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넌트콜로부스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붉은콜로부스속 |
종: | 페넌트콜로부스 (P. pennantii) |
학명 | |
Procolobus pennantii | |
(Waterhouse, 1838) | |
보전상태 | |
|

페넌트콜로부스(Procolobus pennantii)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하나이다. 이들 개체군은 비오코섬 (적도기니)과 나이지리아 동부의 니제르강 삼각주 그리고 콩고 공화국 중동부에 각각 격리되어, 기묘하게 분포하고 있어 생물지리학적 수수께기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1][3] 우림과 습지 늪에서 발견된다. 서식지 파괴와 부쉬미트를 위한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아종 "부비에"(bouvieri)는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4] 적어도 지난 20년 동안 목격된 적이 없어서, 일부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5]
다음과 같은 3종의 아종이 있다.[1]
- 비오코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pennantii pennantii)
- 나이저삼각주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pennantii epieni)
- 부비어붉은콜로부스 (Procolobus pennantii bouvieri)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붉은콜로부스의 계통 분류이다.[6]
| |||||||||||||||||||||||||||||||||||||||||||||||||||||||||||||
각주
[편집]- ↑ 가 나 다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0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Procolobus pennant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4일에 확인함.
- ↑ Kingdon, J. (1997). 《The Kingdon Guide to African Mammals》.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ISBN 0-12-408355-2.
- ↑ “Procolobus pennantii ssp. bouvier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7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0. 2008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ARKive. “페넌트붉은콜로부스”. 2008년 7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20일에 확인함.
- ↑ Nelson Ting: Molecular systematics of red colobus monkeys (Procolobus [Piliocolobus]):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an endangered primate. PhD thesis,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08,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