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삼국지/보존2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번역/저품질 문서

영어 위키백과의 삼국지 프로젝트에서 중요하다고 평가한 문서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없거나 토막글 상태인 문서 목록입니다. 원래 위키백과:미번역 문서에 있는데, 삼국지 관련 문서는 거의 번역이 끝나 유지보수할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이리로 복사해놓고 그쪽 문서는 조만간 삭제하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10월 23일 (화) 15:19 (KST)답변

Top-importance Three Kingdoms articles (2/8)

  1. en:Military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0)
  2. en:Timelin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1)

High-importance Three Kingdoms articles (19/69)

  1. en:Battle of Dongkou (0)
  2. en:Battle of Hefei (208) (1)
  3. en:Battle of Hefei (233) (0)
  4. en:Battle of Hefei (234) (0)
  5. en:Battle of Hefei (253) (0)
  6. en:Battle of Jiameng Pass (1)
  7. en:Battle of Jiangling (223) (0)
  8. en:Battle of Mount Dingjun (8)
  9. en:Battle of Ruxukou (217) (0)
  10. en:Battle of Wuzhang Plains (10)
  11. en:Battle of Xiakou (3)
  12. en:Battle of Xiangyang (191) (3)
  13. en:Battle of Xincheng (3)
  14. en:Battle of Yijing (2)
  15. en:History of the Han Dynasty (0) 좋은 글 문서
  16. en:Lü Meng's invasion of Jing Province (3)
  17. en:Oath of the Peach Garden (6) → 도원결의 토막글 문서
  18. en:Revolt of Tianshui (2)
  19. en:Siege of Chencang (4)

Mid-importance Three Kingdoms articles (32/174)

  1. en:Battle of Baxi (2)
  2. en:Battle of Boma (2)
  3. en:Battle of Cangting (2)
  4. en:Battle of Didao (0)
  5. en:Battle of Dushi Ford (0)
  6. en:Battle of Fengqiu (1)
  7. en:Battle of Han River (1)
  8. en:Battle of Jiangling (208) (3)
  9. en:Battle of Jiangxia (2)
  10. en:Battle of Lucheng (0)
  11. en:Battle of Xingshi (1)
  12. en:Battle of Xingyang (190) (2)
  13. en:Battle of Yan Ford (1)
  14. en:Battle of Yangcheng (2)
  15. en:Battle of Yiling (208) (2)
  16. en:Campaign against Yuan Shu (1)
  17. en:Cao Jun (Prince Gong of Chenliu) (2)
  18. en:Cao Xiong (7) → 조웅 토막글 문서
  19. en:Empty Fort Strategy (6)
  20. en:Goguryeo–Wei War (3)
  21. en:Liang Province Rebellion (4)
  22. en:List of fictitious stories i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1)
  23. en:Longzhong Plan (3)
  24. en:Ma Zhong (Han Dynasty) (5) → 마충 (동오) 시작 문서
  25. en:Red Cliffs order of battle (0)
  26. en:Second Rebellion in Shouchun (1)
  27. en:Siege of Jicheng (1)
  28. en:Sima Yi's Liaodong campaign (4)
  29. en:Sun Ce's conquests in Jiangdong (3)
  30. en:Zhang Bao (Yellow Turban) (11) → 장보 (후한) 시작 문서
  31. en:Zhang Liang (Yellow Turban) (9) → 장량 (후한) 토막글 문서
  32. en:Zuo Ci (7) → 좌자 토막글 문서

Low-importance Three Kingdoms articles (217/503)

  1. en:Ahuinan (7) → 아회남 토막글 문서
  2. en:Bao Sanniang (3)
  3. en:Battle of Qichun (0)
  4. en:Battle of Ruxukou (213) (0)
  5. en:Battle of Sishui Pass (0)
  6. en:Battle Vixens (11) → 일기당천 토막글 문서
  7. en:Bei Yan (6) → 비연 시작 문서
  8. en:Bian Xi (8) → 변희 토막글 문서
  9. en:Bi Gui (2)
  10. en:Bo Cai (rebel) (6) → 파재 시작 문서
  11. en:Budugen (3)
  12. en:Cai He (6) → 채화 시작 문서
  13. en:Cai Zhong (6) → 채중 (삼국지연의) 시작 문서
  14. en:Cao Anmin (8) → 조안민 토막글 문서
  15. en:Cao Cao's invasion of Xu Province (1)
  16. en:Cen Pi (3) → 잠벽 토막글 문서
  17. en:Cheng Kuang (2) → 정광 (후한) 토막글 문서
  18. en:Cheng Wu (5)
  19. en:Cheng Yi (Han Dynasty) (7) → 성의 (후한) 시작 문서
  20. en:Cheng Yuanzhi (8) → 정원지 시작 문서
  21. en:Chen Ying (Chen Gui's son) (0)
  22. en:Chen Ying (fictional) (5) → 진응 시작 문서
  23. en:Cui Liang (Three Kingdoms) (2)
  24. en:Dailai Dongzhu (4) → 대래동주 시작 문서
  25. en:Dang Jun (3)
  26. en:Deng Mao (7) → 등무 토막글 문서
  27. en:Dongtuna (5) → 동도나 시작 문서
  28. en:Duan Gui (5) → 단규 토막글 문서
  29. en:Du Yuan (1)
  30. en:Dynasty Warriors 6 (5)
  31. en:Ehe Shaoge (5) → 아하소과 시작 문서
  32. en:Empress Bian (Cao Huan) (3)
  33. en:Empress Bian (Cao Mao) (2)
  34. en:Empress Dowager He (Sun Hao) (3)
  35. en:Empress Fu Shou (7) → 복황후 시작 문서
  36. en:Empress Mao (Ming) (5)
  37. en:Empress Pan (Da) (4)
  38. en:Empress Wang (Cao Fang) (2)
  39. en:Empress Zhang (Cao Fang) (3) → 장황후 (조위) 토막글 문서
  40. en:Empress Zhang (Liu Shan, former) (7) → 경애황후 토막글 문서
  41. en:Empress Zhang (Liu Shan, later) (5) → 장황후 (촉한) 토막글 문서
  42. en:Empress Zhen (Cao Fang) (7) → 회황후 토막글 문서
  43. en:Empress Zhu (Jing) (3)
  44. en:End of the Han Dynasty (3)
  45. en:Fang Yue (4) → 방열 토막글 문서
  46. en:Fan Qiang (6) → 범강 시작 문서
  47. en:Five Tiger Generals (11) → 오호대장군 시작 문서
  48. en:Gan Ji (7) → 우길 토막글 문서
  49. en:Gong Du (2) → 공도 (후한) 시작 문서
  50. en:Gong Jing (4)
  51. en:Gongsun Fan (4) → 공손범 시작 문서
  52. en:Gongsun Gong (7) → 공손공 시작 문서
  53. en:Gongsun Xu (4) → 공손속 시작 문서
  54. en:Gongsun Yue (7) → 공손월 시작 문서
  55. en:Gong Zhi (5) → 공지 토막글 문서
  56. en:Guanqiu Dian (3) → 관구전 시작 문서
  57. en:Guanqiu Xiu (2) → 관구수 토막글 문서
  58. en:Guan Suo (9) → 관색 토막글 문서
  59. en:Guan Tong (4) → 관통 (촉한) 토막글 문서
  60. en:Guo Sheng (eunuch) (4) → 곽승 (후한) 토막글 문서
  61. en:Guo Youzhi (3)
  62. en:Han De (5) → 한덕 토막글 문서
  63. en:Han Fu (fictional) (5) → 한복 (삼국지연의) 시작 문서
  64. en:Han Zhong (rebel) (4) → 한충 (후한) 시작 문서
  65. en:Heishan bandits (2)
  66. en:He Man (rebel) (6) → 하만 (후한) 토막글 문서
  67. en:He Yi (7) → 하의 토막글 문서
  68. en:He Zhi (2)
  69. en:Hua He (6)
  70. en:Huaman (2) → 화만 토막글 문서
  71. en:Huang Chengyan (3) → 황승언 시작 문서
  72. en:Huchuquan (6) → 호주천 시작 문서
  73. en:Hu Ji (2)
  74. en:Jia Fan (6) → 가범 토막글 문서
  75. en:Jia Hua (4) → 가화 (오나라) 시작 문서
  76. en:Jiang Yiqu (3) → 장의거 토막글 문서
  77. en:Jian Shuo (7) → 건석 시작 문서
  78. en:Ji Ben (4)
  79. en:Ji Kang (13) → 혜강 시작 문서
  80. en:Jinhuan Sanjie (4) → 금환삼결 토막글 문서
  81. en:Jin Yi (4) → 금위 토막글 문서
  82. en:King Midang (3) → 미당대왕 시작 문서
  83. en:King Mulu (4) → 목록대왕 시작 문서
  84. en:Kong Xiu (6) → 공수 (위) 토막글 문서
  85. en:Kong Zhou (3) → 공주 (공서) 토막글 문서
  86. en:Lady Gan (5) → 소열황후 시작 문서
  87. en:Lady Mi (3)
  88. en:Lady Wu (6)
  89. en:Lady Xiahou Hui (3) →하후휘 시작 문서
  90. en:Lady Xie (2)
  91. en:Lei Tong (6) → 뇌동 토막글 문서
  92. en:Liang Gang (Han Dynasty) (6) → 양강 시작 문서
  93. en:Liang Xi (4) → 양습 토막글 문서
  94. en:Liang Xing (6) → 양흥 시작 문서
  95. en:Liang Xu (2) → 양서 (삼국지) 시작 문서
  96. en:Li Meng (5) → 이몽 (후한) 시작 문서
  97. en:Ling Cao (8) → 능조 토막글 문서
  98. en:List of Battle Vixens characters (1)
  99. en:List of fictional people of the Three Kingdoms (2)
  100. en:List of K.O.3an Guo episodes (0)
  101. en:Li Su (Han Dynasty) (6) → 이숙 (후한) 시작 문서
  102. en:Li Tong (Wenda) (5) → 이통 시작 문서
  103. en:Liu Chen (6) → 유심 토막글 문서
  104. en:Liu Du (warlord) (3) → 유탁 토막글 문서
  105. en:Liu Fu (Yuanying) (3)
  106. en:Liu Gai (2) → 유괴 (후한) 시작 문서
  107. en:Liu Hui (20) → 유휘 토막글 문서
  108. en:Liu Ling (7) → 유령 (서진) 토막글 문서
  109. en:Liu Pan (1)
  110. en:Liu Qi (Liu Biao's son) (8) → 유기 (후한) 시작 문서
  111. en:Liu Xian (fictional) (2) → 유현 (삼국지) 토막글 문서
  112. en:Liu Xuan (Three Kingdoms) (3) → 유선 (문형) 토막글 문서
  113. en:Liu Xun (Liu Zhang's son) (2) → 유순 (삼국지) 시작 문서
  114. en:Louban (1)
  115. en:Lü Dai (6)
  116. en:Lü Gong (5) → 여공 토막글 문서
  117. en:Lu Ji (Shiheng) (10)
  118. en:Lü Kuang (5) → 여광 (후한) 시작 문서
  119. en:Lü Lingqi (1)
  120. en:Lun Zhi (5) → 윤직 토막글 문서
  121. en:Lü Weihuang (4) → 여위황 시작 문서
  122. en:Lu Yan (Lu Xun's son) (1)
  123. en:Ma Jun (8)
  124. en:Ma Miao (1) → 마막 시작 문서
  125. en:Mangyachang (3) → 망아장 시작 문서
  126. en:Ma Xiu (6) → 마휴 시작 문서
  127. en:Ma Yunlu (4) → 마운록 시작 문서
  128. en:Ma Zun (4) → 마준 토막글 문서
  129. en:Mengchong (1)
  130. en:Meng Jie (3)
  131. en:Meng You (7) → 맹우 시작 문서
  132. en:Mu Shun (eunuch) (0)
  133. en:Ning Sui (1) → 영수 (삼국지) 토막글 문서
  134. en:Niu Fu (8) → 우보 (후한) 시작 문서
  135. en:Ou Xing (2) → 구성 (후한) 토막글 문서
  136. en:Pan Feng (6) → 반봉 토막글 문서
  137. en:Pang Yi (4) → 방희 토막글 문서
  138. en:Panlin (1)
  139. en:Pei Yuanshao (6) → 배원소 시작 문서
  140. en:Qiangduan (0)
  141. en:Qian Hong (Three Kingdoms) (2)
  142. en:Qin Qi (6) → 진기 (삼국지연의) 토막글 문서
  143. en:Qiu Ben (1)
  144. en:Qiu Jian (Three Kingdoms) (4) → 구건 토막글 문서
  145. en:Ruan Xian (4)
  146. en:Second Chinese domination of Vietnam (4)
  147. en:Shi Kuang (3) → 사광 시작 문서
  148. en:Sima Jun (2)
  149. en:Stone Sentinel Maze (2)
  150. en:Su Fei (5) → 소비 (후한) 시작 문서
  151. en:Sui Yuanjin (3) → 휴원진 시작 문서
  152. en:Sun Ji (general) (1)
  153. en:Sun Lang (3) → 손랑 시작 문서
  154. en:Sun Zhong (rebel) (2) → 손중 토막글 문서
  155. en:Su You (4) → 소유 (후한) 시작 문서
  156. en:Taishi Xiang (6) → 태사향 토막글 문서
  157. en:Tao Jun (Three Kingdoms) (1) → 도준 시작 문서
  158. en:Teng Fanglan (4)
  159. en:Teng Xiu (2)
  160. en:Teng Yin (5)
  161. en:The Legend of Guan Gong (0)
  162. en:The Quatrain of Seven Steps (1)
  163. en:The Ravages of Time (3)
  164. en:Third Rebellion in Shouchun (1)
  165. en:Three Kingdoms (manhua) (1)
  166. en:Tian Xu (2)
  167. en:Valley of the Fallen Phoenix (2)
  168. en:Wang Bi (12) → 왕필 시작 문서
  169. en:Wang Fang (Han Dynasty) (4) → 왕방 시작 문서
  170. en:Wang Kang (3)
  171. en:Wang Tao (Three Kingdoms) (1) → 왕도 (삼국지) 토막글 문서
  172. en:Wang Ye (2)
  173. en:Wang Yuanji (8) → 왕원희 시작 문서
  174. en:Wang Zhi (fictional) (5) → 왕식 토막글 문서
  175. en:Wei Miao (1)
  176. en:Wei Zhao (Three Kingdoms) (4)
  177. en:Wen Hui (3) → 온회 토막글 문서
  178. en:Wooden ox (2)
  179. en:Wu Hu (6)
  180. en:Wu Zhi (6)
  181. en:Xiahou De (5) → 하후덕 토막글 문서
  182. en:Xiahou En (7) → 하후은 토막글 문서
  183. en:Xiang Xiu (6) → 상수 (서진) 시작 문서
  184. en:Xie Jing (3) → 사정 (동오) 시작 문서
  185. en:Xing Daorong (4) → 형도영 토막글 문서
  186. en:Xin Xianying (3)
  187. en:Xi Zhicai (6) → 희지재 토막글 문서
  188. en:Xue Xu (0)
  189. en:Xue Ying (4)
  190. en:Xu Miao (3) → 서막 토막글 문서
  191. en:Xu Zheng (Three Kingdoms) (3) → 서정 (동오) 토막글 문서
  192. en:Xu Zhi (3)
  193. en:Yang Huai (3) → 양회 시작 문서
  194. en:Yang Huiyu (5) → 양휘유 시작 문서
  195. en:Yang Zuo (3) → 양조 (조위) 시작 문서
  196. en:Yan Xing (Han Dynasty) (4)
  197. en:Yin Shang (4) → 윤상 (촉한) 시작 문서
  198. en:Yu Huan (1)
  199. en:Zhang Da (Three Kingdoms) (5) → 장달 토막글 문서
  200. en:Zhang Fei Temple (2)
  201. en:Zhang Heng (Han Dynasty) (3) → 장횡 (후한) 토막글 문서
  202. en:Zhang Ju (3)
  203. en:Zhang Mancheng (5) → 장만성 토막글 문서
  204. en:Zhang Qiu (0)
  205. en:Zhang Zun (5) → 장준 (촉한) 토막글 문서
  206. en:Zhao Cen (3)
  207. en:Zhao Hong (rebel) (4) → 조홍 (후한) 시작 문서
  208. en:Zhao Tong (3) → 조통 (촉한) 토막글 문서
  209. en:Zhao Zhong (6) → 조충 (후한) 토막글 문서
  210. en:Zhi Qian (4)
  211. en:Zhou Shan (3)
  212. en:Zhou Xun (Three Kingdoms) (4)
  213. en:Zhu Bao (4) → 주포 토막글 문서
  214. en:Zhuge Shang (8) → 제갈상 시작 문서
  215. en:Zong Yu (2)
  216. en:Zou Jing (6) → 추정 (후한) 시작 문서

