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던트 t 분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분포에서 넘어옴)

스튜던트 t 분포
확률 밀도 함수
누적 분포 함수
매개변수 자유도(실수값)
지지집합
확률 밀도
누적 분포 , 여기에서 초기하함수
기댓값 일 때 0, 나머지는 정의되지 않음
중앙값 0
최빈값 0
분산 (), (), 나머지는 정의되지 않음
비대칭도 일 때 0
적률생성함수 정의되지 않음
특성함수 , 베셀 함수

스튜던트 t 분포(Student t分布, 영어: Student’s t-distribution)는 정규 분포의 평균을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되는 분포이다.

정의[편집]

스튜던트 t 분포는 다음 확률변수의 분포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표준정규분포, 자유도 카이제곱 분포이다.

t 분포는 종모양으로서 t=0에서 좌우대칭을 이룬다. t 분포의 모양을 결정하는 것은 자유도이며, 자유도가 커질수록 표준정규분포에 가깝게 된다.[1]:194

정규분포에서의 추정[편집]

어떤 정규분포의 평균이고 분산일 때, 그 분포에서 n개의 표본을 추출한 것을 라고 표기한다.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은 다음과 같다.

이 값들은 실제 평균과 분산에 대한 불편추정값이다. 이때,

은 자유도가 카이제곱 분포가 된다는 것이 Cochran 정리에 의해 알려져 있다. 또한

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정규분포를 가지며, 는 서로 독립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때 에서 대신 로 대체한 추축량(pivot quantity)은 다음과 같다.

이때 에는 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이 분포는 분산을 모를 때의 평균값 를 추정하는 데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의 분포는 자유도 n-1인 t-분포가 된다.

구간 추정[편집]

자유도 n-1인 t 분포 에 대해,

을 만족하는 실수 는 수치적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이때,

이므로, 정규분포의 평균은 90%의 신뢰도로 신뢰구간에 속하게 된다.

역사[편집]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헬메르트(독일어: Friedrich Robert Helmert)가 1875년에 도입하였다.[2][3][4][5] 이듬해 야코프 뤼로트(독일어: Jacob Lüroth)도 같은 분포를 재발견하였다.[6][7] 그러나 헬메르트와 뤼로트의 논문은 영문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08년에 윌리엄 고셋이 "스튜던트"(영어: Student, ‘학생’)라는 필명으로 1908년 재발견하였다.[8] 고셋은 기네스 양조 공장에서 일했고, 맥주에 사용되는 보리의 질을 시험하기 위해 이 분포를 도입하였고, 경쟁사들에게 기네스의 획기적인 통계 기법을 숨기기 위해 필명을 사용하였다고 한다.[9]:326 이후 저명한 통계학자인 로널드 피셔는 이 분포를 "스튜던트 분포"라고 불렀고, t라는 기호를 사용하였다.[10] 피셔 이후 이 분포는 고셋의 필명을 따 "스튜던트 t 분포"로 알려지게 되었다.

참고 문헌[편집]

  1. 김석우 (2007). 《기초통계학》. 학지사. 
  2. Helmert, F. R. (1875). “Ueber die Berechnung des wahrscheinlichen Fehlers aus einer endlichen Anzahl wahrer Beobachtungsfehler”. 《Zeitschrift für Mathematik und Physik》 (독일어) 20: 300–303. JFM 07.0113.01. 
  3. Helmert, F. R. (1876). “Ueber die Wahrscheinlichkeit der Potenzsummen der Beobachtungsfehler und über einige damit im Zusammenhange stehende Fragen”. 《Zeitschrift für Mathematik und Physik》 (독일어) 21: 192–218. JFM 08.0113.02. 
  4. Helmert, F. R. (1876). “Die Genauigkeit der Formel von Peters zur Berechnung des wahrscheinlichen Beobachtungsfehlers directer Beobachtungen gleicher Genauigkeit”. 《Astronomische Nachrichten》 (독일어) 88: 113–32. Bibcode:1876AN.....88..113H. doi:10.1002/asna.18760880802. JFM 08.0114.01. 
  5. Sheynin, O. (1995). “Helmert’s work in the theory of errors”. 《Archive for History of Exact Sciences》 (독일어) 49: 73–104. doi:10.1007/BF00374700. ISSN 0003-9519. 
  6. Lüroth, J (1876). “Vergleichung von zwei Werthen des wahrscheinlichen Fehlers”. 《Astronomische Nachrichten》 (독일어) 87 (14): 209–20. Bibcode:1876AN.....87..209L. doi:10.1002/asna.18760871402. JFM 07.0109.02. 
  7. Pfanzagl, J.; O. Sheynin (1996). “A forerunner of the t-distribution (Studies in the history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XLIV)”. 《Biometrika》 (영어) 83 (4): 891–898. doi:10.1093/biomet/83.4.891. MR 1766040. 
  8. Student (1908년 3월). “The probable error of a mean” (PDF). 《Biometrika》 (영어) 6 (1): 1–25. doi:10.1093/biomet/6.1.1. 
  9. Mortimer, Robert G. (2005). 《Mathematics for Physical Chemistry》 3판. Academic Press. ISBN 0-12-508347-5. 
  10. Fisher, R. A. (1925). “Applications of "Student's" distribution” (PDF). 《Metron》 (영어) 5: 90–104.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8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