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11.223.10.56(토론)의 30298235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시조 = [[수로왕|김수로]](金首露)
| 시조 = [[수로왕|김수로]](金首露)
| 중시조 = 김목경(金牧卿), 김익경(金益卿), 김관(金官)
| 중시조 = 김목경(金牧卿), 김익경(金益卿), 김관(金官)
| 집성촌 = [[경기도]] [[성남시]]<br />[[전라남도]] [[신안군]] [[영암군]] [[화순군]] <br /> [[경상북도]] [[청도군]] <br />[[경상남도]] [[창원시]] [[하동군]] <br />[[함경남도]] [[북청군]]
| 집성촌 = [[경기도]] [[성남시]]<br />[[전라남도]] [[신안군]] [[영암군]] [[곡성군]] [[화순군]] <br /> [[경상북도]] [[청도군]] <br />[[경상남도]] [[창원시]] [[하동군]] <br />[[함경남도]] [[북청군]]
| 인물 =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문명왕후]], [[김일손]], [[김완 (1577년)|김완]], [[김경서]], [[공빈 김씨]], [[김예직]], [[김우항]], [[김홍도]], [[김대건]], [[김상옥]], [[김원봉]], [[김대중]], [[김종필]]
| 인물 =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문명왕후]], [[김일손]], [[김완 (1577년)|김완]], [[김경서]], [[공빈 김씨]], [[김예직]], [[김우항]], [[김홍도]], [[김대건]], [[김상옥]], [[김원봉]], [[김대중]], [[김종필]]
| 년도 = 2015
| 년도 = 2015

2021년 9월 18일 (토) 14:21 판

김해 김씨(金海 金氏)
김해 김씨의 종문
관향경상남도 김해시
시조김수로(金首露)
중시조김목경(金牧卿), 김익경(金益卿), 김관(金官)
집성촌경기도 성남시
전라남도 신안군 영암군 곡성군 화순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창원시 하동군
함경남도 북청군
주요 인물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문명왕후, 김일손, 김완, 김경서, 공빈 김씨, 김예직, 김우항, 김홍도, 김대건, 김상옥, 김원봉, 김대중, 김종필
인구(2015년)6,869,800명 (1위)
비고김해김씨

김해 김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다. 금관가야(金官伽倻)의 수로왕(金首露)을 시조로 한다.

역사

가락국수로왕(首露王)을 시조로 한다. 가야의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의 9명 간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6개의 황금알이 구지봉에 강림하고 금관 가야의 왕인 김수로부터 유래하였다.

11세손 김무력신라에서 각간(角干)을 지냈고, 그의 아들 김서현(金舒玄)은 진흥왕의 아우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부인(萬明夫人)과 혼인하여 대양주도독(大梁州都督)을 지냈다. 김서현의 아들 김유신(金庾信)의 누이 문희는 태종무열왕과 혼인하였고 백제와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하였다. 그 자신도 생전의 전공으로 사후에 흥무대왕에 추증되어 신라왕이 되었다. 김유신의 손자인 김윤중은 북방의 말갈족을 평정하는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이런 신김씨의 위세가 몰락한 계기는 780년 혜공왕대공의 난(大恭之亂)중에 피살당하는 것으로 무열왕계가 끊기고 선덕왕내물왕계가 왕위를 잇게 되면서부터인데 무열왕계의 왕실과 밀착하고 있던 신김씨는 무열왕계가 멸망하자 기댈 곳이 없어졌고 다른 진골귀족들로부터도 다시금 경원당하면서 심지어 6두품으로 추락했다.

진성여왕 때에 신라가 혼란하여 김상좌(金商佐)가 왕건에게 위탁해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三重大匡) 개국원훈(開國元勳)에 올른 이래 그 후손들이 문무 명신을 배출한 삼한 갑족에 속하며, 고려 시대에만도 정승급 15명을 비롯하여, 명신·공신 10여 명과 장군 8명, 제학 11명 등 숱한 인물을 배출했다.