다른 언어 인터위키가 없는 삼국지 인물 목록

반대로 분류:삼국지의 인물 중 다른 언어 위키백과로의 인터위키 링크가 없는 문서입니다. 위의 미번역 문서 목록과 비교해서 같은 인물이면 연결해주시고, 삼국지/삼국지연의 등에 나오지 않는 출처불명의 인물이라면 삭제 등 적절히 처리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0월 23일 (화) 15:57 (KST)답변

  1. 갈옹
  2. 갑훈
  3. 강경 (위)
  4. 강하팔준
  5. 경포 (후한)
  6. 계옹
  7. 고대 (후한)
  8. 곡리
  9. 공기 (촉한)
  10. 공손기
  11. 공손독
  12. 곽노
  13. 곽마
  14. 곽배
  15. 곽조
  16. 곽훈
  17. 관중십장
  18. 관통 (후한)
  19. 글염
  20. 뇌서
  21. 능렬
  22. 능봉
  23. 당빈
  24. 대릉
  25. 대원 (후한)
  26. 도승
  27. 도황
  28. 동귀비
  29. 동초
  30. 두기 (공량)
  31. 마한 (삼국지)
  32. 맹대
  33. 모용렬
  34. 묘택
  35. 문칙
  36. 민공 (후한)
  37. 배서
  38. 부섭
  39. 사웅 (촉한)
  40. 삼조
  41. 상광
  42. 상조 (조위)
  43. 서곤
  44. 서구 (사람)
  45. 서씨 (삼국지)
  46. 서훈 (후한)
  47. 선우보
  48. 설후
  49. 성하 (후한)
  50. 소제 (조위)
  51. 손고
  52. 손린
  53. 손술
  54. 순개
  55. 순연
  56. 순우도
  57. 순정 (삼국지)
  58. 십이지장 (오나라)
  59. 양령
  60. 여상 (삼국지연의)
  61. 연 (동오)
  62. 오 사천왕
  63. 왕건 (삼국지)
  64. 왕굉 (장문)
  65. 왕기 (공여)
  66. 왕반
  67. 왕함
  68. 우독
  69. 원기
  70. 원매 (후한)
  71. 원성
  72. 위 사천왕
  73. 위정
  74. 유반
  75. 유순 (후한)
  76. 유자혜
  77. 유준 (삼국지)
  78. 유평
  79. 유헌
  80. 유훈 (후한)
  81. 육강
  82. 윤대목
  83. 율성
  84. 음수 (후한)
  85. 이구 (촉한)
  86. 이권
  87. 이보
  88. 이연 (후한)
  89. 이형 (동오)
  90. 장균
  91. 장노
  92. 장도 (후한)
  93. 장선
  94. 장세평
  95. 장자겸
  96. 장패 (후한)
  97. 저종
  98. 적원
  99. 전서 (동오)
  100. 조독
  101. 조예 (후한)
  102. 종신
  103. 종진
  104. 좌령
  105. 주평
  106. 주한
  107. 중국 삼국 시대의 역대 황제
  108. 진용
  109. 진화 (동오)
  110. 진힐
  111. 창기
  112. 채부인
  113. 촉한사상
  114. 최거업
  115. 탁응
  116. 토안
  117. 팔건장
  118. 팽안
  119. 포도 (후한)
  120. 필심
  121. 한경 (삼국지)
  122. 한기 (삼국지연의)
  123. 한영 (삼국지)
  124. 한요
  125. 한재
  126. 한형
  127. 해니
  128. 호모반
  129. 화언
  130. 환린
  131. 후문

삼국지 인물 문서의 출처

수많은 인물 문서들에 출처가 없습니다. (틀:삼국지 주요 등장인물의 인물 문서 참고) 사람들이 위키백과의 글을 믿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있어야 합니다. 역사를 확인해보니 (가공의 인물이 아닌 문서의 경우) 출처가 없는 상황 속에서 여러 사용자들이 생몰년을 수차례 바꾸고(확인 가능한 출처가 없어서 직접적인 생몰년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할 수 있다면 몇몇 문서에는 일일이 출처를 넣었습니다.) 인물에 대한 비평, 평가 단락에도 반드시 출처가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전무합니다. 필요한 부분에 출처를 넣기도 했으나 아직도 출처가 상당히 부족하기 때문에 삼국지 관련 문서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를 참조하였다면 그 위키백과 문서 자체를 한국어 위키백과의 한 문서의 출처로 삼는 것이 아니라(예: 출처≠일본어 위키백과), 그 안에 있는 참고문헌을 가져와야 합니다. --ted (토론) 2012년 11월 21일 (수) 13:40 (KST)답변

사소한 이야기입니다만, 출처를 넣는 중에 질문을 드립니다. 현재 삼국지와 관련된 중국의 이십사사 중 완역본이 있는 것은 정사 삼국지뿐입니다. 그러나 김원중역은 번역의 질이 별로 좋지 않아서, 현재까지는 김원중역에 의지하지 않고 위키문헌에 있는 원문을 기반으로 출처를 붙이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원문 그 자체를 인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지금까지는 그저 '삼국지 권31 촉서 제1 유이목전에서 인용했다.'는 정도의 출처만을 붙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배주는 김원중역에서 얼마나 다뤘는지 알 수가 없어, 차차 원문 자체를 밝히고 있습니다. 환범 항목의 출처가 그 예가 되겠습니다. 이게 괜찮다면 앞으로는 이 환범 항목에서 출처를 밝히는 것과 같이 할 것 같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2년 12월 19일 (수) 18:47 (KST)답변
출처는 자세하게 밝혀주실수록 다른 사람이 위키백과:확인 가능에 의거하여 확인이 쉬워집니다. 웹사이트 링크나 위키문헌 정도야 원문을 "찾기"를 통해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겠으나, 서적 인용 시에는 적어도 쪽 번호는 반드시 알려 주어야 합니다. 쪽 번호 없이 책하고 출판사만 떠그라니 출처로 걸려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출처 확인을 위해 첫 페이지부터 수백, 수천 페이지까지 다 읽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ted (토론) 2013년 1월 14일 (월) 12:16 (KST)답변

여전히 달랑 책 이름 하나만 갖다 놓고 기존 출처 필요 틀을 제거하는 행위가 반복되고 있군요. 백:확인 가능에 의거 다른 사용자들의 참조가 불가능한데 여전히 출처 확인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상단에 언급되어 있듯이 출판사와 책 제목, 쪽번호는 필수입니다. --ted (토론) 2013년 5월 26일 (일) 22:00 (KST)답변

동명이인 가를 때 관위를 쓰는 게 어떻습니까?

현재까지는 동명이인을 가를 때에 관직명은 쓰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소속이 같은 유찬(留贊)과 유찬(劉纂)은 소속국으로 나눌 수도 없고 출신과 자는 한 쪽이 미상이라 좀 부적당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둘이 지낸 관직은 알 수 있으므로, 관직으로 나누면 좀 더 명료한 면이 있습니다. 留贊은 좌장군에서 죽었고 劉纂은 거기장군까지만 지냈으므로, 유찬 (좌), 유찬 (거기)와 같은 식으로 하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까닭으로, 관직도 고려해 볼 만한 한 가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2년 12월 22일 (토) 21:50 (KST)답변

나중에 표제어를 입력해서 찾거나 할 때, 연상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관위에 비해 자나 소속, 시대 등이 훨씬 쉽지 않을까요? --威光 (토론) 2012년 12월 25일 (화) 08:10 (KST)답변
그러나 이 두 유찬은 언급하신 것 중 어떤 것으로도 구별하기가 부적당하지 않습니까? 소속과 시대는 같고, 자는 한쪽이 미상이라.--Synparaorthodox (토론) 2012년 12월 25일 (화) 16:00 (KST)답변

정사 위주로 삼국지 관련 문서를 편집해야 합니다.

