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동음이의 링크
34번째 줄: 34번째 줄:


현대 과학 우주론은 191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ref>{{Cite journal|last=Einstein|first=A.| authorlink = Albert Einstein | date=1952|title=Cosm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url=http://adsabs.harvard.edu/abs/1952prel.book..175E|journal=The Principle of Relativity. Dover Books on Physics. June 1, 1952. 240 Pages. 0486600815, P. 175-188|pages=175–188|bibcode=1952prel.book..175E}}</ref> 논문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을 최종 수정하여 발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이 논문은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 외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빌렘 드 시터]], [[카를 슈바르츠실트]] 및 [[아서 에딩턴]]과 같은 [[우주기원론|우주기원론자]]들이 천문학적인 파급 효과를 탐구하도록 자극하여 [[천문학자]]들이 매우 먼 천체를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물리학자들은 우주가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바꾸기 시작했다. 1922년에, [[알렉산더 프리드만]]은 움직이는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하는 우주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현대 과학 우주론은 191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ref>{{Cite journal|last=Einstein|first=A.| authorlink = Albert Einstein | date=1952|title=Cosm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url=http://adsabs.harvard.edu/abs/1952prel.book..175E|journal=The Principle of Relativity. Dover Books on Physics. June 1, 1952. 240 Pages. 0486600815, P. 175-188|pages=175–188|bibcode=1952prel.book..175E}}</ref> 논문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을 최종 수정하여 발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이 논문은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 외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빌렘 드 시터]], [[카를 슈바르츠실트]] 및 [[아서 에딩턴]]과 같은 [[우주기원론|우주기원론자]]들이 천문학적인 파급 효과를 탐구하도록 자극하여 [[천문학자]]들이 매우 먼 천체를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물리학자들은 우주가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바꾸기 시작했다. 1922년에, [[알렉산더 프리드만]]은 움직이는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하는 우주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물리우주론}}<!--<sub></sub>-->
우주론에 대한 이러한 역동적인 접근 방식과 병행하여 우주의 구조에 대한 오랜 논쟁인 [[대논쟁]](1917~1922년)이 절정에 달하고 있었는데, [[히버 다우스트 커티스|히버 다우스트 커티스]]와 [[에른스트 외픽]] 같은 초기 우주론자들은 망원경으로 관측한 일부 [[성운]]들이 우리 은하와는 멀리 떨어진 별개의 은하라고 판단했다.<ref>{{Cite book|last=Dodelson|first=Scott|url=https://books.google.com/books?id=zk5e6XsY6nsC&q=Cosmology&pg=PP2|title=Modern Cosmology|date=2003-03-30|publisher=Elsevier|isbn=978-0-08-051197-9|language=en}}</ref> 히버 커티스는 나선 성운이 그 자체로 섬 우주인 항성계이라는 생각을 주장한 반면, 마운트 윌슨의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는 [[우리 은하]] [[항성계]]로만 구성된 우주 모형을 옹호했다. 이러한 생각의 차이는 1920년 4월 26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국립과학원]] 회의에서 [[대논쟁|대토론회]]가 열리면서 절정에 달했다., 그 논쟁은 1923년과 1924년 [[에드윈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세페이드 변광성]]를 발견하면서 해결되었다.<ref>{{Cite journal|last=Falk|first=Dan|date=2009-03-18|title=Review: The Day We Found the Universe by Marcia Bartusiak|url=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262407909608095|journal=New Scientist|language=en|volume=201|issue=2700|pages=45|doi=10.1016/S0262-4079(09)60809-5|issn=0262-4079}}</ref><ref>{{Cite journal|last=Hubble|first=E. P.|authorlink= Edwin Hubble| date=1926-12-01|title=Extragalactic nebulae.|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64|page=321|doi=10.1086/143018|bibcode=1926ApJ....64..321H|issn=0004-637X|doi-access=free}}</ref> 그 거리가 은하수 가장자리를 훨씬 넘어 나선 성운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후 우주 모델링은 아인슈타인이 1917년 논문에서 소개한 [[우주상수]]가 그 값에 따라 [[우주팽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구했다. 따라서 [[대폭발|대폭발(빅뱅)]] 모형은 1927년 벨기에의 신부 [[조르주 르메트르]]에 의해 제안되었고<ref>{{Cite journal|last=Martin|first=G.|date=1883|title=G. DELSAULX. — Sur une propriété de la diffraction des ondes planes; Annales de la Société scientifique de Bruxelles; 1882|url=http://dx.doi.org/10.1051/jphystap:018830020017501|journal=Journal de Physique Théorique et Appliquée|language=fr|volume=2|issue=1|pages=175|doi=10.1051/jphystap:018830020017501|issn=0368-3893}}</ref> 이후 1929년 에드윈 허블의 [[적색편이]] 발견<ref>{{Cite journal|last=Hubble|first=Edwin|authorlink=Edwin Hubble|title=A Relation Between Distance and Radial Velocity Among Extra-Galactic Nebulae|date=1929-03-15|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volume=15|issue=3|pages=168–173|doi=10.1073/pnas.15.3.168|issn=0027-8424|pmid=16577160|pmc=522427|bibcode=1929PNAS...15..168H|doi-access=free}}</ref> 그리고 1964년 [[아노 펜지아스]]와 [[로버트 우드로 윌슨]]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발견으로 확증되었다.<ref>{{Cite journal|last1=Penzias|first1=A. A.|authorlink1=Arno Allan Penzias|last2=Wilson|first2=R. W.|date=1965-07-01|title=A Measurement of Excess Antenna Temperature at 4080 Mc/s.|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142|pages=419–421|doi=10.1086/148307|bibcode=1965ApJ...142..419P|issn=0004-637X|doi-access=free}}</ref> 이러한 발견은 많은 [[w:Non-standard cosmology|대안 우주론(alternative cosmology)]]들 중 일부를 배제하는 첫걸음이었다.

