

를 생각하자. 자명하게 이다. 만약 라면,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의 증명. 임의의 조밀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라면,

열린집합 를 골랐을 때,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콜모고로프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ㄱ)

증명 (ㄱ):

의 임의의 기저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콜모고로프 조건에 따라, 함수

단사 함수이다.

T1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ㄱ)
  • (ㄴ)
  • (ㄷ)
  • (ㄹ)
  • (ㅁ)

증명 (ㄱ):

의 증명. T1 조건에 따라 의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T1 조건에 따라 모든 기저는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의 증명. T1 조건에 따라 모든 열린집합이므로 자명하다.

증명 (ㄴ):

T1 조건에 따라 의 모든 국소 기저는 국소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증명 (ㄷ):

의 증명. (ㄴ)에 의하여 자명하다.

의 증명. 의 임의의 유사 기저 및 임의의 에 대하여,

의 국소 유사 기저이므로 자명하다.

증명 (ㄹ):

의 증명. 의 임의의 유사 기저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라면,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의 증명. 의 임의의 망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의 크기 이하의 부분 집합들의 집합으로 가는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의 국소 유사 기저 를 고르자. 임의의 에 대하여, 을 고르자. 이제, 함수

생각하자. (이므로 이다.) 만약 라면,

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증명 (ㅁ):

의 임의의 유사 기저 에 대하여,

의 망을 이루며,

이다.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ㄱ)
  • (ㄴ)

증명 (ㄱ):

의 증명. 임의의 조밀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함수

를 생각하자. 만약

라면,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이다. (두 번째 등식은 조밀성에 따라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의 증명. 만약 이라면, 이산 공간이며,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성립한다. 이제, 이라고 하자. 임의의 조밀 집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단사 함수

를 찾으면 족하다. 임의의 에 대하여, 국소 기저 를 고르자. 임의의 에 대하여

를 고르고,

라고 하자. 이제, 함수

를 생각하자. 자명하게

이다.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이다. 따라서, 만약

라면,

구문 분석 실패 (구문 오류): {\displaystyle \{x\}=\bigcap_{B\in\mathcal B_x}\operatorname{cl}(B\cap S_x)=\bigcap_{B\in\mathcal B_y}\operatorname{cl}(B\cap S_y)=\{y\} 이다. 즉, 이 함수는 [[단사 함수]]이다. {{증명 끝}} {{증명|부제=ㄴ}} <math>\psi w(X)\le\left|\operatorname{RegOpen}(X)\right|} 의 증명. 하우스도르프 공간에서, 정칙 닫힌집합들은 유사 기저를 이룬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의 증명. 만약 라면, 유한 이산 공간이며,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성립한다. 이제, 이라고 하자. 의 임의의 망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인 유사 기저 를 찾으면 족하다.

라고 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열린집합 를 고르자. 그렇다면, 하우스도르프 조건에 따라,

는 유사 기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자명하게

이다.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ㄱ):

정칙 하우스도르프 공간에서, 정칙 열린집합들은 기저를 이룬다. 따라서 이 부등식은 자명하게 참이다.

콤팩트 T1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ㄱ)

증명 (ㄱ):

T1 공간에 대한 명제 (ㅁ)의 증명과 유사하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위상 공간 및 부분 집합 가 주어졌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 T1 공간일 때,
  • T1 공간일 때,

만약 닫힌 연속 전사 함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참고 문헌[편집]

  • Juhász, István (1980). 《Cardinal functions in topology—ten years later》. Mathematical Centre Tracts (영어) 123 2판. Amsterdam: Mathematisch Centrum. ISBN 90-6196-196-3. MR 0576927. Zbl 0479.5400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