삼국지는 단순한 소설이 아니라 서기 200년을 전후하여(정확히는 서기 180년부터 서기 280년까지 100년간의 기간) 중국에서 실제로 있었던 사건들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물들이 실존인물들이고 이에 따라 역사대로 기술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둬야 합니다. 삼국지연의의 경우 나본 개인의 의견에 의한 독자연구덩어리에 지나지 않는 소설이므로 이것이 정사보다 더 우선순위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나본이는 독자연구를 마음껏 해도 되고 위키백과 유저들은 절대 독자연구를 하면 안된다면 일단 형평성부터 어긋납니다.118.36.192.59 (토론) 2013년 6월 4일 (화) 19:01 (KST)답변

마지막 문장이 잘 이해가 안 가네요. 곧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독자연구를 해도 된다라는 뜻인가요? 연구 자체는 좋지만, 그 연구가 말씀하신대로 철저히 정사에 입각했는지 살펴보아야겠지요. -威光 (토론) 2013년 6월 4일 (화) 22:05 (KST)답변
철저히 정사에 입각한 것 맞습니다. 특히 관우가 쌀을 훔쳐먹은 건 정사 여몽전에 명백히 나와있는 내용인데 님이야말로 사견이라 박박 우겨가면서 까지 토론을 회피하려고 하니 갑갑할 뿐입니다.118.36.192.59 (토론) 2013년 6월 16일 (일) 21:55 (KST)답변
자꾸 '쌀'만 언급하시는데... 다른 부분은 왜 해명이 없으신지요? 저는 관우가 쌀을 훔쳤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이미 사용자 토론 문서에서 말씀드렸기 때문에, 이하 내용은 생략합니다.--威光 (토론) 2013년 6월 16일 (일) 23:05 (KST)답변
부정하지 않는다면서 되돌리기를 하고 거기다 사견[1]이라는 말을 넣으니 한입으로 두말을 하는 셈이로군요. 자신을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채 다른 사람의 행동거지만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것이 딱 병림픽수준의 토론자세로군요. 그리고 사용자토론에 가보니 틀남발금지 외엔 뭐 아무것도 없는데 그거 갖고 계속 물고늘어지는 건가요? 그냥 관우가 너무 좋아 미친 나머지 마구잡이로 편집해서 죄송합니다. 다음부터는 주의하겠습니다. 이 한마디 하기가 그렇게 어렵나요?118.36.192.59 (토론) 2013년 6월 17일 (월) 06:18 (KST)답변
뭔가 오해하시는 것 같은데요... 저는 관우에 아무런 감정도 없고, 관심도 없습니다. 더군다나 저는 분명히, 고의로 해당 내용을 지운 것이 아니라, 되돌리기 처리하면서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벌어진 일 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을 인정하고, 사과드렸습니다. 사용자 토론 문서에 있다는 '틀 남발 금지'는 제가 거기에 관여할 생각도 없습니다. 118.36.192.59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는 의도를 잘 모르겠습니다. 덧붙여, 해명을 부탁드린 건 아직 답변이 없으시군요. --威光 (토론) 2013년 6월 17일 (월) 19:45 (KST)답변
지금 확인해 보니, 차단당하셨군요. 앞으로는 토론 지침에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차단이 풀린 후 다시 오실지는 모르겠지만, 문제의 부분들은 별도 틀을 붙이도록 하겠습니다. 차단이 풀리신 후에 다시 이야기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威光 (토론) 2013년 6월 17일 (월) 19:50 (KST)답변

정사 오서 여몽전에는 관우가 쌀을 훔쳐먹은 내용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威光님이 이런 내용을 자꾸 사견이라 박박 우기시는데 정말 대책이 없습니다. 정사는 단 한줄도 안읽고 오로지 연의만 맹신해서 다른 사람의 의견은 무조건 사견으로 치부하고 무시하는 威光님에게는 도대체 뭐라고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눈있으면 똑똑히 보시기 바랍니다. 관우가 쌀훔쳐먹는건 정사 오서 여몽전에 분명히 명시되어 있습니다.

위나라는 우금을 시켜 번성을 구하도록 했지만(219년 7월), 관우가 우금 등 인마 수만 명을 모조리 포로로 잡았는데, 이로 인해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손권의 영지인) 상관(湘關)의 쌀을 마음대로 탈취하였다. 손권은 이 소식을 듣고 즉시 행동을 시작하여 먼저 여몽을 보내 앞에 가도록 했다.
 
— 《정사 오서 여몽전》

이 내용을 사견이라고 자꾸 박박 우겨서 답답해 미치겠습니다.118.36.192.59 (토론) 2013년 6월 16일 (일) 21:55 (KST)답변

죄송합니다만, 저는 연의는 안 읽고(정확히는, 초등학교 때 읽다 말았습니다...) 정사만 읽었습니다. 이 일과 관련해서는, 제 사용자 토론 문서에 찾아오셨기 때문에 그곳에 답변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118.36.192.59님 말씀대로라면 쌀 관련 부분 말고는 복구하실 이유가 없습니다. 관우의 생년 부분이라던지, 이외 평가라든지에 대한 부분을 해명해 주셨으면 합니다. 분명히 쌀에 관한 부분만 해명하셨습니다.
참, 미리 말씀드립니다만... 사용자 토론 문서에서 말씀드렸다시피, 편집 당시 특정 시점의 편집본으로 되돌리느라 이번의 쌀 관련 이야기처럼 애꿎은(?) 부분들도 편집되었습니다. 바로 위의 문단에서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저는 관우가 쌀을 훔쳤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번의 '쌀' 이외에도 그런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이 부분은 미리 사과 말씀 드립니다. --威光 (토론) 2013년 6월 16일 (일) 23:03 (KST)답변

단순 출처에 대하여

#삼국지 인물 문서의 출처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출처는 후한서 동탁전이다", "출처는 삼국지연의이다" 등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아닙니다. 해당 서적과 관련한 출판사가 분명히 존재함에도 이것이 제시되지 않았고, 또 쪽 번호가 제시되지 않아서 출처를 찾기 위해 해당 책을 통째로 다 읽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적어도 쪽 번호가 제시되어야 백:확인 가능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내용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 틀이 만들어진 이유이기도 합니다. "출처는 삼국지연의" 등으로 적어 놓고 출처 필요 틀을 계속 삭제하는 행위가 반복되고 있는데, 검증 가능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으면 출처 필요 틀을 다시 부착할 예정입니다. --ted (토론) 2013년 7월 23일 (화) 15:21 (KST)답변

음... 제 생각엔, 일종의 절충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해당 사료 자체를 위키문헌에서 참고한 경우는 말씀하신 것처럼 '쪽 번호'를 제시할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나마 최대한의 성의(?)라곤 원서 자체의 항목분류에 의거해서 '《후한서》 권74상 원소유표열전' 처럼 최대한 자세히 기록하는 것, 굳이 더더욱 필요하다면 해당 원문 자체를 그대로 옮겨적는 것이 있겠네요. 더군다나 주로 다루어지는 사료들 중 《삼국지》와 《자치통감》을 제외하면, 아예 우리나라에 번역서 자체가 없습니다. 그나마 '번역된' 《삼국지》도 역자의 자질이 의심될 정도로 저급한 번역으로 불쏘시개 취급을 받고 있고요. 아무리 성의를 보여도 원문을 제시할 수밖에는 없습니다. --威光 (토론) 2013년 7월 25일 (목) 00:25 (KST)답변
그 원문을 어디서 구할 수 있는가, 자료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인가가 중요한 것입니다. 백:확인 가능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확인을 위해 원문 전체를 모두 읽으라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또, 출처가 "위키문헌"이라면 그것이 출처임과 동시에 확인 가능한 위키문헌 링크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또, 문서 내에서 원문에는 언급되지 않은 "특정 사건이나 인물의 평가나 비평"이 들어가는 부분은 독자 연구의 의심이 발생할 수 있는데, 누구의 평가/비평인지 등에 대한 출처가 요구됩니다. --ted (토론) 2013년 8월 7일 (수) 12:44 (KST)답변
참고로 저는 한국어 번역서를 출처로 제시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문이어도 충분합니다. 그러나 독자에 대한 원문의 접근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굳이 한국이 아니더라도 다른 나라의 서적 출판사가 제시되어도 됩니다. (이 경우 쪽 또한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표준의 하나인 ISBN 등이 언급되어 있으면 접근 방법이 용이해집니다. 백:출처 밝히기에 따르면 "출처를 밝히실 때에는 글을 읽는 사람이 웹사이트 외부 링크 등을 통해 출처를 찾을 수 있게 되도록 완전하고 뚜렷하며 정확하게 밝혀 주셔야 합니다. 출처를 온라인에서 찾을 수 없는 경우 잘 알려진 도서관, 자료실, 콜렉션과 같은 곳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ISBN이나 OCLC 번호를 제공한다든지, 해당 문헌에 대한 위키백과 문서로 연결(작품, 저자, 출판사)한다든지, 직접 해당 문헌을 토론 페이지나 구문에 간략히 밝혀 주시면 됩니다."가 있습니다. 이는 관련 지침에도 나와 있듯이 독자가 위키백과의 글을 믿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독자 연구의 의심 또한 피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ted (토론) 2013년 8월 7일 (수) 12:49 (KST)답변

삼국지 위나라, 삼국지 오나라, 삼국지 촉나라 명칭 개정

현재 중국 삼국 시대와 관련한 각 나라별 분류는 삼국지 아무개 나라 식입니다. (예: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 분류:삼국지 오나라의 황후) 삼국지 아무개 나라 대신 조위, 동오, 촉한의 표제어를 도입할 것을 주장합니다. 즉,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 대신 분류:조위의 인물을 쓰며, 분류:삼국지 오나라의 황후 대신 분류:동오의 황후)를 쓰도록 제안합니다.

이렇게 하면 첫째로 분류명이 간편해지며, 둘째로 시대명도 아니고 그 시대의 대표적인 역사서의 이름을 가지고 구분하는 어색함을 피할 수 있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3년 8월 28일 (수) 18:14 (KST)답변

동의합니다. 애초에 생각컨데, 표제어의 '삼국지~'도 어차피 역사서가 아니라 삼국지연의를 상정하고 분류된 것이리라 생각합니다. 소설 이전에 역사로써 취급하려면, 이런 '삼국지'라는 분류 자체부터 없애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威光 (토론) 2013년 8월 28일 (수) 23:15 (KST)답변

안녕하세요. 다소 늦은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의견을 남기고자 합니다. 일단 인물 분류의 명칭을 바꾸기 이전에 인물 분류명을 상위 분류명과 연동시키기 위해 해당 분류들의 최상위 분류, 즉 분류:위나라 (삼국 시대), 분류:오나라 (삼국 시대), 분류:촉나라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분류는 위에 나와있다시피 '위나라', '오나라', '촉나라' 식으로 되어있으며, 이런 명칭은 분류:한나라, 분류:당나라, 분류:원나라, 분류:명나라, 분류:청나라 등 다른 시대의 국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위나라', '오나라', '촉나라'의 분류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 제 의견이며, 하위의 인물 분류명은 현재의 '삼국지 ○나라의 ~' 형식에서 '삼국지'를 뺀 '○나라의 ~' 또는 '○나라 (삼국 시대)의 ~'로 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8월 13일 (목) 16:30 (KST)답변

말씀대로 할 경우, 각기 위촉오의 한국어 위키백과 표제어에 해당하는 위 (삼국) · 오 (삼국) · 촉한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사견으로는 조위 · 동오 · 촉한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 부분은 좀더 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威光 (토론会話기여) 2015년 9월 5일 (토) 22:18 (KST)답변

덧붙여서 이 토론이 어떠한 형태로 결론이 난 뒤 해당 분류들의 명칭을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시간이 나는 대로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8월 13일 (목) 16:31 (KST)답변
분류:후연이나 분류:후당과 같은 형식 역시 위키백과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형태로 하는 것이 분류명의 일관성을 해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되었든 삼국지 □나라의 ~ 의 분류명은 상위 분류명과 통일시켜야 한다는 점에는 의견을 함께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4일 (금) 20:32 (KST)답변
후연이나 후당의 경우에는 본 문서도 '후연', '후당'으로 되어있어서 삼국 시대의 국가들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위에서 威光님이 제시해주신 대로 최상위 분류명을 문서명대로 '위 (삼국)', '오 (삼국)', '촉한'으로 수정하고 하위 분류들을 이에 맞추어 수정하는 방안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6일 (일) 00:02 (KST)답변
아니면 아예 '촉한'을 제외한 나머지 문서를 각각 '조위', '동오'로 옮긴 뒤 관련 분류를 수정하는 방안도 있겠습니다만 이 경우에는 현 토론과는 별개의 새로운 토론이 필요할 듯 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6일 (일) 00:05 (KST)답변

딱히 변동 없이 현행을 유지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삼국지 땡나라의 땡땡이 완전히 틀린 표현이라면 모르겠으나 삼국지연의에서 말하는 위나라가 삼국지에서 말하는 위나라이고 그 위나라가 삼국시대의 위나라입니다. 즉 어떤 어색함이 있는 것도 아니고 개념의 혼동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애당초 삼국지가 오직 삼국지연의만을 가리키는 것도 아닙니다. 무엇보다 백과사전에 접근하는 독자를 우선으로 한다면 삼국지에 관심이 있어서 문서를 열람하는 자가 절대다수인데 조위, 동오(근데 얘는 왜 손오가 아님?;) 식의 분류는 너무 멀게 느껴집니다. 현행을 유지하면 별다른 작업도 할 필요가 없으니 좋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4일 (월) 10:16 (KST)답변

