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퍼드 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클리퍼드 대수에서 분리
(차이 없음)

2016년 3월 30일 (수) 12:27 판

이차 형식 이론에서, 클리퍼드 군(Clifford群, 영어: Clifford group)은 클리퍼드 대수의 특별한 가역원들로 구성되는 이며, 직교군의 특정한 확대이다.

정의

국소 동차 원소

가환환 가 주어졌을 때, -등급 -대수 의 원소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원소를 국소 동차 원소(영어: locally homogeneous element)라고 한다.[1]:233, Lemma 5.1.4[2]:149, §III.6.1

  • , 인 원소 가 존재한다.
  •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는 동차 원소이다. 여기서 환의 스펙트럼이며, 에서의 가환환의 국소화이다.
  • 모든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하여, 는 동차 원소이다. 여기서 에서의 가환환의 국소화이다.

(물론 인 경우, 모든 국소 동차 원소는 동차 원소이다.) 국소 동차 원소들은 곱셈에 대하여 닫혀 있으며, 만약 가역원이라면 그 역원 역시 국소 동차 원소이다. 따라서 국소 동차 가역원들의 군 가역원군 의 부분군을 이룬다.

국소 동차 가역원 가 주어졌으며, 가 위 조건에 의하여 존재하는 환 원소라고 할 때, 이며, 다음과 같은 -자기 동형을 정의할 수 있다.[1]:234[2]:158, §III.6.5

여기서

등급에 의하여 정의되는 자기 동형이다.

클리퍼드 군

가환환 위의 클리퍼드 대수 클리퍼드 군(영어: Clifford group)

은 다음과 같은 원소 로 구성된, 가역원군부분군이다.[2]:228, §IV.6.1

  • 가역원이며 국소 동차 원소이다.
  • 이다.
  • 모든 에 대하여, 이다.

즉, 클리퍼드 군은 클리퍼드 군의 가역원군 속의, 직교 변환을 정의하는 원소이다.

가환환 위의 클리퍼드 대수 특수 클리퍼드 군(영어: special Clifford group)

은 다음과 같다.[2]:228, §IV.6.1

즉, 특수 클리퍼드 군은 클리퍼드 군 가운데, 짝수 등급을 갖는 부분군이다.

스핀 군과 핀 군

클리퍼드 군 의 원소 가운데, 다음과 같은 부분군핀 군(영어: pin group)이라고 한다.[2]:230, §IV.6.2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부분군스핀 군(영어: spin group)이라고 한다.[2]:230, §IV.6.2

성질

이며, 차원 실수 벡터 공간이며, 비퇴화 이차 형식일 때, 가역원군 차원 리 군을 이룬다. 만약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이라면, 는 두 개의 연결 성분을 가지며, 단위원을 포함하는 성분 지표 2의 부분군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군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즉, 차원 리 군이다. 전체 가역원군 차원 리 군이므로, 이는 여차원 부분군이다.

직교군과의 관계

정의에 따라, 클리퍼드 군 위의 -선형 표현을 갖는다. 이 작용은 이차 형식 를 보존하며, 따라서 직교군

으로 가는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이 존재한다.

클리퍼드 군 부분 집합으로 포함한다 (가역원군). 이 경우

이다. 즉, 의 작용은 를 축 에 대하여 반사시키는 것이다.

딕슨 불변량

이며, 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며, 비퇴화 이차 형식이라고 하자. 핀 군 위에는 다음과 같은 딕슨 불변량(영어: Dickson invariant)이라는 군 준동형이 존재한다.

즉, 이는 로 인하여 생성되는 -선형 변환 빼기 1의 계수이다. 만약 표수가 2가 아니라면 딕슨 불변량은 다음과 같이 행렬식으로 주어진다.

핀 군의, 딕슨 불변량이 0인 정규 부분군은 스핀 군과 같다.

(스)핀 군은 다음과 같은 군의 완전열에 등장한다.

(여기서 일 경우 자명군이며, 아닐 경우 크기 2의 순환군이다.)

참고 문헌

  1. Helmstetter, Jacques; Micali, Artibano (2008). 《Quadratic mappings and Clifford algebras》 (영어). Birkhäuser. doi:10.1007/978-3-7643-8606-1. ISBN 978-3-7643-8605-4. 
  2. Knus, Max-Albert (1991). 《Quadratic and hermitian forms over ring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294. Springer. doi:10.1007/978-3-642-75401-2. ISBN 978-3-642-75403-6. ISSN 0072-7830. MR 1096299. Zbl 0756.11008.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