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 본선
![]() | |
---|---|
![]() JR 오우 본선의 701계 전동차 | |
기본 정보 | |
운행 국가 | ![]()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후쿠시마 역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
종점 | 아오모리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
역 수 | 여객역 : 100 화물역 : 2 |
소유자 | 동일본 여객철도 |
운영자 | 동일본 여객철도 |
노선 제원 | |
영업 거리 | 484.5km |
궤간 | 1435mm 1067mm |
영업 최고 속도 | 100 km/h 95km/h |
오우 본선(일본어: 奥羽本線)은 일본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 후쿠시마 역을 기점으로, 야마가타현과 아키타현을 지나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아오모리 역을 연결하는 총 연장 484.5km의 길이의 동일본 여객철도 관할 철도 노선이다. 후쿠시마 역에서 신조 역까지는 야마가타 신칸센의 운행구간이기도 하며, 야마가타 선이라는 애칭이 붙어있다.
개요[편집]
기점인 후쿠시마로부터 요네자와까지의 구간은 이타야 고개를 넘는다. 이 구간은 증기 기관차 시대부터 험한 곳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전철화·고속화를 하고 표준개로 개궤하여 미니 신칸센을 운행하게 된 계기도, 겨율에 폭설에 의해 열차가 지연되거나 결행되기 쉽기 때문이다. 요네자와로부터 아키타 역까지는 거의 오우 산맥의 서쪽 방향을 따라 진로를 취한다. 중간에 야마가타 역까지는 자오 연봉의 산들, 야마가타 역부터는 잠시 갓 산을 바라보면서 올라간다. 아키타 역으로부터 오가 선과 분기하는 오이와케 역까지는 바다와 접하지 않으나, 이후로 히가시노시로 역까지는 하치로호와 동해 해안을 지난다. 그리고 히가시노시로 역부터는 동쪽으로 향해 오다테 역을 지나면 또 다시 오우 산맥을 오르는 형태로 야타테 고개를 넘는다. 야타테 고개를 통과한 후, 쓰가루 평야의 안을 서쪽으로 이와키 산을 바라보면서 주행한 다음 아오모리에 이른다.
노선 정보[편집]
- 궤간 :
- 역수 :
- 여객 역 : 100 (기점 · 종점 포함)
- 화물 역 : 2 (여객 역 병설 제외)
- 복선구간 :
- 폐색 방식 :
- 복선자동폐색식 (복선구간)
- 단선자동폐색식 (아키타 화물역 지선 구간 외 단선 구간)
- 자동폐색식 (아키타 화물 역 구간)
- 최고속도 :
- 최고경사 : 38.0‰
- 각 지사 관할 노선 일람 :
운행 형태[편집]
노선 이름으론 하나이며, 이전에는, 침대특급 '아케보노', 급행열차 '쓰가루'등, 전 구간을 통해 운행하는 열차도 존재하고 있었으나, 야마가타 신칸센 · 아키타 신칸센의 개업 등으로 그에 따른 일부 구간의 표준궤로 개궤에 의해 기존 1,067mm 궤간 전용 차량인 우등 열차는, 1999년 12월 4일 야마가타 신칸센의 신조 역 연장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고마사쿠'가 쾌속 열차로 격하(2002년 12월 1일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어 이후 아키타 이북에만 운행되었던 보통 열차도 운행 계통은 다음의 4개의 구간으로 나뉘어있다.
후쿠시마 - 신조 구간[편집]
야마가타 신칸센 '쓰바사'가 주행하는 구간. 중간에 이타야 고개가 있다. 신칸센으로부터 직통하는 열차를 달리기 위하여 이 구간을 표준궤로 개궤하였기 때문에, 이 구간을 달리는 열차를 신조 이북으로 운행할 수 없게 되었다. 이 구간의 재래선 보통 열차는 야마가타 선이라고 하는 애칭이 붙어 있어, 오우 본선의 다른 구간과 구별되고 있다. 운행 형태는 기본으로 후쿠시마 - 니와사카 · 요네자와
요네자와 - 야마가타
야마가타 - 신조 구간과 3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고 있다. 이 구간은 후쿠시마와 야마가타에서 차량 점검과 검수를 담당한다.