말씀하신 대로 현행 분류 방식으로도 개념의 혼동을 가져오지는 않기 때문에 굳이 분류명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 또한 일리가 있습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다른 시대의 국가(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 등)들과 분류명을 통일시킬 필요성이 있어 '○나라 (삼국 시대)'로의 변경을 제안했으며, 이 분류로 문서명을 변경하면 현재의 명칭과 큰 차이가 없어 이용자들이 딱히 혼란을 느끼지는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위에서 언급된 '조위', '동오', '촉한'으로의 변경에 대해서는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의 말씀대로 이 분야에 깊게 파고들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다소 불편함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14일 (월) 20:53 (KST)답변
말씀대로 ‘위나라 (삼국 시대)’와 ‘삼국지 위나라’ 간에 내용의 차이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굳이 바이트를 소모할 것 없이 현행을 유지하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더구나 위나라 (삼국 시대)는 삼국지 위나라보다도 더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으니 삼국지 위나라가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06:56 (KST)답변
예. 내용상으로는 차이가 없긴 하겠지만 두 명칭간에 다른 점이 있다면 '분류명 앞에 국가명을 먼저 쓰느냐 삼국지(삼국 시대)를 먼저 쓰느냐'가 되겠습니다. 제 생각은 해당 분류는 역사서 또는 시대적 구분이 아닌 국가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국가명이 앞으로 나오는 것이 더 좋을 듯 하며, 국가명을 뒤에 놓는 것보다 앞쪽으로 놓는 것이 해당 분류를 찾아보는 이용자들이 좀 더 빠르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 제공에서도 우위에 있다고 봅니다. 바이트 소모의 문제는 굳이 명칭을 변경하지 말아야 할 정도로 크게 문제되는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위나라 (삼국 시대)'나 '삼국지 위나라'나 모두 정답입니다. 그럼에도 현재의 토론이 진행되는 이유는 '두 개의 정답 중에서 어떤 것이 좀 더 완벽한 정답이냐'를 고르는 과정이 되겠지요. --BIGRULE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08:31 (KST)답변
위에서도 이미 나온 얘기입니다만,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의 상위 분류가 분류:위나라 (삼국 시대)라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만 아는 사람이 분류:삼국지 위나라라는 분류를 쓰거나, 분류:위나라 (삼국 시대)만 아는 사람이 분류:위나라 (삼국 시대)의 인물을 쓰거나. 그리고 이 문제는 주 표제어인 위 (삼국)과도 통일성을 맞춰봐야 할 것 같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15:04 (KST)답변
그리고 어차피 많이 부르는 대로 따라가면 그냥 '위나라', '촉나라', '오나라'일 뿐입니다. 그렇다고 분류:위나라라는 건 쓸 수가 없고, 분류:위나라 (삼국 시대)분류:조위나 어색하긴 매한가지 아닐까요. 전 이 경우에는 괄호 쓰는 걸 싫어해서 조위를 제안했습니다. (막상 동주시대 가면 당진 섬진 하는 걸 꺼리면서)--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15:04 (KST)답변

조위, 동오, 촉한 또는 위나라 (삼국시대), 오나라 (삼국시대), 촉나라 (삼국시대)에 동의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4일 (월) 16:52 (KST)답변

이곳은 토론을 하는 공간이지 투표를 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백:총의 참고 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06:56 (KST)답변
상술한 논의에서 BIGRULE 님 및 威光 님 등의 의견에 동의하기에 굳이 반복하지 않은 것입니다. 특히 현재 후한말 및 삼국시대 관련 분류가 "삼국지연의를 상정하고 만들어졌다"는 威光 님의 의견에 크게 동의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5일 (화) 22:27 (KST)답변
처음에 그런 의도였는지는 알 수 없고 설사 그런 의도였다 해도 삼국지연의의 그 나라가 삼국시대의 그 나라를 의미하니 아무 상관이 없으며 무엇보다 삼국지에는 삼국지연의란 뜻만이 있는 게 아니고 삼국지문화를 총칭하므로 그 문제 자체가 사라집니다. 이에 대한 반박을 하지 못하고 그저 기존의 의견에 찬반만을 표하는 것은 조은 토론 태도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7일 (목) 06:15 (KST)답변
귀하께서 말씀하시는 "삼국지"의 정의는 귀하의 판단일 뿐입니다. 학술적인 "삼국지"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역사서 제목이지, 어느 시대를 통칭하거나 문화를 대표할 낱말이 아닙니다. 그리고 남의 의도를 넘겨짚은 것은 귀하의 책임이지, 제가 비판받을 이유가 되지 못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7일 (목) 09:09 (KST)답변
‘중국 대중문화의 초국적 유통과 소비 : 한국의 삼국지 현상 초론’ 참고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04:05 (KST)답변
반대합니다. 위 (삼국 시대), 오 (삼국 시대), 촉한으로 해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왜 일괄적으로 맞추려고 하죠? 한국어권에서 중국사의 나라 중 앞에 접두사가 붙는 경우는 전, 후, 동, 서, 남, 북 이 정도 뿐입니다. 성 접두사를 쓰면 편의상 좋지만, 조위라는 표현이 위나라 즉 "위"라는 표현보다 더 많이 쓰이는 편도 아닙니다. -- S.H.Yoon · 기여 · F.A. 2015년 9월 16일 (수) 04:42 (KST)답변
"조위, 동오, 촉한 또는 위나라 (삼국시대), 오나라 (삼국시대), 촉나라 (삼국시대)" 라고 했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6일 (수) 05:11 (KST)답변
저는 위의 의견 요청을 보고 반대한 것입니다. 그리고 동오도 일반적으로 손권이 황제에 오르기 전에 손권이 다스린 영지를 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S.H.Yoon · 기여 · F.A. 2015년 9월 16일 (수) 07:07 (KST)답변

대략 후보군이 ①'삼국지 -나라의 인물', ②'-나라 (삼국 시대)의 인물', ③'--(조위, 손오 등)의 인물'이 아닌가 합니다. 백과사전이란 저작권 같은 매우 기본적인 것을 제외한다면 정확성, 가독성, 접근성의 세 요소를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확성은 세 후보 모두 들어맞습니다. 다음으로 가독성은 분류의 경우 번거로움이 될텐데 ②후보는 괄호가 들어가는 등 가장 번거로우며 ③후보가 가장 간결합니다. ①후보는 그 중간입니다. 다음으로 접근성에선 ③후보의 경우 거의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떨어지며 ②후보 역시 ①후보에 비하면 크게 떨어집니다. (위나라를 예로 ①'삼국지 위나라 검색 결과 : 구글 네이버. ②'위나라 삼국시대' : 구글, 네이버. ③'조위' : 구글, 네이버) 이를 종합적으로 셈하면 ①후보가 ②, ③후보에 비한다면 더 모범 답안에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7일 (목) 06:15 (KST)답변

다만 분류가 대부분 표제어를 따라 정하는 걸 보자면 굳이 삼국지 위나라 식으로 길게 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분류:위 (삼국)의 인물"이라 써도 여기 쓰인 위가 그 삼국지의 위나라인걸 모르는 사람이 없을테니까요. 차라리 그냥 분류명도 현행 표제어에 따라 정하는게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 S.H.Yoon · 기여 · F.A. 2015년 9월 17일 (목) 09:32 (KST)답변
이 검색 결과는 좀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할 것 같습니다. 검색엔진의 결과 그 자체의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애당초 삼국시대보다 삼국지의 검색 결과가 더 많습니다. 삼국시대는 한국의 삼국시대까지 포함하는 검색 결과임에도.--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17일 (목) 19:59 (KST)답변
동음이의어를 구분하는 보통의 방식을 쓰는 것 중에서는 Shyoon1님이 말씀하신 대로 (삼국)만을 붙이는 것이 가장 간결해서 좋을 것 같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17일 (목) 20:10 (KST)답변
가독성의 경우라면 다르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시당초 '삼국지(삼국 시대)'라는 단어는 중국 역사상 존재했던 다른 위나라, 오나라와 구분하기 위해 것이고 이러한 국가들이 없었다면 그냥 '위나라의 ~~', '오나라의 ~~'처럼 썼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삼국지(삼국 시대)'는 단지 동음이의 구분용으로 사용된 구분자에 불과하며, 해당 분류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는 별다른 정보를 주지 못하는 것들입니다. 이용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해당 분류가 어떤 나라에 관한 것인지이지 그 분류가 삼국 시대의 위나라, 오나라에 대한 것인지 아닌지가 아니라서 '삼국지(삼국 시대)'를 분류명 맨 앞에 놓는 것은 오히려 이용자들의 가독성에 더 큰 불편함을 줄 수 있고, 국가명을 맨 앞에 쓰고 '삼국지(삼국 시대)'를 뒤로 보내는 것이 가독성 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18일 (금) 10:41 (KST)답변
표제의 동음이의어는 백:동음이의어와 관행에 의함입니다. 삼국지 땡땡이란 분류는 검색 결과를 근거로 제시해드렸듯이 보다 친대중적인 말입니다. (삼국)을 뒤로 보내는 것이 더 가독성을 향상시킬 것이라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만 이를 뒷받침할 근거가 없습니다. 오히려 검색 결과가 말해주듯 삼국지의 조조라던가 삼국지의 위나라를 찾듯이 삼국지를 앞에 놓는 것이 더 눈에 들어오지 않을런지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04:05 (KST)답변
그런데 사례로 들어주신 검색 결과가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단지 글자 배열 순서만 바꾸어놓은 위나라 삼국지는 또 검색어 수가 다르게 나옵니다. 물론 이와는 별개로 편의성과 검색 결과가 반드시 일치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08:08 (KST)답변
네. 검색결과 수가 달라져서 더 많아집니다. 다른 의견을 낸 분들을 배려하고 좀더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일부러 더 적은 결과를 링크한 거였습니다... 그리고 무엇이 더 친대중적인가를 찾을 때는 그만한 게 없습니다. 사실 그런 결과 말고도 다른 예시는 지천에 있습니다. 네이버의 수많은 삼국지 카페들은 무엇을 말하는 것이겠습니까, 디시 삼국지갤은 또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저는 지금껏 현행 분류명인 ‘삼국지 땡나라의 인물’이 더 모범답안에 가깝다는 것을 다른 사용자께서 의문을 표할 때마다 여러 근거를 제시하며 설명하였습니다. ‘~일 것이다’란 추측이나 ‘~라 생각한다’란 주장을 하시는 분들께서도 그런 근거를 곁들여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항목명을 '삼국지 아무나라'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러나 백과사전에서 항목명은 국어사전에서 낱말의 자리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어떠한 사전에서도 '삼국지 아무나라'를 표제로 삼는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삼국지 아무나라'가 그저 말뭉치의 일원이 아니라 용어로 볼 수 있을지는 표현이 쓰이는 횟수만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게 아니며 항목명으로 '삼국지 아무나라'를 쓰는 것은 그러한 판단을 위키백과에서 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나라 (삼국지)'라면 이러한 문제는 없지 않을까요. 그리고 전 분류명이 주 표제를 따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23:21 (KST)답변
그리고 편의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김에 추가 제안을 하고자 합니다. 삼국 시대 국가들과 춘추 전국 시대 국가들간의 인지도 차이를 근거로 아예 인물 관련 분류에서 '삼국지(삼국 시대)'라는 단어를 빼버리고 '위나라의 ~', '오나라의 ~' 이런 식으로 바꾸는 것은 어떻습니까? 물론 해당 분류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이 분류는 삼국 시대 위(오)나라의 사람에 관한 것입니다. 전국 시대 위(오) 나라 사람에 대해서는 춘추 전국 시대 사람 분류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확인해보니 춘추 전국 시대 위나라에 대한 인물에 대한 분류는 따로 없이 분류:춘추 전국 시대 사람에 한꺼번에 관련 문서들을 모으고 있고 오나라는 분류:오나라 (춘추 시대) 사람‎으로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으로 미루어 '춘추 전국 시대의 위(오)나라의 장군이나 정치인 등에 관한 분류'는 생성될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며, 아예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빼버리는 것이 편의성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나쁘지는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09:28 (KST)답변

