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크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중앙아시아 |
언어 인구 | 3330만여 명 |
문자 | 로마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
언어 계통 | 투르크어족 동투르크어파 우즈베크어/오즈베크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 |
언어 부호 | |
ISO 639-1 | uz
|
ISO 639-2 | uzb
|
ISO 639-3 | 다양함: uzb — 우즈베크어(일반)uzn — 북우즈베크어uzs — 남우즈베크어
|
우즈베크어(Oʻzbekcha [오즈벡차] [ozbekʧɑ]) 또는 오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다. 고대의 튀르크어를 보면 페르시아어와 특히 동 이란 유목민 계열의 스키타이 어에 영향을 받은 언어들이 많으며 아랍어에 차용한 말들도 많다.. 알타이 제어들 중에서는 일본어 > 한국어 > 터키어 다음으로(네 번째로) 화자 인구가 많으며, 투르크어로서 터키 다음에는 2위로 인구 화자가 많다.
역사[편집]
터키어와 투르크멘어, 아제르바이잔어 등에 유사하며, 위구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와는 다르지만 문법이 비슷하다. 고대에는 기원전 10세기 이전부터 동 이란 유목민들의 언어에 영향을 받고 7 ~ 8세기에는 이슬람 문화에서 사용한 아랍어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우즈베크어는 사마르칸트 방언의 표준어가 1924년에 지정되었다.
1930년에서 1991년까지는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현재는 로마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키릴 문자도 쓰이고 있지만 점차 로마자로 대체되고 있다.
문자[편집]
우즈베크어의 신구 정서법 대조표 | ||||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음가(IPA) |
-1929 | 1936-1940 | 1940-1992 | 1992- | |
ﺍ, ه | Ə ə | А а | A a | /ɑ/ |
ﺏ | B в | Б б | B b | /b/ |
چ | C c | Ч ч | Ch ch | /ʧ/ |
ﺩ | D d | Д д | D d | /d/ |
ﻩ | E e | Е е | E e | /ɛ/ |
ﻑ | F f | Ф ф | F f | /f/ |
گ | G g | Г г | G g | /g'/ |
ﻍ | Ƣ ƣ | Ғ ғ | Gʻ gʻ[1] | /ʁ/ |
ﺡ,ﻩ | H h | Ҳ ҳ | H h | /h/ |
ی | I i | И и | I i | /ɪ/ |
ﺝ, ژ | Ç ç, Ƶ ƶ | Ж ж | J j | /ʤ/ |
ﻙ | K k | К к | K k | /k'/ |
ﻕ | Q q | Қ қ | Q q | /q/ |
ﻝ | L l | Л л | L l | /l/ |
ﻡ | M m | М м | M m | /m/ |
ﻥ | N n | Н н | N n | /n/ |
ﺍ | A a | О о | O o | /ɔ/ |
ﻭ | O o | Ў ў | Oʻ oʻ[2] | /o/ |
پ | P p | П п | P p | /p/ |
ﺭ | R r | Р р | R r | /r/ |
ﺙ,ﺱ,ﺹ | S s | С с | S s | /s/ |
ﺵ | Ş ş | Ш ш | Sh sh | /ʃ/ |
ﺕ,ﻁ | T t | Т т | T t | /t/ |
ﻭ | U u | У у | U u | /u/ |
ﻭ | V v | В в | V v | /v/, /w/ |
ﺥ | X x | Х х | X x | /χ/ |
ی | J j | Й й | Y y | /j/ |
ﺫ,ﺯ,ﺽ,ﻅ | Z z | З з | Z z | /z/ |
ء, ع | ʼ | Ъ ъ | ʼ[3] | /ʔ/ |
문법[편집]
격 | 우즈베크어 | 한국어 |
---|---|---|
주격 | uy | 집 |
목적격 | uyni | 집을 |
여격 | uyga | 집에 |
처격/장소격 | uyda | 집에서 |
탈격/시발격 | uydan | 집에서부터 |
소유격 | uyning | 집의 |
교착어의 특성을 보인다. 복수형: -lar (라). 예: talabalar = 학생들, opalar = 언니/누나들, odamlar = 사람들
대한민국에서의 학습[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우즈베크어를 가르치고 있다. 네이버 사전에도 우즈베크어 사전이 수록되어 있다.[4] 하지만 한국어로 된 우즈베크어 교재는 부족한 상황이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G /g'/ 와 구별하기 위해서, ʻ(역 아포스트로피)를 이용해 표기한다.
- ↑ O /ɔ/ 와 구별하기 위해서, ʻ(역 아포스트로피)를 이용해 표기한다.
- ↑ 러시아어의 ъ의 음역 이외에, sh/ʃ/와, sʼh/sh/를 표기상 구별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 ↑ 김현아 기자 (2013년 12월 13일). “네이버 사전, 포르투갈어 등 국내 최초 제공”. 이데일리.
외부 링크[편집]
![]() |
우즈베크어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