신조 - 오마가리 구간[편집]
야마가타현 · 아키타현 경계의 변경 구간에서, 보통 열차나 쾌속 열차만이 설정되어 있지만, 이전엔 다른 구간과 마찬가지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우등 열차가 운행되고 있었다. 신조 - 아키타 구간을 연결하는 보통 열차 이외에도 인나이 · 유자와 · 요코테 - 아키타 간, 신조 - 마무로가와간의 구간 열차가 있고, 1 ~ 2시간에 1개는 운행되고 있다. 일부 열차는 단독 운전을 하고 있다. 야마가타 신칸센의 종착역인 신조 역과 아키타 신칸센의 도중 정차역인 오마가리 역 사이에 끼인 구간이며, 두 신칸센으로의 환승이 편리하게 시간표가 짜여져 있다. 요코테에서는 보통 열차 점검 및 검수, 아키타에서는 임시·우등열차를 검수, 점검하고 있다.
오마가리 - 아키타 구간[편집]
아키타 신칸센 '고마치'가 운행하는 구간. 선로는 표준궤와 협궤가 나란히 단선 구조로 되어 있다. 일부 구간은 3선 궤도화 되고 있지만, 2개의 선 중 한 개가 표준궤로만 운행 가능하며, 또 한 선은 표준궤는 물론 협궤로 운행이 가능하다. 일부 열차는 단독 운전을 하고 있다. 신칸센이 운행되는 구간은 있지만, '야마가타 선'과 같은 애칭은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 열차는 매 시간에 1대 정도가 운행되고 있으며, 아침에만 출발하는 유자와발 아키타행 쾌속 열차가 운행된다. 이 쾌속 열차는 2002년 11월 30일까지 아키타 - 유자와 - (신조) 구간에 설정되어 있던 쾌속 '가마쿠라' 중 초고속 열차 '가마쿠라 1호'의 시간표를 계승한 것이다.
요코테에서 보통 열차를 검수하고, 아키타에서는 신칸센 '고마치'와 임시 혹은 우등 열차를 검수한다.
아키타 - 아오모리 구간[편집]
이 구간은 고세이 선 · 호쿠리쿠 본선 ·신에쓰 본선 · 하쿠신 선 · 우에쓰 본선과 함께 호쿠리쿠 지역 횡단선을 형성하고 있다. 아키타선구 신보 등 , 일부의 보도 기관은 이 구간을 「오우 북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등 열차 이외는, 크게 나누어 아키타 - 오다테간, 오다테 - 히로사키간, 히로사키 - 아오모리구간의 3 구간 계통에 분할된 운행 체계가 되고 있어 이것들에 가세해 구간 열차나 오가 선 ·고노 선 직통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아키타 · 아오모리측에서는 매시에 1개 정도, 그 외의 구간은 2 - 3시간 정도 여는 시간대가 있다).또, 보통 열차로도 아키타 - 아오모리간을 통해 운전되는 열차가 매일 2.5 왕복 설정되어 있다. 일부 열차는 단독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아키타 - 오다테 구간에는 쾌속 열차가 1.5회 왕복(아키타행 2개, 오다테행 1개) 설정되어 있다. 이 중, 아침의 아키타 행 쾌속 열차는 2002년 12월까지 같은 구간에 설정되어 있던 쾌속 '시라유키' 중 최고 속도들 열차(시라유키 2호)의 다이어를 계승한 것이다. 또, 일중의 쾌속 열차 1회 왕복은 일찍이 아키타 - 가즈노하나와 (하나와 선) 구간에 설정되어 있던 급행 '요네시로' (2002년부터 쾌속에 격하)의 시간표를 계승한 것이어, 2008년 3월까지는 유일한 오우 본선 - 하나와 선 직통열차로서 국철 키하 58·28형 기동차로 운행되고 있었다.
히로사키 - 오다테 구간의 오전중에 1회 왕복 매일 운전의 임시 열차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2008년 3월 15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정기 열차화 된 후, 히로사키에서 접속하고 있던 열차와 통합 되어 하행이 사카타 → 오다테간의 열차에, 상행이 오다테 → 아키타 구간의 열차가 되었다.이 열차가 설정되기 이전은 히로사키 - 오다테 구간의 하행선은 8시 전후무렵부터 14시 전후무렵의 사이 보통 열차가 없고 5 - 6시간이나 운전 간격이 열려 있었다(「JTB 시각표」1999년 6월호에 의하면 오다테 발 히로사키 행 7시 48분. 다음은 13시 54분 아오모리행).
담당 검수는 다음과 같다.
- 아키타 : 아키타 - 오다테, 오다테 - 히로사키 구간은 왕복 1회
- 히가시노시로 : 아키타 - 오다케 구간
- 오다테 : 아키타 - 아오모리, 특급 · 보통열차만
- 히로사키 : 히로사키 - 아오모리, 아키타 - 히로사키 구간은 왕복 1회
- 아오모리 : 히로사키 - 아오모리, 아키타 - 히로사키 구간은 왕복 1회
오우 본선을 달리는 특급열차는 '쓰가루' : (아키타 - 아오모리)가 있으며, 과거 특급 아케보노,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도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운행 종료된 상태이다.
