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머리랑구르
![]() | |
---|---|
![]() 흰머리랑구르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속: | 루뚱원숭이속 |
종: | 흰머리랑구르 (T. leucocephalus) |
학명 | |
Trachypithecus leucocephalus | |
Tan, 1957 | |
보전상태 | |
|
흰머리랑구르 (Trachypithecus leucocephalus)는 랑구르의 일종으로 멸종위급종의 하나이다. 중국 광시 성에서 서식한다.[2]
분류학
[편집]이전에는 현재 베트남의 고유중으로 간주하고 있는 깟바랑구르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3] 해당 분류학적 상태는 불확실했고, 프랑수아랑구르의 부분적인 백색증 개체군 또는 프랑수아랑구르의 아종, 별도의 종(T. leucocephalus), 깟바랑구르의 아종(T. poliocephalus leucocephalus) 등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IUCN 멸종위기종 목록 평가자와 미국 포유류학회는 2007년 두 종을 분리한 연구를 토대로 이제 이 종을 별도의 종으로 인정하고 있다.[2][4][3]
특징
[편집]흰머리랑구르는 검은색을 띠며 정수리와 뺨, 목이 희다(유사종 깟바랑구르와는 대조적으로 금색 정수리와 뺨, 목을 갖고 있다).
분포
[편집]흰머리랑구르는 중국 최남단 광시 좡족 자치구에 매우 작은 분포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카르스트 구릉 지대에 서식하며 몇몇 흩어진 개체군으로 알려져 있다. 좌강을 경계로 북쪽에 사는 프랑수아랑구르 분포 범위와 나누어진다.[2]
보전 상태
[편집]흰머리랑구르는 IUCN 절멸위급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약 250마리의 성체가 있는 600마리 이하의 개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지적인 개체군 중 어느 것도 25마리를 넘지 않는다. 주로 밀렵과 작은 정도의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다. 또한 프랑수아랑구르가 분포 범위 내에 들어 오면서, 흰머리랑구르와 교잡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유전적으로 랑구르에 해로울 수 있다.[2]
각주
[편집]-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마 Bleisch, B.; Long, Y. (2020). “Trachypithecus leucocephalus”. 《IUCN 적색 목록》 (IUCN) 2020: e.T39872A17988378. doi:10.2305/IUCN.UK.2020-2.RLTS.T39872A17988378.en. 2021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Explore the Database”. 《Mammal Diversity》. 2025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Grooves, C. (2007). “Speciation and biogeography of Vietnam's primates”. 《Vietnamese Journal of Primatology》 1 (1): 2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