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현배
출생1894년 10월 19일(1894-10-19)
사망1970년 3월 23일(1970-03-23)(75세)
성별남성
직업한글학자, 국어운동가, 교육자, 독립운동가

최현배(崔鉉培, 1894년 10월 19일 ~ 1970년 3월 23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한글학자이자 국어운동가이다.

생애[편집]

유년 시절[편집]

최현배는 1894년 10월 11일에 경상남도 울산도호부 내상면 동리(現. 울산광역시 중구 동동)에서 출생하였다. 고향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다가 서울로 상경해 경성보통고등학교에 입학하였는데 그곳에서 자신의 스승인 주시경을 처음 만나 조선어학강습원에서 국어학 및 문법 등을 이수하면서 가깝게 지내게 되었다.

청년 시절[편집]

3. 1 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일본 도쿄로 건너가서 히로시마(廣島)에 있는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現. 히로시마대학)에 한국인 학생으로 입학하여 졸업하였고, 중학교 교사 자격증을 받았으나, 이후 귀국하여 고향인 울산으로 귀향한 후 조선인 상권확보의 목적으로 공동상회를 설립하였다.

교육 활동[편집]

1920년에는 부산으로 내려가 부산에 있는 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임하였으며 1922년에 교토(京都)로 건너가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에 입학, 교육학을 전공하고 1925년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해 동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수학하였다. 1933년에 한글맞춤법통일안 사업에 참여하여 한글보급에 힘써왔으며,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으로 우리말을 가르칠 수 없자 도서관 사서로 일하였다. 1942년에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인해 징역 4년을 언도받고 함흥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광복 후 출옥하여 문교부 편수국장을 지내면서 교과서 편찬을 지도하였다. 1954년 연희전문학교(지금의 연세대학교) 교수 자리로 돌아와 문과대학 학장과 부총장을 역임하고 1959년 교수직에서는 정년 퇴임했다. 최현배 선생은 연희전문학교 교수일 때에 제자인 윤동주 시인에게 조선어 곧 우리말을 가르치셨는데, 윤동주 시인이 매우 열심히 공부하여 조선어 과목이 100점을 받았다고 한다.

한글 연구에 일생을 바친 그는 말본의 체계를 확립하였고 한글 전용 운동에 힘썼으며, 1962년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을 수여받았다. 국어학자 겸 언어학자 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사망[편집]

1970년 3월 23일 새벽에 서울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77세로 타계하였다.

사후[편집]

  • 2008년 8월 학술지 ‘한국사 시민강좌’ 하반기호(43호)에서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특집 ‘대한민국을 세운 사람들’ 을 선발, 건국의 기초를 다진 32명을 선정할 때 교육, 학술 부문의 한사람으로 선정되었다.[1]

예절 망국론[편집]

최현배는 "조선민족의 병폐를 가져온 원인으로 온갖 예절이 조선 사람의 생활을 구속했고, 생기를 잃게 했다[2]"며 서재필의 안경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한글전용론[편집]

최현배 선생은 한글만을 쓰는 한글전용을 주장하였다.(1968년 문화와 한글전용[3]) 최현배 선생이 생각하기에 한글전용은

  • 문화가 발전하도록 한다. 최현배 선생은 루터가 독일어 성서를 번역한 사건을 그 예로 들고 있다.
  • 누구나 을 읽고 쓸 수 있다.
  • 신문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다.
  • 한글기계화가 가능하다. 1968년에는 타자기를 문서를 만드는 일에 사용했는데, 한자로는 타자기를 만들 수 없지만 한글로는 타자기를 만들 수 있음을 주장했다.

학력[편집]

명예 박사 학위[편집]

저서[편집]

모두 20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 《조선민족갱생의 도》, 1926년
  • 《우리말본》, 1937년
  • 《한글갈》, 1940년
  • 《글자의 혁명》, 1947년
  • 《한글의 투쟁》, 1950년
  • 《한글 가로글씨 독본》, 1963년

가족 및 친척 관계[편집]

기타[편집]

  • 국어학자 겸 언어학자 허웅(許雄)은 그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 최현배 선생의 업적과 일대기를 다룬 창작 뮤지컬 외솔이 있다.
  • 자신의 한글 관련 책을 등사본으로 찍은 것이 계기가 되어 1928년 7월 7일에 정음사를 만들다. 당시의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행촌동 최현배의 집이고,[4] 해방후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시집 초판(1948), 증보판(1955)이 이곳에서 나왔다.
  • 그의 손자 최동식은 초전도체를 설명하는 새이론을 내놓는다. 사후 그의 제자들이 상온, 상압에서 초전도 물질(LK-99)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2023.7.22)한다.[5]
  • 1980년에 김광성과 외솔 최현배의 손자인 최동식이 외솔 타자기를 개발하였다. 1981년에 정음사가 시판하였다.[6]
  1. 혼돈의 해방공간서 자유민주주의 초석을 놓다 동아일보 2008년 8월 22일자
  2. 양창삼, 《인간관계 필드북》 (경문사, 2002) 171페이지
  3. 이호권, 박종성, 조남철.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4. “한국 출판의 개척자, 공복기의 출판인들 1 - 정음사 대표 최영해”. 
  5. “상온 초전도체 연구 단초 제공한 고(故) 최동식 교수는 누구? [who’s who]”. 2023년 8월 4일에 확인함. 
  6. “한글 기기에 쓰인 두벌식 자판 - 3. 모아쓰는 수동 타자기 (3~4벌식)”. 2023년 8월 4일에 확인함.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50년 총선 2대 국회의원 경남 울산군 을 무소속 6,346표
16.57%
2위 낙선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