덧붙여서 촉나라의 경우에는 어차피 겹치는 국가도 없고 해서 '삼국지(삼국 시대)'를 뺄 필요성이 더욱 크다고 봅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09:28 (KST)답변
위촉오 모두 춘추전국시대나 오대십국 때 국명으로 사용한 예가 있으며 국명 외에 지명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삼국지란 구분을 하는 게 더 좋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20일 (일) 17:32 (KST)답변
왜 삼국지여만 하죠? 삼국 시대라는 엄연한 명칭이 있는데요. 삼국지 오나라, 삼국지 위나라같은 식으로 분류를 하자는데에는 반대합니다. -- S.H.Yoon · 기여 · F.A. 2015년 9월 21일 (월) 01:38 (KST)답변
위에서 삼국지가 ① 정확성, ② 가독성(이 부분은 생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③ 접근성 면에서 좋다고 근거를 제시하며 설명하였습니다. 만약 하자가 있다면 근거를 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근거 없는 반대는 그저 반대를 위한 반대에 그치고 맙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26일 (토) 12:42 (KST)답변
근거는 여기서도 별로 못댔군요. (삼국)이라는 괄호가 뭐가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건지. -- S.H.Yoon · 기여 · F.A. 2016년 2월 26일 (금) 06:33 (KST)답변
여기여기 참조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8일 (일) 12:10 (KST)답변
삼국지 시대라고 쓰지 않는한 삼국지라고 쓸 수 없습니다. 가뜩이나 한국어권에서 삼국지라는 단어에 대한 오용이 난무하는데요. 그리 말하신다면 "위 (삼국)", "오 (삼국)"도 위키백과에서의 흔한 동음이의 구분 방법입니다. -- S.H.Yoon · 기여 · F.A. 2016년 2월 29일 (월) 14:30 (KST)답변
삼국지라는 단어는 동음이의어입니다. 그것이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것이 오용이라는 것부터 근거를 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미 삼국지라는 단어가 말씀하신대로 동음이의어임을 여러번 확인드렸으며 그래서 괄호를 병기하는 것보다 그냥 삼국지로 구분하는 것이 세가지 요건에 훨씬 부합한다는 것을 외부의 확인 가능한 자료로 보여드렸습니다. 자신이 생각하는 삼국지란 용어의 뜻이 다수가 생각하는 삼국지의 뜻과 다르다고 하여 그것을 일반적인 것으로 관철시켜서는 안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9일 (월) 22:09 (KST)답변
이미 말씀드렸듯 삼국 시대는 역사이지 삼국지라는 정사인지도 연의인지도 모를 물건으로 분류하단 말입니까? 이미 위키프로젝트:중국사에 관련 논의와 지침이 있습니다. 논의가 더 필요 없을 것 같은데요. 다른 사람 보고 근거없는 반대라 하기 전에 이미 정해진 논의나 더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줄곧 얘기했지만 괄호로 옆에 써도 뭐가 그리 가독성이 나빠지는지 이해가 어렵고 이미 관련 프로젝트에서 원칙이 있다면 그에 따라야죠. -- S.H.Yoon · 기여 · F.A. 2016년 3월 2일 (수) 05:59 (KST)답변
관련 논의와 지침 말입니까... 그런 게 어디 있습니까? 있으면 링크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설마 ‘XX 시대로 묶이는 나라는 XX 부분을 괄호에 써 줍니다.’ 이거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분류에도 준용된다는 총의가 존재하는지요? 삼국지 프로젝트보다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는지요? 무엇보다 총의란 언제든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며 타당한 이유를 대동한 사용자에게는 덮어놓고 기존의 총의를 따르라고 선언할 수가 없습니다. 이는 토론 태도 중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신규 사용자나 외부 사용자들로부터 위백은 선민의식에 휩싸여있을 뿐더러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것입니다. 백:총의#총의는 바뀔 수 있습니다를 확인바랍니다. 스스로 다른 사용자들을 내치지 말아주세요. 또한 토론을 하실 때는 백:확인 가능한 근거를 곁들이는 습관이 있어야 합니다. 이 토론 참여자 중 외부 링크를 건 사용자는 저 뿐 아니었나요...? ‘근거는 없지만 자신의 생각이 맞으니 다른 사용자는 그냥 따르세요’라고 말하는 사용자에게 납득할 사용자는 없을 것입니다. 백:토론지침을 확인바랍니다. 프로젝트의 원칙이라 하셨습니까... 일단 우리 백:정책과 지침부터 지킵시다. 백:원칙부터 지킵시다. 그리고 사실 그 대원칙 말고 다른 것들은 짜잘한 것들입니다.
덧. 정사의 위나라도 그 위나라고 연의에서의 위나라도 그 위나라입니다. 그럼 굳이 구분할 필요가 더더욱 사라지는 것 아닌가요? 삼국지 컨텐츠의 조조들이 그 조조 아닙니까? 이게 왜 오용입니까... 스스로 너무 과한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으셨음 합니다.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만한 외부자료가 없으시다면... 맘에 들지 않으시더라도 쓰읍- 그럼 어쩔 수 없지... 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런지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4일 (금) 02:39 (KST)답변
쓰읍? 이건 다른 사람의 이견을 무시하는 건가요. 중국시 프로젝트에서도 이미 표제어에서 그러한 지침이요 원칙이 있는데 구태여 이걸 왜 유지해야 한다는 겁니까. 그러면 아예 표제어도 위 (삼국지)로 바꾸고 삼국 시대도 삼국지 시대로 바꾸세요. 그렇게 써도 모를 사람이 없고 표제어와 똑같이 써서 혼란을 줄이자는 건데 자신과 의견이 다르다라고 쓰읍이라니. 불쾌하기 짝이 없군요. -- S.H.Yoon · 기여 · F.A. 2016년 3월 5일 (토) 06:40 (KST)답변
왜 유지해야 하다니요. 관련 근거들을 이미 보여드렸지 않습니까. 님은 거기에 대한 반박 '자료'를 제시하지 못하셨으니 더이상은 불필요한 토론이 아닌지요... 백:원칙을 준수해주시기 바랍니다. 삼국지 프로젝트는 삼국지 프로젝트만의 영역이 있습니다. 쓰읍은 의성어입니다. 님의 의견을 반대하고, 지적하고 있으니 당연히 불쾌하시겠습니다만 불쾌하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주장을 관철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좋지 않은 토론 태도입니다. 덧붙여 말씀하신대로 개인적으로도 삼국지 관련 표제들은 (삼국지)를 붙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 그 이유들을 이미 확인 가능한 외부 자료로 제시한 상태이고 님께선 그런 거 없이 그저 기존의 (존재하지 않는) 총의를 따르라고 주장하고 계시지요... 아예 불쾌하다는 감정까지 유감없이 드러내고 있으신데... 더이상의 감정 소모가 없도록 이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6일 (일) 07:07 (KST)답변

삼국지(정사) 또는 삼국지연의(소설)의 "등장인물" 분류가 아닌, 역사에 실재한 사람의 분류이므로 분류의 이동 제안에 찬성합니다. 그리고 분류는 문서명에 비해 조금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할 수 있으므로, 문서명과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분류:광주시"는 경기도 광주시에 관한 분류입니다.) 간편함과 모호성 해소의 두가지 장점이 있는 조위/동오/촉한 식이 맘에 드는데, 동오를 가리키는 범위에 대한 shyoon1 님의 이견은 검토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5년 9월 21일 (월) 16:51 (KST)답변

그리고 최상위 분류도 "삼국지의 인물"에서 "중국 삼국 시대 사람" 또는 "삼국 시대 (중국) 사람"로 옮기는게 어떨까요? (근데 삼국지연의의 가공의 인물은 어쩔??) -- ChongDae (토론) 2015년 9월 21일 (월) 16:53 (KST)답변

그쪽에 대해서는 분류토론:삼국지의 가공 인물에서 별도의 토론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21일 (월) 18:27 (KST)답변
한국어에서 삼국지 위나라를 뜻하는 조위는 너무 마이너한 단어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첫 페이지에서는 뜨라는 그 위나라는 안 뜨고 지구과학에서의 조위, 조선의 문신 조위, 고려의 문신 조위가 뜹니다. 모호성 해소와 정확성 면에서는 삼국지만한 것이 없다는 것을 위에서 근거를 제시하며 밝혔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26일 (토) 12:42 (KST)답변

토론이 길어진 관계로 제 의견을 다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제가 위에서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삼국 시대'를 들었지만 '삼국지'나 '삼국' 등 다른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이에 관련해서는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의 의견처럼 '더 많이 쓰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뒤로 빼고 국가명을 맢으로 옮기는 것이 이용자들의 편의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삼국지 위나라의 장군'과 '위나라 (삼국지)의 장군'을 페이지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쳐서 찾으려고 할 때 '삼국지 위나라의 장군'의 경우에는 최소한 '삼국지 위'까지는 입력해야 원하는 키워드가 나옵니다. 반면에 '위나라 (삼국지)의 장군'의 경우 '위나' 정도만 입력해도 찾는 검색어가 뜨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한국어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글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에 '삼국지 위나라의 장군'의 경우 일단 크게 의미없는 '삼국지'라는 단어를 먼저 확인하고 그 뒤에 무슨 나라인지 확인해야 하지만 반면에 '위나라 (삼국지)의 장군'의 경우 처음부터 국가명이 나오기 때문에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록 이것들이 사소해보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런 사소한 것들을 이용자들에게 맞추어주는 것이 편의성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됩니다. 비교하자면 A리는 매장과 B라는 매장에서 같은 상품들을 판매하고 있지만 판매하는 물품들의 진열 순서 및 위치, 방식 등에 따라 고객들의 편의성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소한 면들을 이용자들의 편의에 맞추어 개선해 나가는 것이 위키백과의 발전에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9월 30일 (수) 12:47 (KST)답변