일찍이, 1992년 7월의 야마가타 신칸센 개업에 수반하여, 아키타 · 신조 - 야마가타 구간을 운행하는 특급 '고사쿠마'가 설정되어 있었다. 야마가타 신칸센 과의 연결되는 특급으로서의 존재가 컸지만, 평일을 중심으로 너무나 승강객이 적고 (특히 신조 역 이북은 한산했다), 또 특급이면서 정차역이 비교적 많아, 특급 요금을 일부러 지불해 승차하는 의의에 대한 가치관에 대한 연선 주민으로부터 의견도 있어, 1997년 3월의 아키타 신칸센 개업을 기회로 대부분의 운전 구간이 요코테 · 신죠 - 야마가타 구간에 단축되어 1999년 3월의 야마가타 신칸센 신조 연신 공사를 기회로 아키타 - 신조간의 쾌속 열차로 대신했다.
덧붙여 신아오모리 - 아오모리 구간은 특례로서 이 구간만 침대 특급을 제외한 특급 열차에 승차하는 경우는 승차권만으로 보통열차 자유석에 승차 가능하다. 다만, '청춘 18표' 등의 일부의 특별 기획 승차권에는 이 특례는 적용되지 않는다.
연표[편집]
일본철도회사의 아오모리로부터 국영철도로서 오우 북선, 후쿠시마로부터 오우 남선으로서 건설이 시작돼, 1905년에 개통되었다.
오우 북선[편집]
- 1894년 12월 1일 : 아오모리 - 히로사키 구간 개통
- 1895년 10월 21일 : 히로사키 - 이카리가세키 구간 개통
- 1899년
- 1900년 10월 7일 : 오다테 - 다카노스 구간 개통
- 1901년 11월 1일 : 다카노스 - 노시로 (現 히가시노시로 역) 구간 개통
- 1902년
- 1903년 10월 1일 : 아키타 - 와다 구간 개통
- 1904년
- 1905년 6월 15일 : 오마가리 - 요코테 구간 개통
오우 남선[편집]
전 구간 개통 후[편집]
1906년 ~ 1960년[편집]
- 1906년 12월 25일 : 오사와 신호소를 역으로 변경해 오사와 역 개업
- 1907년
- 1909년
- 1910년
- 1911년
- 1912년 11월 1일 : 가마부치 - 노조키 사이에 오타키 신호소 개설
- 1913년 7월 15일 : 이즈미타 역 개업
- 1915년 9월 11일 : 신조 역을 쓰가루신조 역으로 개칭
- 1916년
- 1917년
- 1918년 11월 10일 : 소데사키 역 개업
- 1919년
- 1921년
- 1922년 4월 1일 :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개칭.
- 1923년 11월 5일 : 요코보리 - 유자와 사이에 미쓰세키 신호장 개설
- 1924년
- 12월 20일 : 가리와노 - 우고사카이 사이에 미네요시 신호장 개설. 기타토키와 역 개업
- 1926년
- 1927년
- 1929년
- 1930년
- 1933년
- 1935년 4월 15일 : 무쓰 모리야마 역 · 가도케 역 · 오시미즈 역 · 와토쿠 역 · 나이조시 역 · 도요마키 역 개업
- 1940년 11월 1일 : 무쓰 모리야마 역 · 가도케 역 · 오시미즈 역 · 와토쿠 역 · 도요마키 역 폐업
- 1941년 9월 20일 : 오타키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해 오타키 역으로 개업
- 1942년 10월 11일 : 진바 - 이카리가세키 사이에 야다테 신호장 개설.
- 1943년 6월 15일 : 하타오리 역을 히가시노시로 역으로 개칭.
- 1944년
- 1948년 4월 27일 : 아카이와 - 니와사카 사이에 402호 열차(아오모리 발 우에노 행)가 주행중, 기관차 등이 탈선해, 높이 10m의 제방으로부터 추락(승무원 3명 사망). 현재까지도 원인이 알지 않고 「수수께끼」라고 여겨져 「니시카와 사건」으로 불리고 있다(후에 현장 부근에 위령비 건립).
