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프랑크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맹금류 (토론 | 기여)
섬네일|[[검독수리]] 섬네일|다양한 모양과 크기 '''맹금류'''(猛禽類)는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갖고있는 육식성 새들을 뜻한다. 맹금류는 조류의 먹이사슬 중에서 최강자로 군림한다. 독수리, , 부엉이, 올빼미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에서는 맹금류를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일정한 거리에서나 비행 중에 음식을 찾기 위한 날카로운 시력, 먹이를 붙잡거나 죽이기 위한 발톱이 있는 튼튼한 발, 살을 찢기 위한 굽은 부리를 갖추고 있다.<ref name=Perrins>{{서적 인용|title=The Encyclopaedia of Birds|page=102|publisher=Guild Publishing|editor1-first=Chri
태그: 자서전
1번째 줄: 1번째 줄:

== [[파일:Steinadler Aquila chrysaetos closeup2 Richard Bartz.jpg|섬네일|[[검독수리]]]]
[[파일:RaptorialSilhouettes.svg|섬네일|다양한 모양과 크기]]
'''맹금류'''(猛禽類)는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갖고있는 육식성 새들을 뜻한다. 맹금류는 조류의 먹이사슬 중에서 최강자로 군림한다. [[독수리]], [[매]], [[부엉이]], [[올빼미]]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에서는 맹금류를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일정한 거리에서나 비행 중에 음식을 찾기 위한 [[새의 시력|날카로운 시력]], 먹이를 붙잡거나 죽이기 위한 [[발톱]]이 있는 튼튼한 발, 살을 찢기 위한 굽은 [[부리]]를 갖추고 있다.<ref name=Perrins>{{서적 인용|title=The Encyclopaedia of Birds|page=102|publisher=Guild Publishing|editor1-first=Christopher, M| editor1-last=Perrins| editor2-first=Alex, L. A.| editor2-last=Middleton|year=1984}}</ref><ref>{{저널 인용|doi=10.1371/journal.pone.0007999|author1=Fowler, D.W. |author2=Freedman, E.A. |author3=& Scannella, J.B. |year=2009|title=Predatory Functional Morphology in raptors: Interdigital Variation in Talon Size Is Related to Prey Restraint and Immobilisation Technique|journal=PLoS ONE|volume=4|pmid=19946365|pmc=2776979|issue=11|pages=e7999}}</ref><ref name=Burton>{{서적 인용|title=Birds of Prey|page=8|first=Philip|last=Burton|others=illustrated by Boyer, Trevor; Ellis, Malcolm; Thelwell, David|publisher=Gallery Books|year=1989|isbn=978-0-8317-6381-7}}</ref>

== 계통별 분류 ==
[[주행성]] 맹금류는 [[매목]]/[[수리목]]의 5가지 과로 분류된다.
* [[매목]] (Falconiformes)
** [[매과]] (Falconidae)
* [[수리목]] (Accipitriformes)
** [[수리과]] (Accipitridae)
** [[물수리|물수리과]] (Pandionidae)
** [[뱀잡이수리|뱀잡이수리과]] (Sagittariidae)
** [[콘도르과]] (Cathartidae)

[[야행성]] 맹금류는 [[올빼미목]]의 두 과로 분류된다.
* [[부엉이|올빼미과]] (Strigidae)
* [[가면올빼미과]] (Tytonidae)

== 각주 ==
{{위키공용분류}}
{{각주}}

{{전거 통제}}
{{토막글|새}}

[[분류:새]]
[[분류:맹금류| ]]
[[분류:동물 통상명]]

