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회색랑구르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상과: | 긴꼬리원숭이상과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속: | 회색랑구르속 |
종: | 카슈미르회색랑구르 (S. ajax) |
학명 | |
Semnopithecus ajax | |
Pocock, 1928 | |
보전상태 | |
|
카슈미르회색랑구르(Semnopithecus ajax)는 랑구르에 속하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 다른 회색랑구르처럼 잎을 먹는 원숭이이다. 파키스탄 쪽 카슈미르[1]의 인도 서부와 네팔[2]에서 발견된다. 이전에는 북부평원회색랑구르(Semnopithecus entellus)의 아종으로 간주되었고, 타라이회색랑구르(Semnopithecus hector)와 회색술랑구르(Semnopithecus priam)와 같은 여러 회색랑구르속(Semnopithecus) 종의 학명은 일리아스(The Iliad)의 등장 인물들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3]
카슈미르회색랑구르는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인간의 농업과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제한되고 개체군이 파편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2]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형 동물이며,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다. 여러 종류의 숲뿐만 아니라 해발 2200 ~ 4000미터 사이의 지역에서 서식한다.[2]
카슈미르회색랑구르가 새끼를 낳는 철은 1월부터 6월까지지만, 새로 태어나는 새끼의 거의 절반은 3월에 태어난다.[4] 새끼는 대부분의 아시아 콜로부스보다 더 늦게 젖을 뗀다. 대부분의 아시아 콜로부스가 태어난 첫 해에 젖을 떼는 반면에 카슈미르회색랑구르는 평균적으로 약 25개월이 지나 젖을 뗀다.[4] 이는 분명히 영양 상태가 부족해지기 때문인 데, 열악한 장소에서의 원숭이들은 좀 즞은 시기에 젖을 뗀다.[4] 암컷이 새끼를 낳는 간격은 약 2.4년이다.[4]
카슈미르회색랑구르는 첫 5개월에 이르기까지 공동으로 새끼를 보살핀다.[4] 통상적으로 수컷은 새끼를 보호하지만, 가끔 새끼를 죽이는 경우도 일어난다.[4]
대부분의 아시아 콜로부스 집단이 단 한 마리의 수컷에 여러 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색랑구르속(Semnopithecus) 종들은 여러 마리의 수컷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카슈미르회색랑구르는 5마리나 되는 수컷이 포함된다.[4] 암컷이 수컷에게 구애행동을 해서 교미를 시작하지만, 모든 구애행동이 교미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4]
각주
[편집]- ↑ 가 나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4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Semnopithecus ajax”.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4일에 확인함.
- ↑ “Mammal Species of the World Semnopithecus”. 2012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R. Craig Kirkpatrick (2007). 〈The Asian Colobines〉. Christina J. Campbell, Agustin Fuentes, Katherine C. MacKinnon, Melissa Panger and Simon K. Bearder. 《Primates in Perspective》. 191-193,196쪽. ISBN 978-0-19-517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