- 1949년
- 1950년
- 1951년
- 1952년
- 1954년
- 1956년
- 1960년
1961년 ~ 2000년[편집]
- 1963년
- 1964년
- 1965년
- 1966년 4월 8일 : 후타쓰이 - 나나쿠라 신호장 간의 제 3 고쓰나기 터널 내에서 화물 870열차가 탈선, 64시간 불통, 또한 특급 '백조'는 고노선 경유로 운전.
- 1967년
- 1968년
- 7월 21일 : 화물지선 쓰가루신조 - 아오모리 조차장 - 우라마치 구간 폐지, 쓰가루신조 - 아오모리 조차장 - 히가시아오모리 구간 개통. (도호쿠 본선 경로 변경을 위해, 실질적으로는 종점의 변경).
- 7월 25일 : 아카유 - 기타아카유 신호장 구간 복선화.
- 8월 30일 : 이시카와 - 히로사키 구간 복선화.
- 9월 8일 : 야마가타 - 기타야마가타 구간 복선화. 야마가타 - 우젠치토세 구간 교류전화로 변경.
- 9월 22일 : 니와사카 - 아카이와 구간, 오사와 - 세키네 구간 복선화. 후쿠시마 - 요네자와 구간 교류전화로 변경.
- 9월 23일 : 가미노야마 (現 가미노야마 온천 역) - 자오 구간 복선화. 요네자와 - 야마가타 구간 교류전화.
- 9월 25일 : 후나가타 - 신조 사이에 도리고에 신호장 개설.
- 9월 27일 : 오다테 - 시라사와 구간 복선화.
- 9월 29일 : 노조키 - 인나이 구간 복선화.
-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3년 4월 11일 : 아시자와 - 후나가타 구간(사바네 터널 부근)에 대규모 토사 붕괴 발생. 운행 재개까지 20일간 걸렸다.
- 1974년 11월 1일 : 요네자와 - 신조 구간 CTC화.
- 1975년
- 8월 6일 : 집중호우 때문에, 오타키 역에서 대피하고 있던 급행 '쓰가루 2호'(아오모리 행 · 12량 편성)가 우회 운전을 위해 신조에 향하여 발차하려고 했을 때 토사 붕괴로 인해 1량 · 5량이 토사를 입는다. (승객 1명 사망 · 16명 부상), 토사붕괴 등에 의해 마무로가와 - 요코보리 등 불통 개소가 속출.
- 8월 13일 : 금년 8월 6일에 발생한 집중호우에 의한 토사 붕괴의 영향으로 불통이 되고 있던 마무로가와 - 요코보리간등의 구간의 운행을 재개
- 8월 20일 : 태풍 5호 붕괴의 저기압의 집중호우 때문에, 오다테 - 히로사키 구간, 다카노스 - 모리타케 구간이 불통
- 8월 21일 : 요쓰고야 - 아키타 구간 복선화.
- 8월 26일 : 금년 8월 20일의 집중호우 때문에, 오다테 - 히로사키 구간 · 다카노스 - 모리타케 구간이 불통이 되고 있었지만, 복구 작업 종료, 운행 재개가 된다
- 8월 28일 : 오바리노 - 와다 구간 복선화.
- 9월 5일 : 와다 - 요쓰고야 구간 복선화.
- 9월 17일 : 아시자와 - 후나가타 구간, 우고사카이 - 오바리노 구간 복선화.
- 9월 26일 : 미요네시카와 - 우고사카이 구간 복선화.
- 10월 13일 : 우젠치토세 - 아키타 구간 복선화. 전선전화 완성.
- 11월 25일 : 신조 - 아키타 구간 CTC화.
- 1979년
- 1981년
- 1982년 3월 29일 : 후쿠시마 - 사사키노 구간 복선화.
- 1983년
- 1984년
- 1986년
- 1987년 4월 1일 :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하여, JR 동일본에 승계, 동시에 일본화물철도가 전선의 제 2종 철도 사업자가 된다. 쓰가루신조 - 아오모리 신호장 - 히가시아오모리 구간 영업 거리 설정 폐지, 일본화물철도가 신아오모리 - 아오모리 신호장 구간에 제 2 종 철도 사업 영업 거리 설정.
- 1990년
- 1991년
- 3월 16일 : 누카노메 역을 다카하타 역으로, 오와니 역을 오와니 온천 역으로 개칭.
- 8월 27일 : 요네자와 - 가미노야마 (現 가미노야마 온천 역)구간이 야마가타 신칸센 직통화에 의한 궤도 개량 공사를 위하여 운휴 및 버스 대행.
- 9월 3일 : 후쿠시마 - 자오 구간의 일본화물철도의 제 2 종 철도사업이 폐지.
