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발회색랑구르
![]() | ||||||||||||||||||
검은발회색랑구르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Semnopithecus hypoleucos Blyth, 1841 | ||||||||||||||||||
![]() 검은발회색랑구르의 분포 지역 | ||||||||||||||||||
이명 | ||||||||||||||||||
Semnopithecus dussumieri |
검은발회색랑구르 (Semnopithecus hypoleucos)는 랑구르 중의 하나로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이다.[2] 다른 회색랑구르처럼 잎을 먹는 원숭이로 인도 남부에서 발견된다.
분류학[편집]
이전에는 북부평원회색랑구르의 아종으로 간주했다. 2003년 브랜던-존스(Brandon-Jones)가 수행한 연구에서 검은발회색랑구르가 남부평원회색랑구르의 아종일 수 있음을 지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검은두건랑구르와 남부평원회색랑구르 사이의 자연적인 잡종으로 간주하기도 했다.[3] 현재는 남부평원회색랑구르를 검은발회색랑구르의 후행 이명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4]
분포[편집]
검은발회색랑구르는 인도 남서와 서부(고아주와 카르나타카주, 케랄라주) 전역에 분포하지만 서고츠산맥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전체 분포 면적은 35,000 km2 보호 구역 안과 밖에서 서식한다.[3]
보전 상태[편집]
세 세대 또는 약 30년 이내에 개체수가 약 30% 감소(2008년 기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기 때문에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3]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Singh, M. & Molur, S. (2008). “Semnopithecus hypoleucos”.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e.T39838A10275235. doi:10.2305/IUCN.UK.2008.RLTS.T39838A10275235.en.
- ↑ Groves, C.P.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74쪽. ISBN 0-801-88221-4. OCLC 62265494.
- ↑ 가 나 다 “Semnopithecus hypoleucos (Black-footed Gray Langur, Dark-legged Malabar Langur, Malabar Sacred Langur)”. 《IUCN 적색 목록》 (IUCN). 2016년 12월 4일에 확인함.
- ↑ “Semnopithecus dussumieri”. ITIS. 2020년 4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