1990년경부터 [[관측 우주론]]의 몇 가지 극적인 발전으로 우주론은 대부분 사변적인 과학에서 이론과 관측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측 과학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발전에는 [[COBE]],<ref>{{Cite journal|last1=Boggess|first1=N. W.|author-link1=Nancy Boggess|last2=Mather|first2=J. C.|last3=Weiss|first3=R.|last4=Bennett|first4=C. L.|last5=Cheng|first5=E. S.|last6=Dwek|first6=E.|last7=Gulkis|first7=S.|last8=Hauser|first8=M. G.|last9=Janssen|first9=M. A.|last10=Kelsall|first10=T.|last11=Meyer|first11=S. S.|date=1992-10-01|title=The COBE mission – Its design and performance two years after launch|journal=The Astrophysical Journal|volume=397|pages=420–429|doi=10.1086/171797|bibcode=1992ApJ...397..420B|issn=0004-637X|doi-access=free}}</ref> [[WMAP]]<ref>{{Cite book|last=Parker, Barry R.|url=https://www.worldcat.org/oclc/27069165|title=The vindication of the big bang : breakthroughs and barriers|date=1993|publisher=Plenum Press|isbn=0-306-44469-0|location=New York|oclc=27069165}}</ref> 및 [[플랑크 위성]]<ref>{{Cite book|date=2018-08-12|chapter-url=https://doi.org/10.1145/3225151.3232529|series=SIGGRAPH '18|location=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publisher=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pages=1|doi=10.1145/3225151.3232529|isbn=978-1-4503-5830-9|s2cid=51979217 |chapter=Computer Graphics Achievement Award |title=ACM SIGGRAPH 2018 Awards }}</ref>의 마이크로파 배경 관측, [[2dF 은하 적색편이 탐사]]<ref>{{Cite journal|last=Science|first=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date=2007-06-15|title=NETWATCH: Botany's Wayback Machine|url=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316.5831.1547d|journal=Science|language=en|volume=316|issue=5831|pages=1547|doi=10.1126/science.316.5831.1547d|s2cid=220096361|issn=0036-8075}}</ref> 및 [[SDSS]]<ref>{{Cite journal|last1=Paraficz|first1=D.|last2=Hjorth|first2=J.|last3=Elíasdóttir|first3=Á|date=2009-05-01|title=Results of optical monitoring of 5 SDSS double QSOs with the Nordic Optical Telescope|url=https://www.aanda.org/articles/aa/abs/2009/20/aa11387-08/aa11387-08.html|journal=Astronomy & Astrophysics|language=en|volume=499|issue=2|pages=395–408|doi=10.1051/0004-6361/200811387|arxiv=0903.1027|bibcode=2009A&A...499..395P|issn=0004-6361|doi-access=free}}</ref>를 포함한 새로운 대형 은하 [[w:Redshift survey|적색편이 탐사(Redshift survey)]] 그리고 원거리 [[초신성]]들 및 [[중력 렌즈]] 관측이 포함된다. 이러한 관측 결과는 [[급팽창 이론|우주 급팽창 이론]], 수정된 빅뱅 이론, [[ΛCDM 모형|람다-CDM 모형]]으로 알려진 특정 버전의 예측과 일치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현대를 "우주론의 황금기"라고 부르게 되었다.<ref>[[Alan Guth]] is reported to have made this very claim in an [[Edge Foundation, Inc.|Edge Foundation]] interview [http://www.edge.org/documents/day/day_guth.html EDGE]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411071615/https://www.edge.org/documents/day/day_guth.html |date=11 April 2016 }}</ref>