- 10월 8일 : 세키네 - 가미노야마 구간이 야마가타 신칸센 직통화에 의한 궤도 개량 공사를 위해 운휴 및 버스 대행.
- 11월 3·4일 : 전환 공사를 위해, 후쿠시마 - 야마구타 구간의 전 열차가 운휴, 버스 대행.
- 11월 5일 : 후쿠시마 - 야마가타 구간 표준 궤도에 의해 개량 공사 (보통 열차 · 쾌속 「자오」운전 개시). 사사키노 - 니와사카 구간 복선화.
- 1992년 7월 1일 : 야마가타 신칸센 개통(후쿠시마 - 야마가타 구간 애칭 「야마가타선」). 가미노야마 역을 가미노야마 온천, 기타가미노야마 역을 모키치 기념관으로 개칭.
- 1993년 12월 1일 : 야마가타 - 아오모리 구간의 객차열차 (50계 · 히로사키 - 아오모리 구간은 12계 2000번대에 사용)를 전면 701계 전차화.
- 1994년 7월 6일 : 가리와노 - 미네요시카와 구간 복선화.
- 1995년 12월 1일 : 이카와사쿠라 역 개업.
- 1997년 3월 22일 : 아키타 신칸센 개통. (오마가리 - 아키타 구간 상행선을 궤도 개량, 진구지 - 미네요시카와 하행선 구간을 삼선 궤도화)
- 1998년 10월 27일 : 야마가타 - 우젠치토세 구간을 야마가타 신칸센 연신에 의한 궤도 개량 공사를 위해 단선화.
- 1999년
- 3월 12일 : 덴도 - 신조 구간이 야마가타 신칸센 연신에 의한 궤도 개량 공사를 위해 운휴 및 버스 대행, 가나야 신호장 · 도리고에 신호장 폐지.
- 3월 31일 : 우젠치토세 - 우루시야마 구간의 일본화물철도의 제 2 종 철도 사업이 폐지.
- 7월 1일 : 우젠치토세 - 신조 구간이 야마가타 신칸센 연신에 의한 궤도 개량 공사를 위해 운휴. 야마가타 - 신조 구간 버스 대행 운송. (다만, 아테라자와 선 및 센잔선 노선 연장 부분은 통상대로 운전). 자오 - 야마가타 구간의 일본화물철도 제 2 종 철도 사업이 폐지.
- 12월 4일 : 야마가타 신칸센 신조 연신 (야마가타 - 신조 구간 궤도 개량. 이 구간도 애칭의 「야마가타 선」에 포함한 것에 의해 후쿠시마 - 신조 구간이 '야마가타 선'이 된다). 가니사와 역 폐업, 사쿠라보히가니세 역 설치 (가니사와 역에서 야마가타 가까이 0.6km 지점, JR 동일본의 발표로는 개칭), 다케오카 역을 무라야마 역으로 개칭
- 2002년 4월 1일 : 야마가타 - 우젠치토세 구간의 일본화물철도 제2종 철도 사업이 폐지.
- 2021년 3월 13일: 이즈미소토아사히카와역 개업
열차[편집]
야마가타 - 신조 구간[편집]
신조 - 아오모리 구간[편집]
보통 열차에는 이하의 열차가 사용된다.
- 701계 (아키타 차량 센터 소속) : 전 구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오다테 - 다카노스 구간에는 하나와 선의 키하 110계가 사용되고 있는 것 외에, 고노 선 · 오가 선으로 부터의 직통열차 등의 키하 40계·키하 48계가 사용되고 있다.
