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허준이
June Huh
2018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의 허준이.
2018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의 허준이.
출생 1983년 6월 9일(1983-06-09)(40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국적 미국
주요 업적 대수기하학조합론 문제에 응용
수상
  •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2017)
  • 뉴 호라이즌 수학상(2019)
  • 삼성호암상 과학상(2021)
  • 필즈상(2022)
  •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 2022)
분야 수학
소속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박사 교수 미르체아 무스타처(Mircea Mustață)

허준이(許埈珥, 영어: June E Huh 준이 허[*]; 1983년 6월 9일~)는 한국계 미국인 수학자이다.[1]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이다. 2022년에 필즈상과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을 받았다.

생애[편집]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퍼드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 중이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허명회이다. 2살 때 귀국하여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 중학교를 졸업했으나 고등학교는 중퇴했다.

2002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2009년 동 대학에서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와 김영훈 교수의 지도 하에 수리과학부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가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Mircea_Mustață([[:en:{{{3}}}|영어판]]) 교수의 지도 하에 2014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3]

업적[편집]

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4] 리드 추측은 지도를 칠하는 방법을 단순화한 4색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5]

가장한 간단한 구조인 삼각형의 꼭짓점을 칠하는 경우의 다항식은

이며, 계수의 절대값은 1, 3, 2이다. 1968년 제기된 이 추측을 2012년 박사과정 재학 중 대수기하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증명하였다.[5]

2015년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해결하였다.[5]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 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다.[5]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5]

필즈상 수상[편집]

허준이는 아래의 업적을 이유로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2022년 필즈상을 수상하였다.[1]

  • Hodge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 기하적 격자에서 Dowling-Wilson 추측의 증명
  • 매트로이드에서 Heron-Rota-Welsh 추측의 증명
  •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 강한 Mason 추측의 증명

길 칼라이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교수가 허준이의 업적을 소개하는 16쪽 분량의 헌사를 작성하였다.[6]

2006년 필즈상 수상자인 안드레이 오쿤코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가 허준이의 업적을 대중에게 알리는 43쪽 분량의 "Combinatorial geometry takes the lead"을 작성하였다.[7] 허준이 본인은 27쪽 분량의 프로시딩스 페이퍼 "Combinatorics and Hodge theory"를 썼다.[8]

학력[편집]

  •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9]
  • 서울대학교 학사 졸업 (수리과학부, 물리천문학부 복수전공) (2007)[10]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석사 졸업 (2009)
  • 미시간 대학교 수학과 박사 졸업 (2014)[11][4]

경력[편집]

수상[편집]

각주[편집]

  1. “June Huh's CV” (pdf). 
  2. Hartnett, Kevin (2017년 6월 27일).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영어). 2022년 7월 6일에 확인함. 
  3. “June Huh, High School Dropout, Wins the Fields Medal” (영어). 2022년 7월 5일. 2022년 7월 6일에 확인함. 
  4. Hartnett, Kevin (2017년 6월 27일).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Quanta Magazine》 (영어). 2018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5. 문다영 (2022년 7월 5일). "수학 우주에 '조합론'과 '대수기하' 잇는 웜홀 만들어". 《연합뉴스》.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6. Kalai, Gil (July 2022). “The Work of June Huh”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2022w》. 
  7. Okounkov, Andrei (2022년 7월 8일). “Combinatorial geometry takes the lead” (영어). arXiv:2207.03875 [math.HO]. 
  8. June Huh. “Combinatorics and Hodge theory” (PDF). 2022년 8월 9일에 확인함. 
  9. 조가현; 최영준 (2014).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디라이브러리》. 
  10. 물리학과에 02학번으로 입학했다. 2006년에 물리학과와 천문학과가 물리천문학부로 통합되었다.
  11. 2009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수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였다가 2011년에 미시간 대학교로 옮겼다.
  12. https://www.claymath.org/people/june-huh
  13. “보관된 사본”. 2019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14. https://prod.lsa.umich.edu/math/graduates/StudentAwards.html
  15. “보관된 사본”. 2019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6. “보관된 사본”. 2020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0일에 확인함. 
  17. https://www.youtube.com/watch?v=ceGEZdjnxRw
  18. “Breakthrough Prize – Mathematics Breakthrough Prize Laureates – June Huh” (영어).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19. “삼성호암상 역대 수상자”. 《호암재단》.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