김해 김씨의 직계종파는 김목경을 파조로 하는 경파(京派), 김익경을 파조로 하는 사군파(四君派), 김관을 파조로 하는 삼현파(三賢派)가 있다. 여기에 경파, 사군파, 삼현파마다 각각 세부적인 인물을 중조로 하여 총 24개의 공파로 구분되어 있는 등 계보가 복잡하다.

김해라는 곳도 고려 전까지 다양한 지명으로 불렸기 때문에 옛 가야의 지방 출신 김씨들을 가락 김씨(駕洛 金氏)라고 통틀어 부르기도 했었다. 고려때 김해부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김해 김씨라는 틀이 확립이 되었고, 직계종파도 그 시기에 갈라지기 시작한다.

세계도

1세 : 太祖王태조왕(수로)
          |                                                 
2세 : 道王도왕(거등)                            
          |
3세 : 成王성왕(마품)
          |
4세 : 德王덕왕(거질미)
          |
5세 : 神王신왕(이시품)
          |
6세 : 神王신왕(좌지)
          |
7세 : 惠王혜왕(취희)
          |
8세 : 莊王장왕(질지)
          |
9세 : 肅王숙왕(겸지)
          |
10세 :讓王양왕(구형) 
          |
11세 : 武力(무력) 
          |                 
12세 : 舒玄(서현)
          |
13세 : 庾信(유신) 欽純(흠순)
          |     
14세 : 三光(삼광) 元述(원술) 
          | 
15세 : 允中(윤중) 允文(윤문)
          |
16세 : 長淸(장청)
          |
17세 : 雄元(웅원)
          |
18세 : 擎柱(경주)
          |
19세 : 成海(성해) 成垈(성대)
          |
20세 : 挺喆(정철)
          |          
21세 : 琇胤(수윤) 玉胤(옥윤)
          |          
22세 : 天授(천수) 天與(천여)
          |                
23세 : 商佐(상좌) 
          |                                                  
24세 :  浩(호)  
          |  
25세 : 華齊(화제)
          |
26세 : 振酉(진유)
          |       
27세 : 承意(승의) 繼意(계의) 進意(진의)
          |        
28세 : 天精(천정) 
          |                                         
29세 : 恒齡(항령)                        
          |
30세 : 洙聖(수성)
          |
31세 : 商欽(상흠) 
          |                 
32세 : 成雨(성우) 
          |               
33세 : 一曙(일서) 
         ㅣ
34세 : 匡國(광국)
          |
35세 : 宗栢(종백)
          |
36세 :  繡(수)
          |
37세 : 以琢(이탁)
          |
38세 : 瑞天(서천)
          |
39세 : 陽喆(양철)
          |
40세 : 是秋(시추)
          |                
41세 : 鎭國(진국) 定國(정국)
          |                 
42세 : 奎祥(규상)
          |                                          
43세 : 道浹(도협) 
          |
44세 : 湯雨(탕우)
          |
45세 : 萬瑞(만서)
          |
46세 : 師孟(사맹)
          |
47세 : 相宙(상주)
          |                                        
48세 : 邦直(방직) 龍直(용직)
          |       |
49세 : 益銛(익섬)  管(관)
          |                           
50세 : 柱國(주국)                                         
          |                  
51세 : 晢卿(절경) 牧卿(목경) 益卿(익경)

과거급제자

조선시대 과거급제자는 문과 128명, 무과 536명, 사마시 471명, 역과 59명, 의과 39명, 음양과 15명, 율과 33명, 주학 8명이다.