역 목록[편집]
역명 | 일어 역명 | 로마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후쿠시마 | 福島 | Fukushima | 0.0 | 동일본 여객철도 : 도호쿠 신칸센, 도호쿠 본선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 선 후쿠시마 교통 이자카 선 |
후 쿠 시 마 현 |
후쿠시마시 | ||
사사키노 | 笹木野 | Sasakino | 3.8 | 3.8 | ||||
니와사카 | 庭坂 | Niwasaka | 3.1 | 6.9 | ||||
아카이와 | 赤岩 | Akaiwa | 7.7 | 14.6 | ||||
이타야 | 板谷 | Itaya | 6.6 | 21.2 | 야 마 가 타 현 |
요네자와시 | ||
도게 | 峠 | Tōge | 3.3 | 24.5 | ||||
오사와 | 大沢 | Ōsawa | 4.3 | 28.8 | ||||
세키네 | 関根 | Sekine | 6.0 | 34.8 | ||||
요네자와 | 米沢 | Yonezawa | 5.3 | 40.1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 선 | |||
오이타마 | 置賜 | Oitama | 5.5 | 45.6 | ||||
다카하타 | 高畠 | Takahata | 4.3 | 49.9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히가시오키타마군 | 다카하타정 | |
아카유 | 赤湯 | Akayu | 6.2 | 56.1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 철도 플라워 나가이 선 |
난요시 | ||
기타아카유 신호장 | 北赤湯 | Kita-Akayu | 5.5 | 61.6 | ||||
나카가와 | 中川 | Nakagawa | 2.8 | 64.4 | ||||
우젠나카야마 | 羽前中山 | Uzen-Nakayama | 3.9 | 68.3 | 가미노야마시 | |||
가미노야마온센 | かみのやま温泉 | KaminoyamaOnsen | 6.7 | 75.0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
모키치키넨칸마에 | 茂吉記念館前 | Mokichikinenkammae | 2.8 | 77.8 | ||||
자오 | 蔵王 | Zaō | 4.0 | 81.8 | 야마가타시 | |||
야마가타 | 山形 | Yamagata | 5.3 | 87.1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아테라자와 선 · 센잔 선 | |||
기타야마가타 | 北山形 | Kita-Yamagata | 1.9 | 89.0 | 동일본 여객철도 아테라자와 선 · 센잔 선 | |||
우젠치토세 | 羽前千歳 | Uzen-Chitose | 2.9 | 91.9 |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 | |||
미나미데와 | 南出羽 | Minami-Dewa | 1.7 | 93.6 | ||||
우루시야마 | 漆山 | Urushiyama | 1.3 | 94.9 | ||||
다카타마 | 高擶 | Takatama | 2.1 | 97.0 | 덴도시 | |||
덴도 | 天童 | Tendō | 3.4 | 100.4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
미다레가와 | 乱川 | Midaregawa | 3.0 | 103.4 | ||||
진마치 | 神町 | Jimmachi | 2.9 | 106.3 | 히가시네시 | |||
사쿠란보히가시네 | さくらんぼ東根 | Sakuranbohigashine | 1.8 | 108.1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
히가시네 | 東根 | Higashine | 2.5 | 110.6 | ||||
무라야마 | 村山 | Murayama | 2.9 | 113.5 |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 | 무라야마시 | ||
소데사키 | 袖崎 | Sodesaki | 8.0 | 121.5 | ||||
오이시다 | 大石田 | Ōishida | 5.4 | 126.9 |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 | 기타무라야마군 | 오이시다정 | |
기타오이시다 | 北大石田 | Kita-Ōishida | 3.9 | 130.8 | ||||
아시사와 | 芦沢 | Ashisawa | 2.9 | 133.7 | 오바나자와시 | |||
후나가타 | 舟形 | Funagata | 6.6 | 140.3 | 모가미군 | 후나가타정 | ||
신조 | 新庄 | Shinjō | 8.3 | 148.6 |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 (유자와 · 요코테방면) · 리쿠우사이 선 · 리쿠우토 선 |
신조시 | ||
이즈미타 | 泉田 | Izumita | 5.6 | 154.2 | ||||
우젠토요사토 | 羽前豊里 | Uzen-toyosato | 7.1 | 161.3 | 모가미 군 | 사케가와촌 | ||
마무로가와 | 真室川 | Mamurogawa | 2.7 | 164.0 | 미사토정 | |||
가마부치 | 釜淵 | Kamabuchi | 9.2 | 173.2 | ||||