표제가 아닌 분류명인 만큼 삼국지 위나라가 괜찮지 않을까요.... 한눈에 보기에는 위나라 삼국지가 더 보기 좋은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10월 3일 (토) 16:08 (KST)답변
위에서 제가 표제명과 분류명을 통일하는 것의 장점을 말한 게 있는데 그것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10월 16일 (금) 16:34 (KST)답변
백:제목과 백:분류는 지향하는 바가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표제는 전면에 드러나는 만큼 님의 말씀에 상당수 동의합니다. 하지만 분류는 해당 분류의 문서들을 더 찾아보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므로 접근, 간결, 정확, 중립 등의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삼국지 관련 정보를 찾는 독자는 현재 '삼국지 땡땡' 식으로 찾는 게 현실이므로 굳이 표제와 통일할 필요성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10월 18일 (일) 07:43 (KST)답변
검색의 편의성을 생각한다면 분류 넘겨주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분류 넘겨주기는 편집에는 그다지 도움이 안 됩니다. 편집의 편의성에서는 표제명과 분류명을 통일하는 게 훨씬 낫다고 봅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7일 (월) 22:01 (KST)답변
틀:분류 넘겨주기는 말 그대로 '비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편집의 편의성'과 '독자의 편의성'은 모두 추구해야하는 것이지만 꼭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독자의 편의성'을 택해야 합니다. 님들께서 위백에 기여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자신의 기여를 보다 많은 사람이 보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블로그 같은 것을 택했겠지요. 그러려면 '얼마나 쉽게 읽힐 것인가', ‘얼마나 보기 좋게 만들 것인가’, '얼마나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인가' 등을 고민해야 합니다. 바로 그 지점 때문에 편집자들을 옥죄는 백:편집지침이란 것도 존재하지요.
이러한 토론을 할 때마다 힘든 것이 기존의 사용자들은 너무나 중요한 것을 잊고 계신 것 같습니다. 님들이 열심히 쓴 것을 정작 독자들이 외면해버린다면 그것은 아무 쓸모도 없는 것입니다. 나무위키와 비교하자면... 편집 수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조회 수조차 3-4배 위백이 후달립니다. 나무위키는 채 1년도 되지 않은 위키입니다. ‘어째서 위키백과가 크게 밀리고 있는가’를 진정으로 고민해봐야하지 않을까요? 나무위키의 일부 항목명인 원소, 마초, 이전. 디시위키의 삼국지 인물 분류 네이버의 수많은 '삼국지' 카페들 '삼국지'라는 용어는 한국어 독자들에게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더러 그 몇천 년 중국사 중에서도 거의 이 시기만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 초한지나 춘추전국마저 삼국지에는 비할 수 없을 정도지요. 사실 그러한 면에서 일부 편집자들을 제외하고는 삼국지 땡땡이 편집자들에게도 훨씬 편할 것입니다. 그런데 오직... '위백'에서만 이러한 사실들을 외면하려 하고 있습니다. 대중의 소비 심리를 외면해서는 안됩니다. 스스로를 고립시키려 해선 안됩니다. 위백도 결국은 컨텐츠이고 소비자가 있어야지만 그 생산이 빛을 발하는 것입니다. 포교당을 지으려면 도시에 지어야지 산속에 짓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또 표제와 분류의 통일성을 원하시니 삼국지 인물들의 표제는 원소 (삼국지), 마초 (삼국지) 등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합니다. 아래에서 우금의 동음이의명을 두고 잡장이란 농도 했습니다만 솔직히 위백을 편집하며 들었던 의문점은 ‘(삼국지)라는 좋은 구분 방법을 왜 쓰지 않는지’였습니다. 삼국지 인물들을 구별할 땐 일단 삼국지, 그 시대에 비슷한 비중의 동음이인이 있다면 그때부터 세력, 자, 출신 지역 따위로 구분하는 것이 독자들에게도, 그리고 삼국지에 관심이 많은 편집자들에게도 훨씬 친숙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9일 (수) 07:10 (KST)답변
이것만큼은 극구 반대합니다. '삼국지'라는 분류가 국명 등을 이용한 시대 구분에 우선하는 이유를 알기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원소의 경우 실제로는 후한 시대의 인물로, '삼국지' 하면 대다수가 생각하는 삼국 시대와는 전혀 연관이 없는 인물입니다. 원래 원소 (삼국지)였던 문서가 해당 이유로 원소 (후한)으로 옮겨진 것이고요. 이 논리라면 사실상 후한 말기의 인물들 대다수를 '삼국지'라는 분류 안으로 집어넣을 수가 있게 됩니다. 동탁은 어떻게 되나요? 유표 (후한)유표 (흉노)는 둘 다 '삼국지'로 분류할 수 있지 않나요? 이게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저도 과거에는 이쪽을 선호했었지만, 갈수록 분류 기준이 모호해져서 지금은 절대 쓰지 않습니다. 역사상의 실존인물들은 기존의 국명을 통한 분류로, 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들은 '삼국지연의'로 분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威光 (토론会話기여) 2016년 3월 10일 (목) 23:42 (KST)답변
일단 하나만 먼저 여쭙겠습니다. (삼국)보다 (삼국지)를 더 선호하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둘 다 의미에서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한국의 삼국시대와 겹칠 우려도 별로 없다고 봅니다. 디시위키식으로 한다면 삼국 인물이란 분류는 그 한국의 삼국시대와 겹칠 우려 때문에 못 써먹겠습니다만.--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9일 (수) 17:12 (KST)답변
그리고 분류 넘겨주기가 비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검색에는 도움이 되지만 편집에는 도움이 못 된다는 거였습니다. 즉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을 주 분류로 하고 분류:위 (삼국)의 인물을 분류 넘겨주기로 하는 것과 분류:위 (삼국)의 인물을 주 분류로 하고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을 분류 넘겨주기로 하는 것은 검색에선 별 차이가 없는데 편집에선 차이가 제법 있다, 그런 겁니다. 그런데 이런 용도로 분류 넘겨주기를 하는 게 오용하는 건가 싶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9일 (수) 17:19 (KST)답변
두 분의 관련 기여가 매우 크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미 보여드렸다시피 위백을 제외한 다른 곳에서는 모두 '삼국지'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 어디서도 삼국지라는 말 속에서 오직 삼국 시대만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삼국지는 후한 말과 삼국 시대를 모두 포괄하는 컨텐츠이며, 대중은 삼국지라는 컨텐츠를 삼국지로서 소비하고 있지 후한의 다른 시기에는 관심이 거의 없습니다. 삼국지 내에서도 정작 삼국 시대로 넘어가면 그 관심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도 충분히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삼국지란 용어에 대한 기피는 위백만이 유일합니다. 이는... 현재 위백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뜻 아닐까요? 삼국지란 말이 굳이 틀린 것이 아니라면 보다 대중적인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 채 일 년도 되지 않은 위키에게까지 크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만큼 문제가 심각하다는 뜻 아닐까요? 위백에 존재하는 삼국지 프로젝트조차 이름이 삼국지입니다. 이 프로젝트 속에서도 오직 중국의 삼국 시대만 다루는 것이 아닌데... 어쩌면... 자기부정 아닐까요? 삼국지란 용어가 다루는 시기는 184년부터 진의 통일로 이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기도 합니다. 되레 '삼국 시대'의 구분이 모호하여 그 학설이 난립하고 있지요.
제 요지를 한 문장으로 쓰자면 ‘틀리지 않으면서도 대중적인 서술을 하자’입니다. 한자 병기의 최소화, 각주의 최소화, 문단의 적절한 분리, 동음이의어 문서의 정리 등도 그로 인한 것입니다. 조금이라도 더 위백의 문서를 친숙하게 만드는 것이 시급하지 않을까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3일 (일) 12:22 (KST)답변
키보드 성능이 나빠서 많은 말을 하지 못함을 양해드리며, 저는 (삼국)이라는 말이 (삼국 시대)의 의미뿐만아니라 (삼국지)의 의미로서도 쓰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3일 (일) 18:42 (KST)답변
그래서 위촉오의 표제는 그대로 두고 인물만 변경하자는 것입니다. 원소 (삼국)이라 하면 만에 하나 위촉오 삼국 시대의 원소라 착각할 수도 있으니까요. 분류는 괄호를 넣는 것보다는 현행이 외부에서 훨씬 많이 쓰이고 있고 보기에도 좋으니(이건 사람마다 다를 수 있음) 그냥 두고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4일 (월) 05:35 (KST)답변
원소 (삼국지)라고 해도 비슷하게 혼동할 여지가 있다고 여겨요. 삼국지 시대라는게 진짜 삼국지에 나오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충 삼국 시대 = 삼국지 시대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요. 그리고 괄호를 쓰는 건 그냥 모든 분야에서 위키백과 안에서만 쓰이는 거지 삼국지에 관련해서만 외부에서 안 쓰는 걸 위키백과에서 쓰이는 게 아니지요. 동음이의어를 나누는 구별을 표제어와 분리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니까요. 동음이의어를 나누는 구별과 표제어를 분리해야 하는 이유는 위에서도 설명했었고, 저는 그게 분류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했고요. 검색할 때 삼국지 땡땡이라고 하기 때문에 분류: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이라는 말을 써야 한다고 하면 이미 분류: 를 앞에 붙이는 순간 그렇게 검색할 사람이 있을까 싶어요. 위키백과에 웬만큼 익숙한 사람이어야 분류: 등 앞에 따라오는 말들을 자유자재로 쓰겠지요. 조조 문서에서 밑의 분류를 보고 클릭하든 분류:중국의 역사에서 타고 들어오든 분류 문서는 이런 식으로 링크를 타고 오는 게 대다수일 것 같아요. 분류: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과 분류: 위나라의 인물 (삼국지) 혹은 분류: 위나라의 인물 (삼국) 을 비교해보면 괄호 ()를 치는 수고는 있겠지만 링크 타고 들어온다면 이런 불편함은 차이나지 않을 테고 보기에도 비슷하게 받아들여질 것 같아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4일 (월) 09:13 (KST)답변
원소 (삼국지)와 원소 (삼국)간엔 큰 차이가 있습니다. 220년 혹은 221년 혹은 229년 이후의 삼국 시대만 인정하는 분껜 원소 (삼국)이란 표제는 틀린 표제가 되어버립니다. 반면에 원소 (삼국지)는 삼국 시대의 범위를 어떻게 잡아도 틀린 표제가 되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삼국 시대를 최협의의 229년부터라 해도 삼국지란 표제는 그로부터 자유롭습니다. 이건 엎으나 메치나 태클걸 거리가 없습니다. 어찌됐든 원소는 삼국지의 등장 인물이니까요. 거기다가... 삼국지 원소란 말은 절대적으로 친대중적입니다. 후한 원소, 삼국 원소, 삼국지 원소 이건 정말 비교도 되지 않는 수준입니다. 위백이 지금껏 원소 (후한)을 몇 년간 밀었지만 대중은 외면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혹시나 해서 마초도 실험해봤습니다. 촉한 마초, 삼국 마초, 삼국지 마초 ... 외부 자료를 더 제시해 드려야겠습니까? 부록으로 간옹의 검색 결과도 보여드리죠. 간옹 위백의 간옹이 무려... 나무위키의 난세간옹전보다도 물론 치세의 등신 난세의 간옹이 워낙 명작이긴 합니다만 밀립니다. 스스로 말씀하신 '괄호 ()를 치는 수고는 있겠지만' 라는 것에서 어느 정도 현실을 인지하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 네. 괄호 불편합니다. 위백을 제외한 외부에서는 삼국지란 용어를 즐겨 쓰고, 그를 토대로 편집합니다. 되레 현행 분류를 불편하다고 말씀하시는 분은... 여러분뿐입니다. 삼국지란 용어에 대한 거부감이 위백 특유의 엄근진 혹은, 몇몇 트롤로 인한 방화벽이 아닐까 합니다만... 어찌 됐든 위백의 슬로건은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우리만의 백과사전'이 아닙니다. 저는... 외부의 흐름 내지 움직임을 계속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독자가 늘어나기를, 여기에 더해 편집자가 늘어나기를 바란다면 지금이라도 변혁이 필요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6일 (수) 02:26 (KST)답변
(삼국)에 제가 생각하지 못한 맹점이 있음은 알았어요. 하지만 표제어에서 불편함에도 괄호를 치는 수고는 어디에서나 용인 가능하다고 판단되는데(외부 사이트 중에서도 원소 (삼국지) 식으로 쓴다고 말씀하셨으니) 그게 분류에도 적용되지 않을 이유로 불편함은 약하다고 생각해요. 앞서서 말씀드렸듯이 이미 분류:라고 앞에 붙이는 것 자체가 가장 큰 불편함인데 이것도 용인할 수 있는 이유가 있듯이요. 그래서 분류: 위나라의 인물 (삼국지)라고 하고 분류:후한 사람과 분류: 삼국 시대 사람, 분류:삼국지연의의 가공 인물을 셋 다 상위 분류로 두는 것을 제안해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6일 (수) 09:20 (KST)답변
지금 와서 논지를 철회하겠단 건 아니지만, 삼국지 시대를 220 ~ 284로 여기는 사람에게는 원소 (삼국지)도 틀린 게 되네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6일 (수) 09:23 (KST)답변
威光님께 한 말씀 드리자면, 유찬 같이 삼국에 같이 있는 동명이인이 아니라면 소속으로 구분하는 건 좀 과한 구분이고 시대 구분으로만 충분하다는 거에요. 삼국지에 나오는 후한 말기도 후한 역사의 일부로서보다는 삼국 시대의 예비 단계로서 대중에게 인식되기 때문에(진수의 삼국지도 저자의 그런 인식이 있음을 삼국지에 동탁전이니 원소전이니 끼워넣어서 보여주죠. 그것 때문에 삼국지라면서 왜 후한을 넣었냐고 까이기도 하지만) 후한보다는 삼국지가 더 대중적이라는 거고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6일 (수) 09:44 (KST)답변
Synparaorthodox님의 말씀은 저도 동의합니다(후한 말기가 삼국 시대의 예비 단계라는 부분). 시대를 이용한 구분이 최우선이라는 것도 그렇고요('후한'이 그 일환입니다).하지만 '삼국지 시대'(?)라는 인식이 후한 말기라는 인식보다 우선해야 하는 것인지가 의아합니다. 삼국지에 입전돼 있다는 이유로 삼국지(혹은 삼국)라는 분류를 달 수 있다면, 그 전에 후한서의 존재를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비록 여기서는 원소와 동탁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만(마침 둘 다 후한서에도 입전돼 있네요), 후한 말기를 삼국지에서는 그저 삼국시대의 서장 정도로 여기는 것에 비해 후한서에서는 엄연히 일부로 다룬다는 것부터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삼국지'라는 단어에 대한 인식도 그렇습니다. 아시다시피 삼국지연의의 준말로 쓰이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만, 본뜻은 진수가 저술한 역사서를 일컫습니다. 그리고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삼국지 문서가 후자로 연결됩니다. 대중에서 '삼국지'가 연의를 더 많이 일컫는다고 연의 문서로 연결시키고 역사서 삼국지를 삼국지 (역사서) 같은 식으로 연결하지 않고, 학술적 의미를 우선해서 이렇게 연결한 것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미 오래 전 토론에서도 비록 중국 삼국시대에 관한 기록은 연의 쪽이 대중적이기는 하나, 위키백과에서의 기록은 실제 역사를 우선으로 한다고 언급이 되었고요. 요는, 위키백과는 학술적 정보를 담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의 인식을 지나치게 우선시한다면 점점 이 방침이 흐려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威光 (토론会話기여) 2016년 3월 17일 (목) 13:37 (KST)답변
덧붙여서, 엄연히 '후한 말기+삼국시대(저는 220~284라고 생각합니다)'라는 엄연한 학술상 분류가 있는데 굳이 '삼국지 시대'를 들여야 하는지 의아합니다. 삼국지 시대라는 개념이 학계에서 인정이 되는지도 모르겠고요. 북송 말기도 '수호지 시대'라고 할 수 있는 걸까요? -威光 (토론会話기여) 2016년 3월 17일 (목) 13:52 (KST)답변
  1. 어어.... 전 '삼국지 시대'란 개념을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 그저 '삼국지'라는 용어를 말씀드렸습니다. 삼국지란 삼국지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전부를 이릅니다. 위광님께 다시 묻습니다. 네이버 영화에 나오는 삼국지들은 무엇일까요? 네이버의 수많은 카페들이 말하는 삼국지란 무엇일까요? 이것이 '삼국지 시대'입니까? 아니면 단순히 삼국지연의의 준말입니까? 아니면 삼국지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일체입니까? ... 사실 《삼국지연의》 역시 그 《삼국지》를 기반으로 한 창작물을 이르는 것입니다. 꽤나 인기를 끌었던 신삼국은 연의의 삼국일까요? 삼국지의 삼국일까요?
  2. 삼국지 시대가 220년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할 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Synparaorthodox님의 말씀은 기우십니다. 삼국지의 주인공은... 논란(?)은 있습니다만 유관장이죠ㅋ 뭐 조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만 이들의 공통점은... 정작 한나라로부터 독립하면 죽는다는 겁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창작품 어디서도 정말 위촉오가 세워진 이후에 포커스를 맞추는 작품은 없습니다;; (조금 감상을 덧붙여) 삼국지라 하면 프롤로그에서 노란 두건들이 들고일어나거나, 동탁이 덥수룩한 수염으로 음흉한 웃음을 짓고 있거나, 복숭아밭에서 꽃잎이 휘날리고 있죠. 아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옛날의 삼국지 만화 오프닝의 첫 가사(BGM 주의)는 유비관우장비입니다ㅋ 다른 인물들을 쩌리로 만듬요ㅋ 조금더 진중하게 말씀드리자면 묘하게도 이게 실제 《삼국지》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조조와 관련한 것들의 사료는 풍부하지만 그렇지 않을수록 기재가 적어집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주연인물의 주변이 아닌 이들을 편집할 땐 머리가 터질 것 같습니다;;) 또 이전, 악진, 하후연 등 위촉오가 한나라로부터 독립하기 전에 죽은 인물들 상당수가 삼국지에 입전되었지 후한서에는 입전이 되지 않았습니다. 후한서에서는 아예 일부로 다루지 않는 인물들이 삼국지에선 중요한 요소를 차지합니다. 동탁과 원소는 조조의 직속 부하가 아닌데도(!) 삼국지 위서에 입전되었으며 제가 이미 외부 자료를 제시해드렸다시피 대중 역시 삼국지로서의 동탁과 원소를 더 각인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아이러니하게도 삼국시대가 시작하면 삼국지가 끈나요;;
  3. 아울러 역사를 우선하는 것은 어떤 위키도 그렇습니다. 어떤 위키에서도 창작물을 우선하지 않습니다. 창작물은 하위 목차나 독립 문서에서 다룹니다. 저는 삼국지란 용어를 좀 편하게 쓰자는 것이지 삼국지연의를 우선으로 하자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역사는 역사대로 창작물은 창작물대로 정확히 서술해주어야 합니다. 본문에 연의의 내용이 있다고 그저 쳐낼 것이 아니라 연의와 사서를 혼동하는 독자가 있을 것이므로 무엇이 사서의 내용이고 무엇이 연의의 내용인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삼국지란 표제 자체에는 잘못된 정보가 없습니다. 오히려 삼국지연의든, 신삼국이든, 코에이삼국지든, 정사 삼국지든 관심 있는 독자의 유인을 기도할 수가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괄호를 넣는 것은 그 자체가 불편합니다. 삼국지 땡떙으로 정보를 찾거나 그것으로 기재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은 외부의 사례로 많이 보여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19일 (토) 00:46 (KST)답변
똑같은 말씀을 또 드리는 거지만, 불편하다고 해서 괄호를 빼야 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아요. 이미 표제어에서 괄호를 치는 관례가 있는데(위키백과만의 관례도 아니고) 왜 분류에는 안 된다는 거죠?--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19일 (토) 02:49 (KST)답변
불편하니까 빼야죠. 인터넷 백과사전의 생명은 정확성과 편의성이라고 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또 지금껏 많은 네티즌들도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미 삼국지 땡땡 식으로 정보를 찾는다는 사례를 많이 보여드렸으며 또 그게 수많은 네티즌들에게 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님께선 '통일성'을 주요 근거로 들으셨고 그래서 제가 기존의 삼국지 인물들의 표제를 죄다 삼국지로 바꾸자고 아예 발제까지 하였습니다. (물론 이건 막바로 바꿀 것이 아니라 동음이의 관련 의견 요청이 떨어지는대로 총의를 물을 생각입니다) 다른 네티즌들은 ‘위 (삼국)’으로 편집하기보다 ‘삼국지 위나라’로 편집하는 것이 더 편합니다. 정보를 찾는 사용자에게도 더 눈에 들어옵니다. 저는 그것이 틀린 게 아니라면 그것대로 하자는 것입니다. (물론 트롤러나 좆문가의 유입이 많아지겠습니다만) 현재 상황에선 어쨌든 신규 사용자의 유입을 유인하는 것이 우선 아니겠습니까?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2일 (화) 02:21 (KST)답변