2014년에 BICEP2 공동 연구팀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에서 [[중력파]]들의 흔적을 감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이 결과는 나중에 가짜로 밝혀졌다. 중력파의 증거로 추정되는 것은 실제로 성간 먼지로 인한 것이었다.<ref>{{cite news|url=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14/jun/04/gravitational-wave-discovery-dust-big-bang-inflation|title=Gravitational waves turn to dust after claims of flawed analysis|first=Ian |last=Sample|newspaper=the Guardian|date=2014-06-04}}</ref><ref name="nature-20150130">
{{cite journal
|last=Cowen |first=Ron
|date=30 January 2015
|title=Gravitational waves discovery now officially dead
|journal=[[Nature (journal)|Nature]]
|doi=10.1038/nature.2015.16830
|s2cid=124938210
}}</ref>

2014년 12월 1일,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열린 플랑크 2014 회의에서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나이|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이며 [[물질|원자 물질]] 4.9%, [[암흑 물질]] 26.6%, [[암흑 에너지]] 68.5%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했다.<ref name="NYT-20141201-DO">{{cite news |author1= Dennis Overbye |title=New Images Refine View of Infant Universe |url = https://www.nytimes.com/2014/12/02/world/new-images-refine-view-of-infant-universe.html |date=1 December 2014 |work=The New York Times |access-date=2 December 2014 |author1-link=Dennis Overbye }}</ref>


== 서양 우주론의 역사 ==
== 서양 우주론의 역사 ==

2024년 2월 11일 (일) 11:15 판

2012년 9월에 완성된 허블 익스트림 딥 필드(XDF)는 당시까지 촬영된 가장 먼 은하들을 보여준다. 전경에 있는 몇 개의 별들(밝고 회절 스파이크들이 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음)을 제외하고 사진 속 모든 빛은 한 개별 은하이며, 그 중 일부는 132억 년이나 된 것도 있으며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2조 개 이상의 은하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

우주론(cosmology 고대 그리스어 κόσμος(cosmos) '우주, 세계' 그리고 λογία(logia) '연구'에서 유래)은 우주(universe)의 본질인 우주(cosmos)를 다루는 물리학형이상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론이라는 용어는 1656년 토마스 블라운트Thomas Blount의 《용어집Glossographia》에서 영어로 처음 사용되었고,[2] 1731년 독일 철학자 크리스티안 볼프Christian Wolff가 《우주론 일반론Cosmologia Generalis》에서 라틴어로 사용했다.[3] 종교적 또는 신화적 우주론은 신화, 종교, 밀교적 문헌과 창조 신화종말론의 전통에 기초한 신념의 집합체이다. 천문학의 과학에서 우주론은 우주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물리 우주론관측 가능한 우주의 기원, 우주의 대규모 구조와 역학, 그리고 이러한 영역을 지배하는 과학 법칙을 포함한 우주의 궁극적인 운명에 대한 연구이다.[4] 천문학자물리학자를 포함한 과학자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자, 물리학의 철학자 및 시간과 공간의 철학자와 같은 철학자들도 우주론을 연구하고 탐구한다. 이러한 철학과 공유되는 범위 때문에 물리 우주론의 이론과학적 명제와 비과학적 명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테스트할 수 없는 가정에 의존할 수도 있다. 물리 우주론은 우주 전체와 관련된 천문학의 하위 분야이다. 현대의 물리 우주론은 관측 천문학입자 물리학을 통합하려는 대폭발(빅뱅) 이론:[5][6] 보다 구체적으로 암흑 물질암흑 에너지를 포함하는 대폭발의 표준 매개변수화인 람다-CDM 모형으로 알려진 대폭발 이론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론 천체물리학자(theoretical astrophysicist)데이비드 스퍼겔David Spergel광속의 유한한 특성으로 인해 "우주를 바라볼 때 우리는 시간을 되돌아보기" 때문에 우주론을 "역사적인 과학"이라고 설명했다.[7]

분야

물리학천체물리학은 과학적 관찰과 실험을 통해 우주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형성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물리 우주론은 수학과 관측을 통해 전체 우주를 분석하면서 형성되었다. 우주는 일반적으로 대폭발(빅뱅)으로 시작된 후, 거의 즉각적으로 137억 9,900만±0.21억 년 전에 우주가 생겨난 것으로 생각되는 우주 급팽창인 어떤 우주팽창이 뒤따른 것으로 이해된다.[8] 우주론은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고 우주도(cosmography)는 우주의 특징을 지도화한다.