== 제목 ==
==
==
{{about|프랑크 왕국|프랑크인들과 이들의 민족 집단|프랑크인들의 정치발전|other uses}}
{{about|프랑크 왕국|프랑크인들과 이들의 민족 집단|프랑크인들의 정치발전|other uses}}
{{distinguish|프랑}}
{{distinguish|프랑}}
10번째 줄: 45번째 줄:
|관련민족 = [[게르만족]], [[프랑스인]]
|관련민족 = [[게르만족]], [[프랑스인]]
}}
}}
'''프랑크인'''({{llang|la|Franci|프랑키}}) 또는 ({{lang|la|gens Francorum|겐스 프랑코룸}})은 [[게르만]] 무리의 일파이며, 이 명칭은 3세기의 로마 사료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로마 제국]]의 경계인 [[라인강]] 하류와 중류에 있는 게르만 부족들과도 관련이 있다. 시간이 흘러, 이 용어는 로마 제국 붕괴 시기에 로마화된 게르만족 왕조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결국엔 [[루아르강]]과 라인강 사이에 영토 전역을 다스렸고, 로마 이후의 많은 왕국들과 게르만족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에는 [[서로마 제국]]의 옛 통치자들의 계승자로 [[가톨릭 교회]]의 공인을 받았다.<ref>[http://www.encyclopedia.com/history/modern-europe/german-history/holy-roman-empire "Holy Roman Empire"]</ref><ref>[http://unamsanctamcatholicam.com/history/79-history/566-coronation-charlemagne.html Coronation of Charlemagne]</ref><ref>[http://www.history.com/topics/charlemagne "Charlemagne"]</ref>{{efn|800년에 [[샤를마뉴]]의 대관식}}
'''프랑크인'''({{llang|la|Franci|프랑키}}) 또는 ({{lang|la|gens Francorum|겐스 프랑코룸}})은 [[게르만]] 무리의 일파이며, 이 명칭은 3세기의 로마 사료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로마 제국]]의 경계인 [[라인강]] 하류와 중류에 있는 게르만 부족들과도 관련이 있다. 시간이 흘러, 이 용어는 로마 제국 붕괴 시기에 로마화된 게르만족 왕조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결국엔 [[루아르강]]과 라인강 사이에 영토 전역을 다스렸고, 로마 이후의 많은 왕국들과 게르만족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에는 [[서로마 제국]]의 옛 통치자들의
== 제목 ==
승자로 [[가톨릭 교회]]의 공인을 받았다.<ref>[http://www.encyclopedia.com/history/modern-europe/german-history/holy-roman-empire "Holy Roman Empire"]</ref><ref>[http://unamsanctamcatholicam.com/history/79-history/566-coronation-charlemagne.html Coronation of Charlemagne]</ref><ref>[http://www.history.com/topics/charlemagne "Charlemagne"]</ref>{{efn|800년에 [[샤를마뉴]]의 대관식}}


프랑크인이라는 명칭이 3세기까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일부 본래의 프랑크인 부족들은 로마인들에게 병사들을 제공해주는 동맹이자 적들 모두로서, 자신들의 부족들의 명칭으로 오랜 기간 알려졌다. 로마와 이들의 동맹이 라인강 지역의 지배권을 상실할 때, 그 새로운 명칭이 등장했다. 프랑크인들은 로마의 영토를 함께 약탈할 때 처음으로 기록되었지만, 이 약탈의 시작은 색슨인/작센인들 그리고 수 세기간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로마의 영토로 이주하길 열망하던 변경 부족들이 프랑크인들의 변경 지역에서 프랑크인들을 공격한 것과 연관이 되어있었다.
프랑크인이라는 명칭이 3세기까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일부 본래의 프랑크인 부족들은 로마인들에게 병사들을 제공해주는 동맹이자 적들 모두로서, 자신들의 부족들의 명칭으로 오랜 기간 알려졌다. 로마와 이들의 동맹이 라인강 지역의 지배권을 상실할 때, 그 새로운 명칭이 등장했다. 프랑크인들은 로마의 영토를 함께 약탈할 때 처음으로 기록되었지만, 이 약탈의 시작은 색슨인/작센인들 그리고 수 세기간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로마의 영토로 이주하길 열망하던 변경 부족들이 프랑크인들의 변경 지역에서 프랑크인들을 공격한 것과 연관이 되어있었다.

2019년 2월 4일 (월) 09:53 판

==

검독수리
다양한 모양과 크기

맹금류(猛禽類)는 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을 갖고있는 육식성 새들을 뜻한다. 맹금류는 조류의 먹이사슬 중에서 최강자로 군림한다. 독수리, , 부엉이, 올빼미 등이 이에 속한다. 한국에서는 맹금류를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일정한 거리에서나 비행 중에 음식을 찾기 위한 날카로운 시력, 먹이를 붙잡거나 죽이기 위한 발톱이 있는 튼튼한 발, 살을 찢기 위한 굽은 부리를 갖추고 있다.[1][2][3]

계통별 분류

주행성 맹금류는 매목/수리목의 5가지 과로 분류된다.

