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게슈타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밀국가경찰
Geheime Staatspolizei
문장
1945년 하얀 버스 작전 당시의 게슈타포 사복조
1945년 하얀 버스 작전 당시의 게슈타포 사복조
약칭 친위대
설립일 1933년 4월 26일
해산일 1945년 5월 8일
전신 프로이센 비밀경찰
직원 수 1944년경 32,000여명
책임자 루돌프 딜즈 (1933년–1934년)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1934년–1936년)
하인리히 뮐러 (1936년–1945년)
상급기관 국가보안본부

비밀국가경찰(독일어: Geheime Staatspolizei 게하이메 슈타츠폴리차이IPA: [ɡəˈha͡e̯mə ˈʃtaːtspʰoliˌtsa͡e̯][*]), 통칭 게슈타포(독일어: Gestapo 이 소리의 정보발음 [*], 문화어: 게스타포)는 나치 독일의 비밀 국가 경찰이다. 나치가 집권한 1933년 프로이센 주의 내무장관이던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주 경찰의 정치 경찰을 모태로 창설했다. 그 후 괴링은 공군 창설 작업에 집중하기 위해 1934년 하인리히 힘러친위대에 게슈타포를 넘겼다. 힘러와 그의 부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 이르러 체제가 완성되었다.

역사

[편집]

1933년, 정권을 잡은 나치에 의해 통치되는 나치 독일 프로이센 주 내무장관 헤르만 괴링이 나치에 반대되는 반나치 성향의 간부들을 숙청하고 재창설했다. 이것이 바로 게슈타포의 시작이다. 헤르만 괴링의 조카 사위이자 경찰간부 경력을 가진 루돌프 딜즈(Rudolf Diels, 1900년 - 1957년)가 초대로 임명되었고, 1934년, 하인리히 힘러가 장관이었을 때 게슈타포는 SS 보안국 하부기관에 소속된 후 더욱 성장하여 전국적으로 비밀 경찰의 역할을 하는 비밀경찰기구가 되었다. 1939년,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는 관할 분야를 조정하기 위해 국가보안본부가 창설되었고 이 본부의 제4국에 소속된 기구가 게슈타포였다.

세계 2차대전 중 프랑스에서는 수도인 파리에 게슈타포 사령부를 설치해서 남녀노소 할것없이 레지스탕스들을 체포 후 고문했다.

조직 구성

[편집]
연합군이 리에주를 탈환한 뒤, 독일인 게슈타포 요원들이 시내의 모 시설 내 골방에 모여 수용되어 있다.

게슈타포가 창설되었을 때, 그 조직은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프로이센 비밀경찰(독일어: Preußische Geheimpolizei)을 모태로 했기 때문에 조직 구성은 잘 되어 있었다. 1934년에 게슈타포가 프로이센 내무부 관할에서 친위대(SS)로 넘겨졌고, 그 이후 5년간 게슈타포는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 게슈타포는 이후 독일군 점령지에서 악명이 높아졌다.

1939년에 게슈타포는 제국보안본부(RHSA)의 하부 기관이 되었고, 구성원 대다수는 SS였다. RSHA 내에서 게슈타포는 Amt. Ⅳ로 알려졌다. 내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

