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용 국가 |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터키,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중국), 파키스탄 |
---|---|
사용 지역 | 중앙아시아 |
언어 인구 | 3,136,733 (1993) |
문자 | 키릴 문자 아랍 문자 |
언어 계통 | 투르크어족 동투르크어파 북서투르크어군 혹은 아랄카스피어군 키르기스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언어 부호 | |
ISO 639-1 | ky
|
ISO 639-2 | kir
|
ISO 639-3 | kir
|
키르기스어(кыргызча [qɯɾʁɯzʧɑ])는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키르기스스탄에서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인구[편집]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그룹은 300만명으로 키르기스스탄, 중국,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터키(소아시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이슬라마바드), 러시아에서 사용된다.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문법[편집]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어의 문법과 비슷하다. 최근에는 카자흐어,위구르어,러시아어의 영향도 받았다.
문자[편집]
- 여타지역: 지금도 아랍 문자를 쓴다.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Ң О Ө П Р С Т У Ү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대문자 | 소문자 | Translit. | 이름 | 발음 | 설명 |
---|---|---|---|---|---|
А | а | a | a | [a] | |
Б | б | b | бe | [b] | |
В | в | v | вe | [v] | |
Г | г | g | гe | [g]~[ʁ] | |
Д | д | d | де | [d] | |
Е | е | e | e | [je]; [e] | |
Ё | ё | ё | ё | [jo] | |
Ж | ж | j | же | [ʤ] | |
З | з | z | зe | [z] | |
И | и | i | и | [i] | |
Й | й | y | й | [j] | |
К | к | k | κа | [k]~[q] | |
Л | л | l | эл | [l] | |
М | м | m | эм | [m] | |
Н | н | n | эн | [n] | |
Ң | ң | ń | ың | [ŋ] | |
О | о | o | o | [o] | |
Ө | ө | ö | ө | [ø] | |
П | п | p | пe | [p] | |
Р | р | r | эp | [r] | |
С | с | s | эc | [s] | |
Т | т | t | тe | [t] | |
У | у | u | у | [u] | |
Ү | ү | ü | ү | [y] | |
Ф | ф | f | эф | [ф] | |
Х | х | x | xa | [χ] | |
Ц | ц | c | це | [ts] | |
Ч | ч | ç | чe | [tʃ] | |
Ш | ш | ş,ś | шa | [ʃ] | |
Щ | щ | şç or śc | щa | [ʃʧ] | |
Ъ | ъ | ” | ажыратуу белгиси | - | |
Ы | ы | í | ы | [ɯ] | |
Ь | ь | ’ | ичкертүү белгиси | - | |
Э | э | è | э | [e] | |
Ю | ю | yu | ю | [ju] | |
Я | я | ya | я | [ja] |
외부 링크[편집]
![]() |
키르기스어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