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세계원숭이
보이기
![]() | ||
---|---|---|
화석 범위: 올리고세–현대 | ||
![]() 다이애나원숭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영장목 | |
아목: | 직비원아목 | |
하목: | 원숭이하목 | |
소목: | 협비원소목 | |
상과: | 긴꼬리원숭이상과 (Cercopithecoidea) Gray, 1821 | |
과: | 긴꼬리원숭이과 (Cercopithecidae) Gray, 1821 | |
아과 | ||
| ||
긴꼬리원숭이의 분포 지역 | ||
![]() 구세계원숭이의 분포 지역 및 개체군 밀도 |
긴꼬리원숭이 또는 구세계원숭이는 포유류 영장목의 협비류에 속하는 긴꼬리원숭이상과 원숭이들의 총칭이다.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한다.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영장목 |
| |||||||||||||||||||||||||||||||||||||||||||||||||||||||||||||||||||||||||||||||||||||||
긴꼬리원숭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4][5]
긴꼬리원숭이과 |
| ||||||||||||||||||||||||||||||||||||||||||||||||||||||||||||||||||||||||||||||||||||||||||||||||
각주
[편집]- ↑ Cartmill, M.; Smith, F. H. (2011). 《The Human Lineage》.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21145-8.
- ↑ Orlando, L.; Calvignac, S.; Schnebelen, C.; Douady, C.J.; Godfrey, L.R.; Hänni, C. (2008). “DNA from extinct giant lemurs links archaeolemurids to extant indriids”. 《BMC Evolutionary Biology》 8 (121): 121. Bibcode:2008BMCEE...8..121O. doi:10.1186/1471-2148-8-121. PMC 2386821. PMID 18442367.
- ↑ Xing, Jinchuan; Wang, Hui; Han, Kyudong; Ray, David A.; Huang, Cheney H.; Chemnick, Leona G.; Stewart, Caro-Beth; Disotell, Todd R.; Ryder, Oliver A.; Batzer, Mark A. (2005). “A mobile element based phylogeny of Old World monkey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7 (3): 872–880. Bibcode:2005MolPE..37..872X. doi:10.1016/j.ympev.2005.04.015. PMID 15936216.
- ↑ Kingdon, Jonathan (2013). 《Mammals of Africa: Volume II》. Bloomsbury Publishing. 45쪽. ISBN 9781408122570.
- ↑ Hart, John; Detwiler, Kate M; Gilbert, Christopher C; Burrell, Andrew S (2012). “Lesula. A New Species of Cercopithecus Monkey Endemic to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of Congo’s Central Basin.”. 《PLoS One》. doi:10.1371/journal.pone.0044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