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음부호
한자 |
---|
발달과정 |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
서체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글꼴 |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
분류법 |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
한자의 표준화 |
표준 |
상용한자 강희자전 |
문자 개혁 |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
나라별 사용 |
중국 대륙·대만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
파생문자1 |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
파생문자2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주음부호(중국어 정체자: 注音符號, 병음: Zhùyīn fúhào 주인 푸하오[*], ㄓㄨˋ ㄧㄣ ㄈㄨˊ ㄏㄠˋ)는 중국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처음 4글자 ㄅㄆㄇㄈ에서 따와 보포모포(Bopomofo)라고도 한다.
개요
[편집]1913년에 중국독음통일회에 의해 제정되었고 1918년에 중화민국 정부가 공표하였다. 당시의 정식명칭은 ‘주음 자모’(注音字母)였으며 한자를 대신하는 문자로 사용되었다. 1930년에 ‘주음부호’로 개칭되고 한자의 발음기호로 축소되었다. 한자의 표음을 나타내는 데 널리 쓰였으며, 중화민국에서는 초등교육 초기에 주음부호를 배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한어병음 방안으로 대체되어 중국 본토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유래
[편집]주음부호는 장빙린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주로 해서체의 일부나 고자 형태에서 따왔다. 발음은 해당 유래된 한자의 성모 또는 운모에서 따왔다.
성모 | |||||
---|---|---|---|---|---|
주음부호 | 유래 | IPA | 병음 | WG | 예제 |
ㄅ | 包(포, bāo)의 고자(혹은 상단부분) 勹에서 유래. | p | b | p | 八 (ㄅㄚ, bā) |
ㄆ | 攴(복, pū)의 부수 형태 攵에서 유래. | pʰ | p | pʻ | 杷 (ㄆㄚˊ, pá) |
ㄇ | 冂(멱, mì)과, 부수 冖 (민갓머리)에서 유래. | m | m | m | 馬 (ㄇㄚˇ, mǎ) |
ㄈ | 匚(방, fāng)에서 유래. | f | f | f | 法 (ㄈㄚˇ, fǎ) |
ㄉ | 刀(도, dāo)의 고자 𠚣(소전 )에서 유래. | t | d | t | 地 (ㄉㄧˋ, dì) |
ㄊ | 𠫓(tū), 子(자, zǐ)의 거꾸로된 형태(전서 , )에서 유래[1] | tʰ | t | tʻ | 提 (ㄊㄧˊ, tí) |
ㄋ | 乃(nǎi)의 고자 /𠄎에서 유래. | n | n | n | 你 (ㄋㄧˇ, nǐ) |
ㄌ | 力(력, lì)의 고자 𠠲에서 유래. | l | l | l | 利 (ㄌㄧˋ, lì) |
ㄍ | 강을 뜻하는 옛 한자 巜(괴, guì/kuài)에서 유래. | k | g | k | 告 (ㄍㄠˋ, gào) |
ㄎ | 옛 한자 丂(kǎo)에서 유래. | kʰ | k | kʻ | 考 (ㄎㄠˇ, kǎo) |
ㄏ | 옛 한자(현재 간체자로 쓰이는) 厂(hǎn)에서 유래. | x | h | h | 好 (ㄏㄠˇ, hǎo) |
ㄐ | 옛 한자 丩(jiū)에서 유래. | tɕ | j | ch | 叫 (ㄐㄧㄠˋ, jiào) |
ㄑ | 巛(천, chuān)(현재의 川)과 연관된 옛 한자 𡿨(quǎn)에서 유래. | tɕʰ | q | chʻ | 巧 (ㄑㄧㄠˇ, qiǎo) |
ㄒ | 下(하, xià)의 고자 丅에서 유래. | ɕ | x | hs | 小 (ㄒㄧㄠˇ, xiǎo) |
ㄓ | 之(지, zhī)의 고자 /𡳿에서 유래. | ʈʂ | zhi, zh- | ch | 知 (ㄓ, zhī), 主 (ㄓㄨˇ, zhǔ) |
ㄔ | 부수 彳(chì)에서 유래. | ʈʂʰ | chi, ch- | chʻ | 吃 (ㄔ, chī), 出 (ㄔㄨ, chū) |
ㄕ | 尸(shī)의 고자 𡰣에서 유래. | ʂ | shi, sh- | sh | 是 (ㄕˋ, shì) , 束 (ㄕㄨˋ, shù) |
ㄖ | 日(일, rì)의 전서체 에서 유래. | ɻ~ʐ | ri, r- | j | 日 (ㄖˋ, rì), 入 (ㄖㄨˋ, rù) |