야행성 맹금류는 올빼미목의 두 과로 분류된다.

각주

  1. Perrins, Christopher, M; Middleton, Alex, L. A., 편집. (1984). 《The Encyclopaedia of Birds》. Guild Publishing. 102쪽. 
  2. Fowler, D.W.; Freedman, E.A.; & Scannella, J.B. (2009). “Predatory Functional Morphology in raptors: Interdigital Variation in Talon Size Is Related to Prey Restraint and Immobilisation Technique”. 《PLoS ONE》 4 (11): e7999. doi:10.1371/journal.pone.0007999. PMC 2776979. PMID 19946365. 
  3. Burton, Philip (1989). 《Birds of Prey》. illustrated by Boyer, Trevor; Ellis, Malcolm; Thelwell, David. Gallery Books. 8쪽. ISBN 978-0-8317-6381-7. 

제목

==
==
프랑크인
언어
프랑크어
종교
프랑크 이교
로마 가톨릭교회
민족계통
근연민족 게르만족, 프랑스인

프랑크인(라틴어: Franci 프랑키[*]) 또는 (gens Francorum 겐스 프랑코룸[*])은 게르만 무리의 일파이며, 이 명칭은 3세기의 로마 사료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로마 제국의 경계인 라인강 하류와 중류에 있는 게르만 부족들과도 관련이 있다. 시간이 흘러, 이 용어는 로마 제국 붕괴 시기에 로마화된 게르만족 왕조와도 관련이 있으며, 이들은 결국엔 루아르강과 라인강 사이에 영토 전역을 다스렸고, 로마 이후의 많은 왕국들과 게르만족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에는 서로마 제국의 옛 통치자들의 계

제목

승자로 가톨릭 교회의 공인을 받았다.[1][2][3][a]

프랑크인이라는 명칭이 3세기까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일부 본래의 프랑크인 부족들은 로마인들에게 병사들을 제공해주는 동맹이자 적들 모두로서, 자신들의 부족들의 명칭으로 오랜 기간 알려졌다. 로마와 이들의 동맹이 라인강 지역의 지배권을 상실할 때, 그 새로운 명칭이 등장했다. 프랑크인들은 로마의 영토를 함께 약탈할 때 처음으로 기록되었지만, 이 약탈의 시작은 색슨인/작센인들 그리고 수 세기간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로마의 영토로 이주하길 열망하던 변경 부족들이 프랑크인들의 변경 지역에서 프랑크인들을 공격한 것과 연관이 되어있었다.

라인강에 있는 로마 국경 지역내에 살던 프랑크인들은 로마 영토내에서 거주하는 것이 최초로 허용되면서 처음으로 출현한 잘리어 프랑크인/살리이족과 수 많은 시도 끝에 로마의 국경 도시 쾰른을 정복하고 라인강 서부 기슭을 차지한 리푸아리인/라인란트 프랑크인이었다. 이후, 지방 세력들 간의 분쟁의 시기인 450년대와 460년대에, 프랑크인 출신인 킬데리크 1세는 로마령 갈리아 (대략 오늘날 프랑스)에서 다양한 민족군들로 이뤄진 동맹군과 로마군을 지휘하던 몇몇 군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 킬데리크와 그의 아들 클로비스 1세는 루아르 세력과 관련된 프랑크인의 ‘왕위’를 두고 로마인 아이기디우스의 도전에 직면했다. (투르의 그레고리우스에 따르면, 아이기디우스는 킬데리크가 추방당한 8년 동안에 프랑크인의 왕위를 지녔다고 한다.) 알라리크 1세에게서 영감을 받았을 것으로 보이는,[4] 이 새로운 왕위는 라인강 변경의 모든 프랑크족 계열의 왕국들에게 지배권을 행사했을 뿐이 아니라, 6세기에 갈리아 전역을 정복한 메로빙거 왕조의 시작을 상징한다. 800년에 서유럽의 새로운 황제로 여겨지던 카롤링거 왕조는 메로빙거 제국에 토대를 두었다.