계급

[편집]
비밀국가경찰 계급 질서경찰 계급 무장친위대 계급
하위직 고위직
형사조교후보자
(Kriminalassistentanwärter)
경관
(Wachtmeister)
하급분대지도자
(Unterscharführer)
임시 형사조교
(apl. Kriminalassistent)
상급경관
(Oberwachtmeister)
분대지도자
(Scharführer)
형사조교
(Kriminalassistent)
관할상급경관
(Revieroberwachtmeister)
상급분대지도자
(Oberscharführer)
형사상급조교
(Kriminaloberassistent)
최고경관
(Hauptwachtmeister)
최고분대지도자
(Hauptscharführer)
형사서기
(Kriminalsekretär)
경관장
(Meister)
돌격분대지도자
(Sturmscharführer)
형사상급서기
(Kriminalobersekretär)
형사경감보
(Hilfskriminalkommissar)
견습 형사경감
(Kriminalkommissar auf Probe)
임시 형사경감
(apl. Kriminalkommissar)
경찰소위
(Leutnant)
하급돌격지도자
(Untersturmführer)
형사수사관
(Kriminalinspektor)
형사경감 근속연수 3년 이하
(Kriminalkommissar)
경찰중위
(Oberleutnant)
상급돌격지도자
(Obersturmführer)
형사경감 근속연수 3년 이상
(Kriminalkommissar)
형사서기관 근속연수 3년 이하
(Kriminalrat)
경찰대위
(Hauptmann)
최고돌격지도자
(Hauptsturmführer)
형사서기관 근속연수 3년 이상
(Kriminalrat)
형사이사관
(Kriminaldirektor)
정부형사서기관
(Regierungs- und Kriminalrat)
경찰소령
(Major)
돌격대지도자
(Sturmbannführer)
상급정부형사서기관
(Oberregierungs- u. Kriminalrat)
경찰중령
(Oberstleutnant)
상급돌격대지도자
(Obersturmbannführer
정부형사이사관
(Regierungs- u. Kriminaldirektor)
국가형사이사관
(Reichskriminaldirektor)
경찰대령
(Oberst)
연대지도자
(Standartenführer)
출처:[1][2][3]

급여등급 및 연봉

[편집]
급여등급[4] 1938년 기준 연봉
(단위: ℛℳ)[5]
계급
A8c3 2,160–2,340 임시 형사조교
형사조교
A7c 2,000–3,000 형사상급조교
A7a 2,350–3,500 형사서기
A5b 2,300–4,200 형사상급서기
A4c2 2,800–5,000 형사수사관
A4c1 2,800–5,300 형사경감보
견습 형사경감
임시 형사경감
형사경감
A3b 4,800–7,000 형사서기관
A2d 4,800–7,800 형사이사관
A2c2 4,800–8,400 정부형사서기관
A2b 7,000–9,700 상급정부형사서기관
A1b 6,200–10,600 정부형사이사관
국가형사이사관

1939년 기준 산업노동자의 연봉 중간값은 1,495 ℛℳ였다. 같은 해 사무직 노동자의 연봉 중간값은 2,772 ℛℳ였다.[6]

편제

[편집]

국가 보안 본부 제IV국(게슈타포)

  • IV A: 사회주의자, 공산주의자, 반동주의자, 자유주의자사보타주에 대한 조치 및 종합 보안 조치. 산하에 6반을 두었다.
  • IV B: 나치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로마 가톨릭 교회개신교의 정치 활동[7], 기타 종교 조직, 유대인, 프리메이슨 등 5반으로 나뉘었다. 아이히만은 IV B4(제국 B과 4반) 소속.
  • IV C: 강제 수용, 예방 구속, 출판, 당 업무 파일의 작성.
  • IV D: 점령지, 독일 주재 외국인 노동자.
  • IV E: 방첩과.
    • IV E1: 일반 방첩 및 공장 시설에 대한 방첩.
    • IV E2: 일반 경제 문제.
    • IV E3: 서유럽 제국.
    • IV E4: 북유럽 제국.
    • IV E5: 동유럽 제국.
    • IV E6: 남유럽 제국.
  • IV F: 패스포트, 신분 증명, 외국인 감독 경찰.
  • IV G: 국경 경찰.

주요 관련 인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Der Reichsführer SS, Dich ruft die SS (Hermann Hillger KG, Berlin 1942).”.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2일에 확인함. 
  2. Banach 2013, 64쪽.
  3. “Andrew Mollo, Uniforms of the SS, vol. 5: "Sicherheitsdienst und Sicherheitspolizei 1931–1945". 2016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2일에 확인함. 
  4. 9 May 2009 (PDF)
  5. “Lexikon der Wehrmacht”. 《lexikon-der-wehrmacht.de》. 
  6. “Die Besoldung eines Soldaten der Wehrmacht”. 《lexikon-der-wehrmacht.de》. 
  7. 나치독일 당시 대다수의 가톨릭 교회와 일부 개신교 인사들은 히틀러를 하느님이 사회경제구원을 위해 보낸 그리스도로 우상화함으로써 지지했지만, 일부 양심적인 신학자들은 《바르멘 선언》, 고백교회 활동으로 나치독일에 저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