오타키 | 大滝 | Ōtaki | 7.1 | 180.3 | ||||
노조키 | 及位 | Nozoki | 5.5 | 185.8 | ||||
인나이 | 院内 | Innai | 8.6 | 194.4 | 아 키 타 현 |
유자와시 | ||
요코보리 | 横堀 | Yokobori | 4.0 | 198.4 | ||||
미쓰세키 | 三関 | Mitsuseki | 6.0 | 204.4 | ||||
가미유자와 | 上湯沢 | Kami-yuzawa | 2.7 | 207.1 | ||||
유자와 | 湯沢 | Yuzawa | 3.3 | 210.4 | ||||
시모유자와 | 下湯沢 | Shimo-Yuzawa | 4.1 | 214.5 | ||||
주몬지 | 十文字 | Jūmonji | 3.3 | 217.8 | 요코테시 | |||
다이고 | 醍醐 | Daigo | 3.4 | 221.2 | ||||
야나기타 | 柳田 | Yanagita | 3.2 | 224.4 | ||||
요코테 | 横手 | Yokote | 3.9 | 228.3 |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 | |||
고산넨 | 後三年 | Gosannen | 6.4 | 234.7 | 센보쿠 군 | 미사토정 | ||
이즈메 | 飯詰 | Iizume | 5.1 | 239.8 | ||||
오마가리 | 大曲 | Ōmagari | 7.2 | 247.0 | 동일본 여객철도 아키타 신칸센 · 다자와코 선 | 다이센시 | ||
진구지 | 神宮寺 | Jingūji | 6.0 | 253.0 | ||||
가리와노 | 刈和野 | Kariwano | 7.6 | 260.6 | ||||
미네요시카와 | 峰吉川 | Mineyoshikawa | 4.8 | 265.4 | ||||
우고사카이 | 羽後境 | Ugo-sakai | 6.5 | 271.9 | ||||
오바리노 | 大張野 | Ōbarino | 8.1 | 280.0 | 아키타시 | |||
와다 | 和田 | Wada | 5.4 | 285.4 | ||||
요쓰고야 | 四ツ小屋 | Yotsugoya | 6.9 | 292.3 | ||||
아키타 | 秋田 | Akita | 6.4 | 298.7 | 동일본 여객철도 아키타 신칸센 · 우에쓰 본선 | |||
이즈미소토아사히카와 | 泉外旭川 | Izumi-Sotoasahikawa | 오가선 | |||||
아키타 화물 | 秋田貨物 | Akita Kamotsu | 3.6 | 302.3 | ||||
쓰치자키 | 土崎 | Tsuchizaki | 3.5 | 305.8 | 일본화물철도 오우 본선 화물 지선 | |||
가미이지마 | 上飯島 | Kami-Iijima | 2.5 | 308.3 | ||||
오이와케 | 追分 | Oiwake | 3.4 | 311.7 |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 | |||
오시미즈 신호장 | 大清水信号場 | Ōshimizu | 3.2 | 314.9 | 가타가미시 | |||
오쿠보 | 大久保 | Ōkubo | 4.0 | 318.9 | ||||
우고이즈카 | 羽後飯塚 | Ugo-Iizuka | 3.3 | 322.2 | ||||
이카와사쿠라 | 井川さくら | Ikawasakura | 1.4 | 323.6 | 미나미아키타군 | 이카와정 | ||
하치로가타 | 八郎潟 | Hachirōgata | 3.9 | 327.5 | 하치로가타정 | |||
고이카와 | 鯉川 | Koikawa | 5.5 | 333.0 | 야마모토군 | 미타네정 | ||
가도 | 鹿渡 | Kado | 5.4 | 338.4 | ||||
모리타케 | 森岳 | Moritake | 6.7 | 345.1 | ||||
기타카나오카 | 北金岡 | Kita-Kanaoka | 4.3 | 349.4 | ||||
미나미노시로 신호장 | 南能代信号場 | Minami-Nosiro | 3.1 | 352.5 | 노시로시 | |||
히가시노시로 | 東能代 | Higashi-Noshiro | 2.9 | 355.4 |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 | |||
쓰루가타 | 鶴形 | Tsurugata | 4.9 | 360.3 | ||||
도미네 | 富根 | Tomine | 5.2 | 365.5 | ||||
후타쓰이 | 二ツ井 | Futatsui | 6.7 | 372.2 | ||||
마에야마 | 前山 | Maeyama | 7.3 | 379.5 | 기타아키타시 | |||
다카노스 | 鷹ノ巣 | Takanosu | 5.4 | 384.9 | 아키타 내륙 종관 철도 아키타 내륙선 (다카스 역) | |||
누카자와 | 糠沢 | Nukazawa | 3.2 | 388.1 | ||||
하야구치 | 早口 | Hayaguchi | 5.4 | 393.5 | 오다테시 | |||
시모카와조이 | 下川沿 | Shimokawazoi | 4.2 | 397.7 | ||||
오다테 | 大館 | Ōdate | 5.2 | 402.9 |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 | |||
시라사와 | 白沢 | Shirasawa | 6.5 | 409.4 | ||||
진바 | 陣場 | Jimba | 7.1 | 416.5 | ||||
쓰가루유노사와 | 津軽湯の沢 | Tsugaruyunosawa | 5.8 | 422.3 | 아 오 모 리 현 |