위키프로젝트:중국사 항목의 원칙 중에 “XX 시대로 묶이는 나라는 XX 부분을 괄호에 써 줍니다. 예: 위 -> 위 (삼국)”라는 게 있습니다. 이를 원용하면 괄호를 사용하는 분류를 채택한다면 위 (삼국지), 위 (삼국시대), 위 (삼국) 등 여러 안이 있지만 위 (삼국)으로 통일해야 할 것입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5년 11월 5일 (목) 13:54 (KST)답변

삼국지 인물 틀

현재 사용되는 삼국지 인물 틀은 어떤 기준으로 주요 인물을 추린 것인지 애매하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예 위서, 오서, 촉서, 진서에 나오는 사람들을 그 순서대로 추려서 틀로 사용하는 게 어떨까요? 사용자:Salamander724/신나는 삼국지 에 시제품을 만들어 봤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4일 (월) 16:51 (KST)답변

편집은 감사합니다만 해당 내용은 삼국지진서에 있습니다. 틀에 대해서는 백: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5일 (화) 06:56 (KST)답변
현재의 {{삼국지 주요 등장인물}} 의 "주요" 기준이 명확치 않다는 점은 변하지 않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5일 (화) 10:02 (KST)답변
틀이란 주요 정보를 간단하게 보여줄수록 효용이 있습니다. 해당 틀은 몇 년 간 사용자들의 토론을 거친 결과물이며 그 기준에 의문이 있다면 다시 토론을 통해 수정하면 그만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5년 9월 17일 (목) 06:15 (KST)답변
그래서 지금 토론을 연 거 아닙니까?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9월 17일 (목) 09:08 (KST)답변
토론이 멈춰있었네요. 두 분이서 무슨 이야기를 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쨌든 샐러맨더님 의견대로 기준을 명확히 하고 넘어가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토론을 참고해보았습니다만 명확한 기준이 없는게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저는 해당 틀이 '삼국 시대 주요 인물'인지, 문학 작품 등등까지 아우르는 '삼국지의 주요 인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샐러맨더 님 의견대로 하면 기준도 명확해지고 '역사 틀'로서 기능할 수 있겠으나, 몇몇 인물들은 빠지게 되겠지요. 아무래도 연의 등에 나오는 인물들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틀이 단순히 삼국 시대만을 나타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만약 샐러맨더님 틀대로 간다면 그 이름부터 바꿔야겠죠.
그리고 샐러맨더님이 만드신 틀은 너무 깁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의 의견처럼, 주요 정보를 간단히 보여주기에는 너무 부족합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추려야 하며, 추릴 수 없다면 각 나라별로 분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Nt 2015년 9월 28일 (월) 00:36 (KST)답변
해당 틀에 포함되는 인물에 대해서는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토론 및 편집 분쟁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결과물로 탄생된 것이 현재의 틀입니다만 애초에 이 틀에 포함되는 인물에 대해 이견이 계속적으로 나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salamander724님의 의견처럼 어떠한 확실한 기준을 토대로 내용을 잡는 것도 답이 될 수도 있고, Nt님의 의견대로 영어판처럼 각 나라별로 분리하는 것도 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현재의 방식을 고수하는 것도 답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뭐 이 문제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편집 분쟁이 있었던 관계로 의견을 내기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BIGRULE (토론) 2015년 10월 3일 (토) 18:34 (KST)답변

동명이인 문서의 대표 처리

현재 순욱, 조홍, 유표, 우금, 허저 등은 동음이의 문서입니다. 그런데 네이버든, 구글이든, 타위키든, 위백 내 링크든 거의 한 사람의 사용례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에 백:동음이의에 따라 기본문서를 정하고 나머지는 틀:다른 뜻이나 틀:다른 사람으로 정리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조순 같은 경우는 그리 되어 있습니다. 제가 예시로 든 5인 이외에도 다른 장수들이 더 많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1일 (목) 23:29 (KST)답변

순욱의 경우에는 서진 시대의 인물의 저명성이 좀 걸리는 부분이 있다고 보이기에 더 많은 분들의 의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나머지 인물의 경우에는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의 의견처럼 특정 인물을 대표 문서로 삼아도 무방해보입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0:54 (KST)답변
그나저나 우금(牛金)의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를 하면 좋을까요? 지금처럼 우금 (위)라고 표기하면 우금 (문칙)하고 겹치는 부분도 있고 수정을 할 필요가 있겠는데 딱히 좋은 의견이 생각나지는 않는군요.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0:57 (KST)답변
순욱도 빈 도시락을 받은 순욱의 저명성이 월등합니다. 순욱이든 다른 인물이든 그냥 검색 결과 내지 위백 내 링크의 사용례를 보고 판단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잡장 우금의 명칭은... '개인적으로' 현행 표기도 상관 없고 '우금 (잡장)'이 어떨지...(유비처럼 도망;;;;)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1:26 (KST)답변
'저명성'이라는게 물론 '용어의 사용례'도 중요하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해당 인물들이 이룩한 업적'도 어느 정도는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되어서요.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제 주관적인 기준이기에 왕좌지재 순욱의 대표 문서화를 무조건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은 아닙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8:08 (KST)답변
개인적 생각에 '이룩한 업적'은 계량화하기가 좀 어려운 부분 같습니다... 넘겨주기가 자주 찾는 정보로의 빠른 접근을 지향하는 만큼 현행 지침대로 ‘사용례’만 고려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3일 (토) 15:22 (KST)답변
우금은 관직으로 구분하면 되지 않을까요? 于禁은 안원장군으로 죽었고 牛金의 장군호는 명확하지 않지만 어쨌든 장군은 맞으니, 우금 (안원장군)과 우금 (장군)으로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8:48 (KST)답변
저는 사용 용례가 절대적으로 많지 않다면 위키백과에서 대표 표제어를 정하는 것 자체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8:48 (KST)답변
백:동음이의어에도 "만약 여러 문서 중 한 의미로 월등히 많이 쓰인다면, 그 문서의 제목을 기본으로" 한다고 하였습니다. 다른 기준에 의한 대표어 설정은 총의가 없는 상태입니다. 제가 예시로 든 5인(그리고 지금 바로 생각나지 않는 또다른 장수들)은 '사용례의 비교'만을 고려하였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3일 (토) 15:22 (KST)답변
여러 문서 중 한 의미로 월등히 많이 쓰인다는 말을 저는 절대적인 용례 자체가 많으면서 여러 동음이의어 중에서 상대적으로도 많이 쓰인다고 보았습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2월 13일 (토) 16:55 (KST)답변
네. 현재로서는 지침도 그러합니다. 저 5인은 (틀 문제가 있긴 합니다만) 사용량도 다른 사람에 비해 만습니다... 다른 사례도 찾아보면 더 나올 것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7일 (수) 06:16 (KST)답변

추가적으로 한 가지 더 논의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만 마충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일단 저는 두 인물의 저명성에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어 현행대로 동음이의 문서를 대표 문서로 유지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입장입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1:11 (KST)답변

마충은 검색 결과가 보여주듯 저명성의 차이가 없는 것 같으니 말씀대로 현행 유지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2일 (금) 01:26 (KST)답변

의견 이전에 삼국지 관련 인물들의 동음이의 표제어를 한 번 정리했을 당시 느낀 사실이지만,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삼국지 관련 인물들 중 동은이의 처리된 문서들이 많이 있습니다. 개중에는 위에서도 언급된 조순이라던가 허정처럼 삼국지 관련 인물들을 동음이의 문서로 놓는 것이 마땅한 것도 있고, 본 토론에서 논의된 것처럼 어느 한 인물을 대표 문서로 삼는 것이 더 나은 문서들도 있겠습니다. 본 토론이 좀 더 생산적인 방향으로 진행되려면 일단 이에 해당되는 예시들을 좀 더 많이 찾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4일 (일) 23:00 (KST)답변

조순이나 허정은 현재의 대표어에 대한 한국어 검색 결과가 많습니다. 삼국지 조순이나 허정은 이에 비해 묻힙니다. 사실 이 토론은 필요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백:동음이의이란 지침이 이미 존재하는 이상 어떤 표제를 대표어로 설정할 만큼 사용량이 많다는 것을 주장하는 자가 입증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럼에도 이 토론을 개설한 것은 토론:위덕왕, 토론:허저, 토론:낙랑공주처럼 의견을 달아도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조홍은 제가 나름 근거 자료를 붙여 이동 요청을 하였습니다만 승인도 불허도 아닌 무시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제 발언력이 꽤 약하기 때문에 일단 5인만이라도 토론을 판 것입니다. 대략 총의가 모였다는 판단이 든다면 다른 사례들도 찾아보겠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17일 (수) 06:16 (KST)답변
사실 일전에 표제어 관련으로 토론이 열렸을 때 발제해볼까 생각했던 것이지만, 현재 위키백과에서 동음이의 문서에 관련된 부분은 이러한 의견처럼 아직 상반된 의견이 공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지침을 근거로 총의를 형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겠습니다만, 저는 이 문제에 대해 좀 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지 않나 하는 의견입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동음이의 문서에 대한 위키백과 공동체 차원에서의 대대적인 토론을 진행할 필요 또한 있어보입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17일 (수) 21:00 (KST)답변
조금 다른 얘기 같습니다만 제시하신 토론은 (의아해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결국 두 분께서 같은 기준에서 얘기를 하신 것 같습니다. 다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 토론 문화와 한국한국어를 구분하지 못한 것이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또한 해당 건은 토론:강유미로 인해 해결되었습니다. 백:동음이의는 현재로선 꽤 명료합니다. 다른 기준의 삽입에 대한 토론을 개설해볼 수는 있으나 계량화할 수 없는 근거는 가급적 배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더이상 이의가 없다면 현행 지침에 따라 이동할 만한 삼국지 관련 동음이인 문서들의 사례를 수집해보겠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0일 (토) 10:02 (KST)답변

사례 수집과 그 검토

상단 토론에 따라 동음이의어 중에서 기본 문서로 선정할 만한 사례들을 꼽아보았습니다. 문서들이 워낙 많다보니 스킵한 문서들이나 대충 본 것도 있습니다;;;; 관련 표제들이 삼국지에만 국한되지 않는 것도 많기에 의견 요청 틀을 달았습니다. 순서는 ㄱㄴㄷ순이며 소제목을 달았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5일 (목) 00:50 (KST)답변

기타

  • 양서는 역사서 양서를...
  • 윤상은 가수 윤상을...
  • 이밀은 수나라 말의 이밀을...
  • 진표는 신라 승려 진표를...
가규는 고전에서는 후한 초의 가규를 많이 언급하기도 하고, 절대적인 용례 자체가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절대적인 용례가 부족하다고 하는 기준은 오호대장군 정도이긴 합니다만.--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2월 25일 (목) 13:08 (KST)답변
특수:가리키는문서/가규 (후한), 특수:가리키는문서/가규 (조위), 특수:가리키는문서/가규, 나무위키 가규. 구글 첫페이지. 그으... 오호대장군 급은 너무 강력하지 않나효... 검색 페이지 수는 삼국지 가규우중문과 비슷합니다.(유동적)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8일 (일) 12:10 (KST)답변
다른 분들께서 딱히 반대가 없으시면 이대로 문서 이동 요청을 하겠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2일 (화) 02:23 (KST)답변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네요.

