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OctraBot (토론 | 기여)
잔글 autoMigrateToWikidata @ d:q193796
42번째 줄: 42번째 줄:


[[ar:عدد تخيلي]]
[[ar:عدد تخيلي]]
[[bn:অবাস্তব সংখ্যা]]
[[bs:Imaginarni broj]]
[[ca:Nombre imaginari]]
[[da:Imaginære tal]]
[[da:Imaginære tal]]
[[de:Imaginäre Zahl]]
[[el:Φανταστικός αριθμός]]
[[en:Imaginary number]]
[[en:Imaginary number]]
[[es:Número imaginario]]
[[eu:Zenbaki irudikari]]
[[eu:Zenbaki irudikari]]
[[fa:عدد موهومی]]
[[fa:عدد موهومی]]
55번째 줄: 49번째 줄:
[[fr:Nombre imaginaire pur]]
[[fr:Nombre imaginaire pur]]
[[gl:Número imaxinario]]
[[gl:Número imaxinario]]
[[he:מספר מדומה]]
[[hr:Imaginarni broj]]
[[id:Bilangan imajiner]]
[[is:Þvertala]]
[[ja:虚数]]
[[ja:虚数]]
[[la:Quantitas imaginaria]]
[[lmo:Nümar imaginari]]
[[mk:Имагинарен број]]
[[ml:അവാസ്തവികസംഖ്യ]]
[[nl:Imaginair getal]]
[[nl:Imaginair getal]]
[[nn:Imaginært tal]]
[[pl:Liczby urojone]]
[[pl:Liczby urojone]]
[[pt:Número imaginário]]
[[pt:Número imaginário]]
[[ro:Număr imaginar]]
[[ru:Мнимое число]]
[[ru:Мнимое число]]
[[sv:Imaginära tal]]
[[sv:Imaginära tal]]
[[ta:கற்பனை எண்]]
[[th:จำนวนจินตภาพ]]
[[th:จำนวนจินตภาพ]]
[[uk:Уявне число]]
[[uk:Уявне число]]
[[ur:Imaginary number]]
[[ur:Imaginary number]]
[[vi:Số ảo]]
[[vi:Số ảo]]
[[vls:Imaginaire getalln]]
[[xal:Ухалдг тойг]]
[[yo:Nọ́mbà tíkòsí]]
[[yo:Nọ́mbà tíkòsí]]
[[zh:虚数]]
[[zh:虚数]]

2013년 3월 30일 (토) 23:22 판

허수(虛數, imaginary number)는 실수가 아닌 복소수를 뜻한다. 즉 모든 허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단, a, b는 실수이며 )

여기서 i는 허수 단위이며, 이때 a를 실수부, b를 허수부라 한다. b가 0일 경우 위의 수는 실수가 되며, 실수와 허수를 모두 포함하는 수 체계가 복소수이다.[1]

역사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헤론거듭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에 대한 개념을 기록한 바 있다. 1572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라파엘 봄벨리가 허수 단위를 정의하였다. 이후 르네 데카르트가 《방법서설》의 부록 〈기하〉(프랑스어: La Géométrie)에서 상상의 수(imaginary numbers)라고 부른 데에서 허수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 [2] 허수라는 이름은 오일러가우스에 의해 널리 알려졌으며, 오일러는 허수 단위 기호로 를 도입하였다. 1799년 카스파르 베셀이 복소수의 기하학적 표현을 완성하였다.[3]

1843년 윌리엄 해밀턴은 복소수를 확장하여 사원수 체계를 만들었다.[4]

미국 수학에서 허수란 형태, 즉 순허수이다. 즉 실수허수단위 가 곱해진 형식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제곱하면 음수가 된다.

기하학적 해석

복소평면에서 복소수의 위치

한 평면상에 직교 좌표계를 정하고 이에 대한 한 점 Z 의 위치 (x, y)를 로 정하여 복소수를 평면상의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좌표와 복소수는 일대일대응을 이룬다. 또한, 이렇게 나타낸 점 Z(x,y)는 극좌표를 사용하여 원점에서 부터 점 Z 사이의 반지름각도로서도 나타낼 수 있다. 즉,

가 된다.[5]

한편, 왼쪽의 그림과 같이 실수부는 같고 허수부의 부호만 반대인 를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켤레복소수라고 한다. 켤레 복소수는 극좌표에서 반지름이 같고 x축에 대해 대칭인 점이 된다.[6]

복소평면에서 허수의 위치를 극좌표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임의의 단위 원을 그려 복소수와 삼각함수의 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1714년 영국의 수학자 로저 코츠자연로그가 다음과 같은 삼각함수의 관계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740년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이 식을 지수함수로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이를 오일러의 공식이라 한다.[7]

수 체계

수 체계에서 허수는 복소수와 함께 다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를 복소수체라고 하며 로 나타낸다.[8]

함께 보기

주석

  1. 정용욱, 대학수학, 기전연구사, 2008, ISBN 8933607714, 13-14쪽
  2. Martinez, Albert A. (2006), Negative Math: How Mathematical Rules Can Be Positively Ben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123098, discusses ambiguities of meaning in imaginary expressions in historical context.
  3. Rozenfeld, Boris Abramovich (1988). A history of non-euclidean geometry: evolution of the concept of a geometric space. Springer. p. 382. ISBN 0-387-96458-4., Chapter 10, page 382
  4. Hamilton. Hodges and Smith. 1853. p. 60.
  5. 구기준 외, 알기 쉬운 공업 수학, 기문사, 1998년, ISBN 8977231124, 36-37쪽
  6. 구기준 외, 알기 쉬운 공업 수학, 기문사, 1998년, ISBN 8977231124, 36쪽
  7. 김원기, 꿈꾸는 과학, 풀로엮은집, 2008년, ISBN 89-90431-96-4, 206쪽
  8. 정용욱, 대학수학, 기전연구사, 2008, ISBN 8933607714, 14쪽

틀:Link 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