분파

  • 종파
    • 경파(京派), 금녕군파(金寧君派) - 김목경(金牧卿)
      • 참판공파 (參判公派) : 김영견(金永堅)
      • 횡성공파 (橫城公派) : 김영서(金永瑞)
      • 안경공파 (安敬公派) : 김영정(金永貞)
      • 석성공파 (石城公派) : 김영순(金永純)
      • 호참공파 (戶參公派) : 김진서(金震敍)
      • 참찬공파 (參贊公派) : 김달문(金達門)
      • 봉상공파 (奉常公派) : 김현문(金顯門)
      • 밀직사공파 (密直使公派) : 김창문(金昌門)
      • 문간공파 (文簡公派) : 김저(金著)
      • 밀직공파 (密直公派) : 김수(金秀)
      • 평장사공파 (平章事公派) : 김란(金蘭)
    • 사군파(四君派), 감무공파(監務公派) - 김익경(金益卿)
      • ①생원공파 (生員公派) : 김련(金鍊)
      • 도총관공파 (都摠管公派) : 김추(金錘)
      • ②생원공파 (生員公派) : 김구(金銶)
      • 찬성공파 (贊成公派) : 김석(金錫)
      • 상서공파 (尙書公派) : 김감(金鑑)
      • 공간공파 (恭簡公派) : 김조(金銚)
    • 삼현파(三賢派),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 - 김관(金管)
      • 군수공파 (郡守公派) : 김건(金建)
      • 집의공파 (執義公派) : 김맹(金孟)
      • 한림공파 (翰林公派) : 김용(金勇)
      • 진사공파 (進士公派) : 김순(金順)
      • 녹사공파 (錄士公派) : 김인(金靭)
      • 진의공파(進義公派) : 김현(金鉉)
  • 천여(天與)
    • 첨정공파(僉正公派) - 김덕휴(金德休)
  • 진의(進意)
    • 운은공파(雲隱公派) - 김대진(金大震)
    • 문경공파(文敬公派) - 김탁(金琢)
    • 부사공파(府使公派) - 김근(金瑾)
    • 한림공파(翰林公派) - 김관(金鑧)
    • 충정공파(忠貞公派) - 김구(金玖)
    • 도사공파(都事公派) - 김련(金璉)
    • 승정공파(承政公派) - 김현(金現)
    • 휴은공파(休隱公派) - 김호(金琥)
    • 장사군파(長沙郡派) - 김선(金璇)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김득하(金得河)
    • 도총관공파(都總管公派) - 김경신(金敬臣)
    • 판윤공파(判尹公派) - 김경보(金敬輔)
  • 상현(商賢)
    • 판전공파(判典公派) - 김명택(金明澤)
    •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불비(金不比)
    •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 김만희(金萬希)
    • 참봉공파(参奉公派) - 김인서(金鱗瑞)
    • 충정공파(忠精公派) - 김이장(金以障)
    • 승정공파(承政公派) - 김종정(金宗貞)
    •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김천익(金天翼)
    •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 김을동(金乙棟)
    • 진사공파(眞士公派) - 김문(金汶)
  • 상인(商寅)
    • 유수공파(留守公派) - 김운(金蕓)
  • 정국(定國)
    •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유공(金維公)
    •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김거공(金巨公)
    •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 김지서(金之瑞)
    • 양의공파(襄毅公派) - 김평(金平)
    • 판서공파(判書公派) - 김첨검(金添劍)

항렬자

  • 경파(京派, 중시조로 1세, 시조로 1세)
  • 사군파(四君派, 중시조로 1세, 시조로 1세)
  • 삼현파(三賢派, 중시조로 1세, 시조로 1세)

인물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인구

  • 2000년 1,295,080가구 4,124,934명
  • 2015년 4,456,700명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이며, 김씨 중에서도 가장 많은 41.7%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 서울 81만 5천 783명, 부산 40만 7천 41명, 대구 19만 9천 252명, 인천 20만 7천 736명, 광주 14만 8천 736명, 대전 9만 6천 887명, 울산 10만 4천 627명, 경기 71만 8천 661명, 강원 10만 7천 612명, 충북 8만 6천 978명, 충남 14만 151명, 전북 17만 3천 712명, 전남 26만 8천 525명, 경북 23만 7천 826명, 경남 35만 12명, 제주 6만 1천 395명이다. 부산과 경남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구분

신라계 김해 김씨는 김녕 김씨라고 하여 가야계 김해 김씨와 구분한다. 또는 사성 김해 김씨는 우록 김씨라고 하지 않는다.

분가

분적설

같이 보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