삼국지 인물은 편집해본 일이 없고, 관련 지침도 잘 모릅니다만은, 저역시 나름 일개 삼국지 팬이며 위키백과 독자겸 편집자이기 때문에 의견을 여쭙니다.

단적인 예로서 원담하나만 가지고 이야기 해보자면,

  1. 원담을 섬긴 인물 문단의 화언, 공순은 내용이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완전히 일치하며, 내용은 '사서엔 "아첨하는 자"'였다라는 말만 나오고 더이상의 행적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사서속 인물은 사서에 한 줄만이라도 기록되면,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이 충족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말마따나, 조금 나온다고 치면 임팩트 측면에서 화언, 공순은 조조가 죽인 여백사에 한없이 미치지 못한데 이들은 등재가 되어있고 여백사는 없는게 이상합니다.
  2. 같은 문단에 팽안은 가공 인물이지만 원담을 섬겼다 하는데, 그렇다면 원담은 팽안을 본적이 없겠습니다. 허구의 인물이니까요. 원담은 실존인물인데, 실존인물을 섬긴 인물명단에 가공인물이 들어가는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삼국지 문서가 발전했으면 하는 소망에 몇자 적습니다. 프로젝트 참가자 분들과 의견 나누고 싶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Tablemaker 2016년 2월 20일 (토) 19:43 (KST)답변

1번의 경우에는 정확히는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만 프로젝트 차원에서 삼국지 인물에 관한 기준을 세운 것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본 프로젝트에서 활발히 활동하시는 분들께서 답변해주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2번의 경우에는 사실 '섬겼다'는 용어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기에 개인적으로 해당 문단의 존치 여부 자체에 의문이 있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2월 21일 (일) 14:05 (KST)답변
화언과 공순은 원담전에서 세트메뉴로 한번 언급되는 게 다입니다. 화엄의 내용이 공순이고 공순의 내용이 화엄입니다. 이 친구들은 강남이교처럼 공순과 화엄으로 병합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섬긴 사람' 등의 문단은 저 역시 회의적이라 원담뿐만이 아니라 일괄적으로 다 날려버리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2월 25일 (목) 00:50 (KST)답변

미디어 믹스로서의 삼국지

역사서로서 삼국지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에서 삼국지는 역사 그 자체보다는 삼국지연의라는 인기 소설을 기반으로 한 문화현상으로서의 의미가 더 크다는 의견이 있어요. 그렇기에 그런 문화현상을 다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역사 프로젝트의 부분으로만 이 프로젝트를 생각하는 것을 넘어설 필요가 있어요. 위에서 분류: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을 분류: 위나라의 인물 (삼국) 따위로 바꾸자는 의견을 제시했지만, 삼국지를 역사뿐만이 아닌 삼국지연의와 그와 연관된 문화 컨텐츠까지 연관해서 생각해본다면 분류: 삼국지의 등장인물과 분류: 삼국 시대의 인물 (중국)은 서로 다른 가치를 부여받고, 따라서 서로 다른 분류로서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20일 (일) 17:57 (KST)답변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분류:삼국지의 가공 인물과 실존인물들은 이미 다른 분류로서 존재하고 있으며 그 상위 분류가 분류:삼국지의 인물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4일 (목) 05:40 (KST)답변
삼국지의 등장 인물은 삼국지나 삼국지연의와 그 파생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을 분류하는 용도로, 삼국 시대의 인물 (중국)은 역사상 삼국 시대에 활동한 사람을 분류하는 용도로 나누고자 합니다.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은 전자의, 위나라의 인물 (삼국)은 후자의 하위 분류가 될 것입니다. 현재 삼국지의 인물은 상위 분류로 삼국 시대 (중국)을 끼고 있는데 후한 시대의 인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삼국 시대 (중국) 분류에 후한 사람이 들어가는 꼴입니다. 이는 정몽주를 조선 시대 사람으로 분류하는 것과 같으며, 이 분류가 특정 문학 작품(역사서든 소설이든)의 등장인물과 시대별 인물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모호함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24일 (목) 09:44 (KST)답변
다른 이유로는 일단술먹고합시다님이 소개한 “삼국지 현상”이라는 게 역사 외의 다른 것도 포괄하는데다 오히려 삼국 시대와는 괴리가 있다는 점입니다. “삼국지의 주인공은... 논란(?)은 있습니다만 유관장이죠ㅋ 뭐 조조가 될 수도 있습니다만 이들의 공통점은... 정작 한나라로부터 독립하면 죽는다는 겁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창작품 어디서도 정말 위촉오가 세워진 이후에 포커스를 맞추는 작품은 없습니다;; (조금 감상을 덧붙여) 삼국지라 하면 프롤로그에서 노란 두건들이 들고일어나거나, 동탁이 덥수룩한 수염으로 음흉한 웃음을 짓고 있거나, 복숭아밭에서 꽃잎이 휘날리고 있죠. 아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옛날의 삼국지 만화 오프닝의 첫 가사(BGM 주의)는 유비관우장비입니다ㅋ 다른 인물들을 쩌리로 만듬요ㅋ 조금더 진중하게 말씀드리자면 묘하게도 이게 실제 《삼국지》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조조와 관련한 것들의 사료는 풍부하지만 그렇지 않을수록 기재가 적어집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주연인물의 주변이 아닌 이들을 편집할 땐 머리가 터질 것 같습니다;;) 또 이전, 악진, 하후연 등 위촉오가 한나라로부터 독립하기 전에 죽은 인물들 상당수가 삼국지에 입전되었지 후한서에는 입전이 되지 않았습니다.”삼국지 현상이 역사를 포함하지만 학술적인 역사라기보다는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하는 문화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25일 (금) 10:01 (KST)답변
중국어 위키백과에서 송강은 수호전의 등장인물(의 하위분류인 수호전 108성)과 북송 민변의 영수 두 가지 분류(+출신 분류인 화이안 사람, 성씨 분류인 송성)로 분류되는데 이것도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3월 25일 (금) 10:01 (KST)답변
아... 그 말씀이라면 현재 분류:삼국지의 인물뿐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중간 분류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채 난립해 있습니다. 일단 이건 최초의 그 모습처럼 분류:삼국지를 제외한 다른 상위 분류를 모두 끊겠습니다. 이것 말고도 관련 분류들을 싹 간결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3월 27일 (일) 17:01 (KST)답변
어떻게 하면 잘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다시 한번 제안합니다. 예를 들면 종진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로 분류되지 않고 분류:삼국지의 가공 인물로만 분류됩니다. 이는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이 분류:중국 제국의 왕조별 사람의 하위 분류인 이상 어쩔 수 없습니다. 조앙 (자수)분류:후한 사람에는 간접적으로 들어가나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에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삼국지 문화에서 위나라 사람이라고 하면 딱 위나라라는 왕조가 명시적으로 성립하기 이전부터 위 왕가의 시조인 조조를 섬긴 사람이나, 삼국지 문화에서 빚어낸 가공의 조조 부하들과 위나라 사람들도 포함한다고 생각합니다. 분류:중국 제국의 왕조별 사람의 하위 분류로는 현재의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 대신 다른 것을 쓰고 분류: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은 삼국 시대의 실존인물들에서 넓혀서 삼국지 문화에서 조조와 위나라를 섬기는 것으로 나오는 인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분류로 쓰는 게 어떨까 합니다.--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5월 11일 (수) 03:36 (KST)답변
그래서 분류:조조와 주변 인물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분류들도 이미 존재하고 있습니다. 분류:삼국지의 인물을 굳이 소설로 국한해서는 안됩니다. '한국어 화자'들은 이미 삼국지를 그 나름의 컨텐츠로 소비하고 있습니다.(이는 제가 여러 번 증명해드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그대로 분류를 해주면 그만입니다. 우리가 먼저 나서서 한국어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삼국지' 개념의 변화를 도모해서는 안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01:09 (KST)답변
제가 삼국지 개념의 변화를 도모했다는 건가요? 현재 위키백과에서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이란 분류는 220 ~ 264년의 연대 안에서 활동한 인물 중에 위나라에 속한 사람들을 위한 분류이며, 조조와 주변 인물은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의 하위 분류가 아닙니다. 전 오히려 이게 위키백과에서 삼국지 개념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킨 거라고 봐서 좀 더 대중적인 분류로 바꾸려고 한 겁니다만...--Synparaorthodox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01:39 (KST)답변
어어... 그러니까.. 현재 님의 걱정을 현재의 분류가 충분히 소화하고 있다는 말씀입니다. 분류:삼국지의 인물은 삼국지 위나라 시절의 인물뿐만이 아니라 한나라 시절의 삼국지 인물들까지도 모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지 그 인물이 워낙에 많다보니 위나라 시절의 삼국지 인물과 한나라 시절의 삼국지 인물을 구분짓고 있을 뿐입니다. 이는 상기 프토:삼국지#삼국지 위나라, 삼국지 오나라, 삼국지 촉나라 명칭 개정도 함께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01:48 (KST)답변

삼국지 인물의 동음이의어 문서를 가를 때는 국적보다 '삼국지'를 우선으로 합시다

제가 테스트 삼아 진온 (삼국지)를 등록해보았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입니다. 구글에서의 '진온 삼국지'의 검색 결과입니다. 진온 후한의 검색 결과입니다. 모두 상단에 뜹니다. '진온 삼국지'는 표제로 인해서, '진온 후한'은 첫 문장의 설명으로 인해서 무난하게 검색에 뜹니다. 한편 변장 (후한)을 봅시다. 변장 후한은 상단에 뜹니다. 하지만 변장 삼국지는 안 뜹니다 변장은 삼국지연의에 안 나오거든요... 여기서 '한국어 화자'들이 후한 사람 변장을 찾겠습니까? 삼국지 인물 변장을 찾겠습니까? 동음이의어 문서에서의 괄호()는 그저 해당 문서를 구별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그렇담 최대한 한국어 화자에게 더 와닿는 표제를 설정해야 할 것입니다. 네이버에서 우금을 쳐보았습니다 연관검색어에 '후한 우금'이나 '조위 우금'이 뜨는 것이 아니라 '삼국지 우금'이 뜹니다. 부디 현대어, 대중어(통용 표기)를 씁시다. 안 그래도 조회수, 편집수 모두 딸리는데 스스로 고립되면 아무 쓸모가 없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더 일반인에게 다가갈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00:44 (KST)답변

그러면 원래 지금 쓰고 있는 조위 우금?을 삼국지 문서로 넘겨주기만 한다면 저는 나쁜게 없어보이네요.--고려 (토론) 2016년 5월 14일 (토) 10:33 (KST)답변
역사서/소설 명보다는 나라명/시대명을 분류명으로 하는게 어떨까요? 삼국지의 주인공이기 이전에 중국사의 실존인물이니깐요. -- ChongDae (토론) 2016년 5월 16일 (월) 16:09 (KST)답변
분류명에 대해서는 프토:삼국지#삼국지 위나라, 삼국지 오나라, 삼국지 촉나라 명칭 개정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삼국지에 관심있는 독자들은 일단 '삼국지'로서의 인물에 관심이 있는 것이지, 다른 것은 부차적입니다. 또 삼국지 관련 인물들은 실존인물과 가상인물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내지 백과사전에서는) 그 자가 가상인물인지, 실존인물인지를 분명하게 알려주면 됩니다. 분류명이나 표제는 그러한 내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도를 고안하는 것입니다. 삼국지는 단순한 역사서/소설 명이 아닙니다. 현실이 그렇다면 그저 그 흐름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인터넷 백과사전을 지향한다는 위백만이 유독 그 흐름으로부터 동떨어질 이유가 없습니다. 인터넷 백과사전은 소비자가 소비하고 싶은 지식을 생산하고 정리하는 것이 생명 아니겠습니까? 위백은... 항상 그 점을 고민해야 합니다. 위백을 어떻게 해야 더 조회수를 늘릴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편집수를 더 늘릴 수 있을지, 어떻게 해야 더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지... 저의 제안이 위백을 발전시켰으면 발전시켰지 퇴보시킬 제안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관련 토론이나 발제문에서도 이미 제시... 해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5월 16일 (월) 18:15 (KST)답변
해당 토론에 따라 이대로 천천히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6년 6월 17일 (금) 06:3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