ㄗ | 옛 한자이자 부수 卩(jié)에서 유래, 이 글자의 옛발음은 zié([tsjě]; 웨이드-자일스식 tsieh²)였다. | ts | zi, z- | ts | 字 (ㄗˋ, zì), 在 (ㄗㄞˋ, zài) |
ㄘ | 七(칠, qī)의 고자 𠀁(초서체 , 전서체 )에서 유래. 이 글자의 옛발음은 ciī([tsʰí]; 웨이드-자일스식 tsʻi¹)였다. | tsʰ | ci, c- | tsʻ | 詞 (ㄘˊ, cí), 才 (ㄘㄞˊ, cái) |
ㄙ | 私(사, sī)의 고자(혹은 우측부분) 厶에서 유래. | s | si, s- | s | 四 (ㄙˋ, sì), 塞 (ㄙㄞ, sāi) |
운모 | |||||
주음부호 | 유래 | IPA | 병음 | WG | 예제 |
ㄚ | 丫(yā)에서 유래. | a | a | a | 大 (ㄉㄚˋ, dà) |
ㄛ | 丂(kǎo)를 뒤집은 옛 한자 𠀀(hē)에서 유래., 흡입, 丂 kǎo의 반대, 이글자의 변형인 可(kě)에서 음성으로 보존.[2] | o | o | o | 多 (ㄉㄨㄛ, duō) |
ㄜ | ㄛ (o)의 변이음에서 파생. | ɤ | e | o/ê | 得 (ㄉㄜˊ, dé) |
ㄝ | 也(yě)에서 유래. 전국시대 초나라 죽간에서도 비슷한 자형)이 있다. | e | ê | eh | 爹 (ㄉㄧㄝ, diē) |
ㄞ | 亥(해)의 금문자형 𠀅(hài)에서 유래. | ai | ai | ai | 晒 (ㄕㄞˋ, shài) |
ㄟ | 移(yí)의 옛 한자 乁(yí)에서 유래. | ei | ei | ei | 誰 (ㄕㄟˊ, shéi) |
ㄠ | 幺(yāo)에서 유래. | au | ao | ao | 少 (ㄕㄠˇ, shǎo) |
ㄡ | 又(yòu)에서 유래. | ou | ou | ou | 收 (ㄕㄡ, shōu) |
ㄢ | 옛 한자 𢎘(hàn)에서 유래. 이글자의 변형인 犯(fàn)에서 발음으로 보존됨. | an | an | an | 山 (ㄕㄢ, shān) |
ㄣ | 𠃉에서 유래. 鳦 yǐ 또는 乚 yà의 구식 변형[3] (다른 출처에 따르면 乚의 발음은 yǐn 이었다.)[4]) | ən | en | ên | 申 (ㄕㄣ, shēn) |
ㄤ | 尢(wāng)에서 유래. | aŋ | ang | ang | 上 (ㄕㄤˋ, shàng) |
ㄥ | 肱(gōng)의 옛 한자 𠃋에서 유래.[5] | əŋ | eng | êng | 生 (ㄕㄥ, shēng) |
ㄦ | 兒(아, ér)의 발부분(필기체와 간체자로 사용되는) 儿에서 유래. | aɚ | er | êrh | 而 (ㄦˊ, ér) |
ㄧ | 一(일, yī)에서 유래. | i | yi, -i | i | 以 (ㄧˇ, yǐ), 逆 (ㄋㄧˋ, nì) |
ㄨ | 五(오, wǔ)의 옛 한자 㐅에서 유래. 비슷한 글자인 𠄡도 있다. | u | wu, -u | u/w | 努 (ㄋㄨˇ, nǔ), 吳 (ㄨˊ, wú) |
ㄩ | 옛 한자이자 부수인 凵 (qū)에서 유래. | y | yu, -ü | ü/yü | 雨 (ㄩˇ, yǔ), 女 (ㄋㄩˇ, nǚ) |
ㄭ |
帀에서 유래. ㄓ, ㄔ, ㄕ, ㄖ, ㄗ, ㄘ, ㄙ의 최소 모음을 나타내며, 실제 표기에서는 쓰이지 않는다.[6] | ɻ̩~ʐ̩, ɹ̩~z̩ | -i | ih/ŭ | 資 (ㄗ, zī); 知 (ㄓ, zhī); 死 (ㄙˇ, sǐ) |
표기법
[편집]자음자
[편집]주음 부호 |
ㄅ | ㄆ | ㄇ | ㄈ | ㄉ | ㄊ | ㄋ | ㄌ | ㄍ | ㄎ | ㄏ | ㄐ | ㄑ | ㄒ | ㄓ | ㄔ | ㄕ | ㄖ | ㄗ | ㄘ | ㄙ |
---|---|---|---|---|---|---|---|---|---|---|---|---|---|---|---|---|---|---|---|---|---|
병음 |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h | j | q | x | zh | ch | sh | r | z | c | s |
IPA | b̥ | pʰ | m | f | d̥ | tʰ | n | l | ɡ̊ | kʰ | x | ʥ̥ | ʨʰ | ɕ | ɖ̥ʐ̥ | ʈʂʰ | ʂ | ʐ | ʣ̥ | ʦʰ | s |
모음자
[편집]주음 부호 |
ㄚ | ㄜ | ㄧ | ㄨ | ㄛ | ㄩ | ㄝ | ㄞ | ㄟ | ㄠ | ㄡ | ㄢ | ㄣ | ㄤ | ㄥ | ㄦ | ||||
---|---|---|---|---|---|---|---|---|---|---|---|---|---|---|---|---|---|---|---|---|
병음 | a | e | i | u | o | ü | ê | ai | ei | ao | ou | an | en | ang | eng | ng | er | r | ||
IPA | ɑ | ɤ | i | u | o | y | e | aɪ | eɪ | aʊ | oʊ | an | ɛn | ən | n | ɑŋ | ɤŋ | ŋ | ɚ | r |
- ㄧ는 세로쓰기의 경우에는 "─", 가로쓰기의 경우에는 "│"로 표기된다.