디드로의 《백과전서》에서는 우주론을 천문학(하늘에 관한 과학), 항공학(공기에 관한 과학), 지질학(대륙에 관한 과학) 및 수문학(물에 관한 과학)으로 분류하고 있다.[9]

형이상학적 우주론은 다른 모든 존재와의 관계에서 우주에 인간을 배치하는 것으로도 설명되었다. 이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그 관계에서 인간의 위치를 관찰한 것으로 잘 설명된다: "세계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고, 세계가 어떤 목적으로 존재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자신이 누구인지도, 세계가 무엇인지도 모른다."[10]

발견

물리적 우주론

물리 우주론은 우주의 물리적 기원과 진화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물리학 및 천체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또한 대규모로 우주의 본질에 대한 연구도 포함된다. 초기의 형태는 현재 '천체역학'으로 알려진 하늘에 대한 연구였다. 그리스의 철학자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아리스토텔레스프톨레마이오스는 서로 다른 우주론 이론을 제안했다. 16세기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이후 요하네스 케플러갈릴레오 갈릴레이태양중심 체계를 제안하기 전까지는 지구중심 프톨레마이오스 체계가 지배적인 이론이었다. 이는 물리 우주론에서 가장 유명한 인식론적 파열(Epistemological rupture)의 사례들 중 하나이다.

1687년에 출간된 아이작 뉴턴의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는 만유인력의 법칙에 대한 최초의 설명이었다. 이 책은 케플러의 법칙에 대한 물리적 메커니즘을 제공했으며, 행성 간의 중력 상호작용으로 인한 이전 시스템의 이상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뉴턴의 우주론과 그 이전의 우주론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지구상의 천체가 모든 천체와 동일한 물리 법칙을 따른다는 코페르니쿠스 원리였다. 이는 물리 우주론에서 중요한 철학적 진전이었다.

현대 과학 우주론은 1917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11] 논문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을 최종 수정하여 발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이 논문은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독일 외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빌렘 드 시터, 카를 슈바르츠실트아서 에딩턴과 같은 우주기원론자들이 천문학적인 파급 효과를 탐구하도록 자극하여 천문학자들이 매우 먼 천체를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 물리학자들은 우주가 정적이고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을 바꾸기 시작했다. 1922년에, 알렉산더 프리드만은 움직이는 물질을 포함하는 팽창하는 우주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우주론에 대한 이러한 역동적인 접근 방식과 병행하여 우주의 구조에 대한 오랜 논쟁인 대논쟁(1917~1922년)이 절정에 달하고 있었는데, 히버 다우스트 커티스에른스트 외픽 같은 초기 우주론자들은 망원경으로 관측한 일부 성운들이 우리 은하와는 멀리 떨어진 별개의 은하라고 판단했다.[12] 히버 커티스는 나선 성운이 그 자체로 섬 우주인 항성계이라는 생각을 주장한 반면, 마운트 윌슨의 천문학자 할로 섀플리우리 은하 항성계로만 구성된 우주 모형을 옹호했다. 이러한 생각의 차이는 1920년 4월 26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국립과학원 회의에서 대토론회가 열리면서 절정에 달했다., 그 논쟁은 1923년과 1924년 에드윈 허블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세페이드 변광성를 발견하면서 해결되었다.[13][14] 그 거리가 은하수 가장자리를 훨씬 넘어 나선 성운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후 우주 모델링은 아인슈타인이 1917년 논문에서 소개한 우주상수가 그 값에 따라 우주팽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구했다. 따라서 대폭발(빅뱅) 모형은 1927년 벨기에의 신부 조르주 르메트르에 의해 제안되었고[15] 이후 1929년 에드윈 허블의 적색편이 발견[16] 그리고 1964년 아노 펜지아스로버트 우드로 윌슨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발견으로 확증되었다.[17] 이러한 발견은 많은 대안 우주론(alternative cosmology)들 중 일부를 배제하는 첫걸음이었다.

