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의회는 전라북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의장단[편집]
위원회[편집]
-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환경복지위원회
- 농산업경제위원회
- 문화건설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사무기구[편집]
- 사무처[1]
역대 전라북도의원 선거 결과[편집]
초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49년 7월 4일 공포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52년 5월 10일 실시된 도 의회 의원 선거로 초대 전라북도의원 32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2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56년 8월 13일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2대 전라북도의원 4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의석수
|
자유당 |
   22
|
민주당 |
 6
|
무소속 |
  16
|
총합 |
        44
|
3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특별시·도 의회 의원 선거로 3대 전라북도의원 48명이 선출되었으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으로 5개월도 못가 해산되었다.
정당별 의석
4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90년 12월 31일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따라 1991년 6월 20일 실시된 광역자치의회 의원 선거로 30년만에 4대 전라북도의원 52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5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5대 전라북도의원 58명이 선출되었고,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민주자유당 |
|
 2 |
 2
|
민주당 |
    49 |
 4 |
 53
|
무소속 |
3 |
|
3
|
총합 |
     52 |
  6 |
    58
|
정당별 득표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례대표 배정수
|
민주자유당
|
231,896
|
|
2
|
민주당
|
573,895
|
|
4
|
무소속
|
143,004
|
|
-
|
6대 전라북도의회[편집]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8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별 득표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 자유민주연합, 한나라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7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6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2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천년민주당에 2석, 한나라당,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8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8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의석수
|
열린우리당 |
 20 |
 2 |
   22
|
민주당 |
  12 |
1 |
 13
|
민주노동당 |
|
1 |
1
|
무소속 |
 2 |
|
 2
|
총합 |
      34 |
   4 |
        38
|
비례대표 선거 결과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1
|
열린우리당
|
318,578
|
|
2
|
2
|
한나라당
|
61,787
|
|
0
|
3
|
민주당
|
302,373
|
|
1
|
4
|
민주노동당
|
119,771
|
|
1
|
9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8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당에 2석, 한나라당,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10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8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4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에 2석, 새누리당, 통합진보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11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39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5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에 2석, 정의당, 민주평화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12대 전라북도의회[편집]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40명의 전라북도의원을 선출하였다. 지역구 의원 36명과 비례대표 의원 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별 의석 수[편집]
교섭단체[편집]
전라북도의회는 6석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6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3]
같이 보기[편집]
- ↑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 ↑ 가 나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 ↑ “전라북도 의회 기본 조례”.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의 지방자치기관 |
---|
지방의회 | |
---|
지방집행기관 | |
---|
지방교육기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