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어
사용 국가 | 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자흐스탄, 터키, 러시아 일부 |
---|---|
사용 지역 | 타림 분지 |
언어 인구 | 760만여 명 |
순위 | 98 |
문자 | 아랍 문자 위주, 라틴 문자 |
언어 계통 | 투르크어족, 카라칼라이드어 위구르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표준 | Working Committee of Ethnic Language and Writing of Xinjiang Autonomous Region |
언어 부호 | |
ISO 639-1 | ug
|
ISO 639-2 | uig
|
ISO 639-3 | uig 위구르어
|
위구르어(ئۇيغۇرچە uyğurçä [ʊjʁʊrˈtʃɛ])는 위구르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중국 북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우즈베키스탄 및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주로 타타르스탄)에서 사용한다. 위구르어는 카라칼라이드어에 속하며 이는 우즈벡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와 큰 차이점을 보인다.
사용 국가[편집]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공용어. 그리고 중국의 인식 언어)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내 위구르계 이주민이 약간 사용.)
튀르키예 (튀르키예 내 위구르계 이주민이 약간 사용.)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내 위구르계 이주민이 약간 사용.)
대한민국 (한국 내 위구르계 이주민이 약간 사용.)
미국 (미국 내 위구르계 이주민이 약간 사용.)
문자[편집]
- 구 소련: 1930~1946년에 라틴화가 추진되었다가 1947년에 키릴 문자를 채택하였다.
- 중국: 1930년 라틴화 자모가 만들어졌으나 1982년부터 다시 아랍 문자의 정서법을 쓰고 있다.
위구르어 문자[편집]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IPA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IPA | |
---|---|---|---|---|---|---|---|---|
ئا | A a | А а | /a/ | ق | Q q K̡ k̡ | Қ қ | /q/ | |
ئە | E e Ə ə | Ә ә | /æ/ | ك | K k | К к | /k/ | |
ب | B b | Б б | /b/ | ڭ | Ng ng | Ң ң | /ŋ/ | |
پ | P p | П п | /p/ | گ | G g | Г г | /ɡ/ | |
ت | T t | Т т | /t/ | ل | L l | Л л | /l/ | |
ج | J j | Җ җ | /ʤ/ | م | M m | М м | /m/ | |
چ | C̈ c̈ Q q | Ч ч | /ʧ/ | ن | N n | Н н | /n/ | |
خ | X x H h | Х х | /x/ | ه | H h H̡ h̡ | Х х | /h/ | |
د | D d | Д д | /d/ | ئو | O o | О о | /o/ | |
ر | R r | Р р | /r/ | ئۇ | U u | У у | /u/ | |
ز | Z z | З з | /z/ | ئۆ | Ö ö Ɵ ɵ | Ө ө | /ø/ | |
ژ | Z̈ z̈ Z̡ z̡ | Ж ж | /ʒ/ | ئۈ | Ü ü | Ү ү | /y/ | |
س | S s | С с | /s/ | ۋ | V v | В в | /v/ | |
ش | S̈ s̈ X x | Ш ш | /ʃ/ | ئې | É é E e | Е е/Э э | /e/ | |
غ | Ğ ğ Ƣ ƣ | Ғ ғ | /ʁ/ | ئى | I i | И и/Ы ы | /i/ or /ɨ/ | |
ف | F f | Ф ф | /f/ | ي | Y y | Й й | /j/ |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구르어 위키백과 |
- (영어) (http://www.uighurlanguage.com/ 위구르어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