중세 시대에서 프랑크인이라는 단어는 카롤링거 제국의 프랑크인들이 서유럽의 대부분의 지배자였기에, 서유럽인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 들어서야 막을 내린, 유럽의 앙시앵 레짐의 기초가 된 정치적 질서를 확립했다. 서유럽인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한 프랑크인들의 믿음을 공유했고 유럽 대륙 너머 레반트에서 일어난 십자군 전쟁의 동맹으로 활약했으며, 그곳에서 서유럽인들은 그들 스스로와 그들이 세운 공국들을 프랑크인, 프랑크인들의 것으로 나타냈다. 이 명칭은 많은 언어들에서 서유럽인들에 대한 명칭으로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졌다.[5][6][7]

프랑크인 계열 왕국들이 시작되면서 동부 지역의 프랑크인 및 게르만인 지역과 메로빙거 제국이 로마의 영토에 세운 서부 지역 사이는 정치적, 법적으로 분리되었다. 프랑크 왕국의 동부는 새로히 “신성 로마 제국”으로 여겨졌고, 근세 시기에 때로는 “독일”이라 불렸다. “프랑크인”들의 서유럽에서는 메로빙거나 “잘리어” 서프랑크 왕국이 로마령 갈리아에서 세워졌고 로망스어군으로 소통했으며, 프랑크인에서 직접적으로 전래된 명칭인 “프랑스”로서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어원

프랑크인에 대한 19세기의 다른 묘사 (400–600년)

프랑크인을 나타내는 라틴어 명칭인 프랑키 (Franci)는 한 부족의 명칭이 아니라, 몇 세기 동안에 각자의 명칭을 지니고 있던 민족들을 가리켜 지칭한 것이었다. 에드워드 기번야코프 그림의 선례를 따라,[8] 프랑크인의 명칭은 본래 “자유”를 의미하는, 영어의 형용사 "frank"와 연관지어졌다.[9]

법률

다른 게르만족들처럼, 프랑크인들의 법률도 스칸디나비아법률암송가와 유사한, “라힘부르크스”(rachimburgs)들이 암기하여 전승되었다.[10] 프랑크의 법률이 성문화되어 처음 등장한 6세기 쯤에, 잘리어 프랑크인들의 살리카법과 리푸아리아 프랑크인들의 리부아리아법, 두 가지 기초 법률 구분이 있었다. 루아르강 남쪽의 갈로로마인들과 성직자들은 전통적인 로마법을 유지했다.[11] 게르만법은 사유물의 보호에 관해서 상당히 치중했고 국가의 이익 보호에 관해서는 덜 관심을 두었다. 미셸 루슈 (Michel Rouche)에 따르면, "프랑크인 판사들은 로마인 판사들이 쿠리알레스 (라틴어: curiales)나 도시 집단체의 고문관에 대한 재정 의무 등이 포함된 사건에 전념한 만큼 개 도둑 등이 포함된 사건에 보다 많이 전념했다."라고 한다[12]

각주

  1. "Holy Roman Empire"
  2. Coronation of Charlemagne
  3. "Charlemagne"
  4. Halsall (2007, 267쪽)
  5. Angeliki Laiou, Henry P. Maguire (1992). 《Byzantium: A World Civilization》. Dumbarton Oaks. 62쪽. ISBN 978-0-88402-200-8. 
  6. Richard W. Bulliett et alii (2011). 《The Earth and Its Peoples》. Cengage Learning. 333쪽. ISBN 978-0-495-91310-8. 
  7. Janet L. Nelson (2003). 《The Frankist World》. Continuum International. xiii쪽. ISBN 978-1-85285-105-7. 
  8. Perry 1857, 42쪽.
  9. Examples: 〈frank〉.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frank〉.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And so on.
  10. Michel Rouch, 421.
  11. Michel Rouche, 421-422.
  12. Michel Rouche, 422-423

함께 보기


인용 오류: "lower-alpha"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lower-alpha"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