- ㄢ는 ㄧ와 ㄩ의 뒤에서 ɛn으로 발음된다.
- ㄣ는 ㄧ와 ㄩ의 뒤에서 n으로 발음된다.
- ㄥ는 다른 모음 뒤에서 ŋ으로 발음된다.
- ㄦ는 얼화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 원래 음절 뒤에 ㄦ을 별도의 경성 음절로 표기한다.
성조
[편집]성조 | 제1성 | 제2성 | 제3성 | 제4성 | 경성 |
---|---|---|---|---|---|
주음 부호 |
ˉ | ˊ | ˇ | ˋ | ˙ |
- 1성 부호는 흔히 생략된다. 따라서 경성을 무기호로 사용하는 한어병음방안과는 다르므로 경성에도 반드시 성조 부호를 표기하여야 한다.
- 성조기호는 음절 마지막 글자의 오른쪽 위에 적는다.
- 경성 부호는 음절 앞 가운데에 표기한다.
예외
[편집]주음 부호 |
ㄩㄥ | ㄨㄥ | ㄧㄥ | ㄧㄣ | ㄧㄝ | ㄩㄝ |
---|---|---|---|---|---|---|
병음 | iong | ong/ueng | ing | in | ie | üe |
- 병음의 "zhi, chi, shi, ri, zi, ci, si"의 i는 ㄧ [i]와는 음이 다르기 때문에 모음자를 표기하지 않는다. 단지 자음자만을 표기하면 그 자체로 병음의 이들 자음+i에 해당하는 음절이 된다.
- 병음의 ueng은 성모 없이 단독으로만, ong은 항상 성모와 함께 쓰이기 때문에 같은 운모의 변이음으로 간주하고 똑같이 ㄨㄥ으로 표기한다.
컴퓨터에서의 주음부호
[편집]입력기
[편집]주음부호는 중국어의 입력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하지 않고도 대부분의 최신 개인용 컴퓨터에서 접할 수 있는 입력법 중 하나이다. 또한 특정 휴대폰에서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입력법 중 하나이다.
유니코드
[편집]주음부호는 1991년 10월에 버전 1.0 릴리스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Bopomofo로 표기되는 주음부호의 유니코드 블록은 U+3100–U+312F이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310x | ㄅ | ㄆ | ㄇ | ㄈ | ㄉ | ㄊ | ㄋ | ㄌ | ㄍ | ㄎ | ㄏ | |||||
U+311x | ㄐ | ㄑ | ㄒ | ㄓ | ㄔ | ㄕ | ㄖ | ㄗ | ㄘ | ㄙ | ㄚ | ㄛ | ㄜ | ㄝ | ㄞ | ㄟ |
U+312x | ㄠ | ㄡ | ㄢ | ㄣ | ㄤ | ㄥ | ㄦ | ㄧ | ㄨ | ㄩ | ㄪ | ㄫ | ㄬ | ㄭ | ㄮ | ㄯ |
1999년 9월에 추가 문자가 3.0 버전에 추가되었다.
주음부호 확장(Bopomofo Extended)이라고 하는 이러한 추가 문자의 유니코드 블록은 U+31A0–U+31BF이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31Ax | ㆠ | ㆡ | ㆢ | ㆣ | ㆤ | ㆥ | ㆦ | ㆧ | ㆨ | ㆩ | ㆪ | ㆫ | ㆬ | ㆭ | ㆮ | ㆯ |
U+31Bx | ㆰ | ㆱ | ㆲ | ㆳ | ㆴ | ㆵ | ㆶ | ㆷ | ㆸ | ㆹ | ㆺ |
유니코드 3.0은 또한 공백 수정자 문자 블록에 U+02EA 및 U+02EB 문자를 추가했다. 이 두 문자는 보포모포 문자로 분류된다(유니코드 6.0 이후).[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웬린 사전 항목 : 𠫓.
- ↑ “Unihan data for U+20000”.
- ↑ 웬린 사전 항목 : 𠃉.
- ↑ “Unihan data for U+4E5A”.
- ↑ 웬린 사전 항목 : 𠃋.
- ↑ Michael Everson, H. W. Ho, Andrew West, "Proposal to encode one Bopomofo character in the UCS Archived 2021년 1월 26일 - 웨이백 머신", SC2 WG2 N3179.
- ↑ “Scripts-6.0.0.txt”. Unicode Consort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