히라카와시 | ||
이카리가세키 | 碇ヶ関 | Ikarigaseki | 4.9 | 427.2 | ||||
나가미네 | 長峰 | Nagamine | 4.8 | 432.0 | 미나미쓰가루군 | 오와니정 | ||
오와니온센 | 大鰐温泉 | Ōwanionsen | 3.3 | 435.3 | 고난 철도 오와니 선 | |||
이시카와 | 石川 | Ishikawa | 5.4 | 440.7 | 히로사키시 | |||
히로사키 | 弘前 | Hirosaki | 6.4 | 447.1 | 고난 철도 고난 선 | |||
나이조시 | 撫牛子 | Naijōshi | 2.7 | 449.8 | ||||
가와베 | 川部 | Kawabe | 3.6 | 453.4 |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 | 미나미쓰가루 군 | 이나카다테촌 | |
기타토키와 | 北常盤 | Kita-Tokiwa | 3.2 | 456.6 | 후지사키정 | |||
나미오카 | 浪岡 | Namioka | 5.5 | 462.1 | 아오모리시 | |||
다이샤카 | 大釈迦 | Daishaka | 5.1 | 467.2 | ||||
쓰루가사카 | 鶴ケ坂 | Tsurugasaka | 6.2 | 473.4 | ||||
쓰가루신조 | 津軽新城 | Tsugaru-Shinjō | 5.4 | 478.8 | ||||
신아오모리 | 新青森 | Shin-Aomori | 1.8 | 480.6 |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 · 오우 본선 지선 홋카이도 여객철도 홋카이도 신칸센 | |||
아오모리 | 青森 | Aomori | 3.9 | 484.5 |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 · 쓰가루 해협선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 |
과거 접속노선[편집]
- 유자와 역 : 우고 교통 오가치 선 - 1973년 4월 1일 폐지.
- 요코테 역 : 우고 교통 오쇼 선 - 1971년 7월 20일 폐지.
- 아키타 역 (역 앞 연결) : 아키타 시 교통국 - 1966년 3월 31일 폐지.
- 하치로가타 역 : 아키타 중앙 교통선 - 1969년 7월 11일 폐지.
- 후타쓰이 역 (역 앞 연결) : 나카니시 도쿠고로 경영궤도 - 1940년 3월 1일 폐지.
- 오다테 역 (역사는 옆에 인접) : 하나오카 선 - 1985년 4월 1일 폐지.
- 오다테 역 (역사는 옆에 인접) : 고사카 선 - 1994년 10월 1일 여객영업폐지, 2008년 4월 1일 운휴, 2009년 4월 1일 폐지.
- 가와베 역 : 고난 철도 구로이시 선 - 1998년 4월 1일 폐지.
오우 본선 지선[편집]
역명 | 일어 역명 | 로마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
신아오모리 | 新青森 | Shin-Aomori | 0.0 |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 | |
다키우치 신호소 | 滝内信号所 | Takiuchi | 2.8 | 2.8 |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 지선 (아오모리)방면 |
아오모리 신호장 | 青森 | Aomori | 2.0 | 4.8 |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 |
- 실제의 분기점의 다키우치 신호소는 아오모리 역 구내 취급.
- 여객 회사의 영업 설정은 거의 없지만, 일본화물철도가 신아오모리 역 - 아오모리 신호장 구간에 대해서 제 2 종 철도 사업의 영업 거리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화물 열차나, 야간 열차 '북두성', '트와일라잇 익스프레스'가 아오모리 역에서 스윗치 백을 하지 않고 합선 하는 경로로서 매일 통과하고 있다.
화물 지선[편집]
역명 | 일어 역명 | 로마자 역명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
쓰치자키 | 土崎 | Tsuchizaki | 0.0 |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 (본선) | |
(貨) 아키타 항 | 秋田港 | Akitakō | 2.7 | 2.7 | 아키타 임해 철도 아키타 임해 철도선 |
폐역이 되거나 폐지된 신호장[편집]
역으로 전환된 신호장은 제외.
- 가나야 신호장 : 1999년 12월 4일 폐지. 다테오카(現 무라야마 역)- 소데사키 구간
- 도에고리 신호장 : 1999년 12월 4일 폐지, 후나가타 - 신조 구간
- 나나쿠라 신호장 : 1971년 8월 5일 폐지, 후타쓰이 - 마에야마 구간 (루트 변경을 위해)
- 무츠 모리야마 역 : 1940년 11월 1일 폐지, 오와니 (現 오와니 온센 역) - 이시카와 구간
- 가도케 역 : 1940년 11월 1일 폐지, 이시카와 - 가도케 구간
- 오시미즈 역 : 1940년 11월 폐지, 가도케 - 히로사키 구간
- 와도쿠 역 : 1940년 11월 폐지, 히로사키 - 나이조시 구간
- 도요마키 역 : 1940년 11월 1일 폐지, 나이조시 - 가와베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