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가몬의 안티파스
페르가몬의 안티파스 | |
---|---|
![]() | |
순교자이자 주교 | |
출생 | 불명 |
선종 | AD 92년 페르가몬, 소아시아 (현재 베르가마, 이즈미르, 튀르키예) |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기독교 정교회 |
축일 | 4월 11일[1] |
상징 | 기독교 순교자 |
수호 | 치통에 대항[2] |
성 안티파스(그리스어: Άγιος Αντύπας)는 동방 정교회 전승에 따라서, 카이사리아의 안드레아스의 묵시록 주석을 따르면, 요한의 묵시록 2장 13절에 언급된 안티파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묵시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는 네가 어디에 살고 있는지 잘 알고 있다. 그 곳은 사탄의 왕좌가 있는 곳이다. 그러나 너는 내 이름을 굳건히 믿고 있다. 또 나의 진실한 증인 안디바스가 사탄이 살고 있는 그 곳에서 죽임을 당하던 날에도 너는 나에 대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
— 요한의 묵시록 2장 13절 (공동번역)
기독교 전승에서는 사도 요한이 로마 황제 네로의 치세 중에 안티파스를 페르가몬의 주교로 서품했다. 전통적으로는 안티파스가 네로의 치세(54-68)에,[3] 리옹/제네바의 아폴론 신전에 있는 놋쇠로 만든 황소 모양의 제단에서 불타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성 안티파스의 유물에서 기름(성인의 만나)이 분비되는 전통이 있다.[4]
성 안티파스는 치통과 치아 질환의 완화를 위해 불러진다. 동방 기독교 달력에서 안티파스의 축일은 4월 11일이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St Antipas of Pergamon”. 2007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James, M. R. (1898). 〈Antipas〉. James Hastings. 《A Dictionary of the Bible》 I. 107쪽.
According to one form of his Acts (quoted by the Bollandists from a Synoxarion), he prayed that those suffering from toothache might be relieved at his tomb.
- ↑ 가 나 "Hieromartyr Antipas the Bishop of Pergamum and Disciple of St John the Theologian", Orthodox Church in America
- ↑ From "Oil of Saints" in Catholic Encyclopedia: "Following is a list of other saints from whose relics or sepulchres oil is said to have flowed at certain times: 1) St. Antipas, Bishop of Pergamum, martyred under Emperor Domitian ("Acta SS.," April, II, 4)." Retrieved January 18, 2007.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