1990년경부터 관측 우주론의 몇 가지 극적인 발전으로 우주론은 대부분 사변적인 과학에서 이론과 관측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측 과학으로 변모했다. 이러한 발전에는 COBE,[18] WMAP[19]플랑크 위성[20]의 마이크로파 배경 관측, 2dF 은하 적색편이 탐사[21]SDSS[22]를 포함한 새로운 대형 은하 적색편이 탐사(Redshift survey) 그리고 원거리 초신성들 및 중력 렌즈 관측이 포함된다. 이러한 관측 결과는 우주 급팽창 이론, 수정된 빅뱅 이론, 람다-CDM 모형으로 알려진 특정 버전의 예측과 일치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현대를 "우주론의 황금기"라고 부르게 되었다.[23]

2014년에 BICEP2 공동 연구팀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에서 중력파들의 흔적을 감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이 결과는 나중에 가짜로 밝혀졌다. 중력파의 증거로 추정되는 것은 실제로 성간 먼지로 인한 것이었다.[24][25]

2014년 12월 1일, 이탈리아 페라라에서 열린 플랑크 2014 회의에서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이며 원자 물질 4.9%, 암흑 물질 26.6%, 암흑 에너지 68.5%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했다.[26]

서양 우주론의 역사

고대

고대 사회와 발전된 헬레니 문명이전에는 우주론과 종교가 분리되지 않았다. 과학적 우주론의 발전은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 피타고라스 학파가 구형 지구의 개념 도입과 바빌로니아인과 이집트인과는 달리 자연 법칙의 조화가 천체의 운동을 지배한다고 가정할 때(BC 6세기).
  • 무한한 원자 우주가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에 의해 나왔다. 무한한 세계는 생명체로 가득 찬 원자의 우연한 집합체라는 결과와 아리스토텔레스지구 중심우주(BC 4세기).
  • 프톨레마이오스의 모형으로 절정에 달했을 때(2세기). 프톨레마이오스는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으로 이해했으며, 가장 간단한 근사에 의해 다른 별들도 지구 주위를 도는 것으로 관측 결과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세한 관측 결과 일부 행성이 지구 주위를 정확한 원으로 돌지 않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고, 원래 궤도를 중심으로 또다른 작은 원으로 도는 주전원을 도입하였다.

중세

현대의 우주론

현대의 우주론은 표준 우주 모형에 의해 기술되고 있다.

기타 고대 우주론

동아시아

현대천문학이 도입되기 전까지 동아시아에는 다양한 우주론이 존재하였다.

  • 천원지방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의미이나,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이 있다.
  • 개천설
  • 구천설
  • 혼천설
  • 선야설
  • 안천론
  • 궁천론
  • 혼천론
  • 지전설: 하늘이 아닌 지구가 돈다는 주장으로, 홍대용이 주창하였다.
  1. Karl Hille, 편집. (2016년 10월 13일). “Hubble Reveals Observable Universe Contains 10 Times More Galaxies Than Previously Thought”. NASA. 2016년 10월 17일에 확인함. 
  2. Hetherington, Norriss S. (2014). 《Encyclopedia of Cosmology (Routledge Revivals):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Foundations of Modern Cosmology》. Routledge. 116쪽. ISBN 978-1-317-67766-6. 
  3. Luminet, Jean-Pierre (2008). 《The Wraparound Universe》. CRC Press. 170쪽. ISBN 978-1-4398-6496-8.  Extract of page 170
  4. "Introduction: Cosmology – space" 보관됨 3 7월 2015 - 웨이백 머신. New Scientist. 4 September 2006
  5. "Cosmology" Oxford Dictionaries
  6. Overbye, Dennis (2019년 2월 25일). “Have Dark Forces Been Messing With the Cosmos? – Axions? Phantom energy? Astrophysicists scramble to patch a hole in the universe, rewriting cosmic history in the process.”. 《The New York Times. 2019년 2월 26일에 확인함. 
  7. David N. Spergel (Fall 2014). “Cosmology Today”. 《Daedalus》 143 (4): 125–133. doi:10.1162/DAED_a_00312. S2CID 57568214. 
  8. Planck Collaboration (2016년 10월 1일). “Planck 2015 results. XIII. Cosmological parameters”. 《Astronomy & Astrophysics》 594 (13). Table 4 on page 31 of PDF. arXiv:1502.01589. Bibcode:2016A&A...594A..13P. doi:10.1051/0004-6361/201525830. S2CID 119262962. 
  9. Diderot (Biography), Denis (2015년 4월 1일). “Detailed Explanation of the System of Human Knowledge”. 《Encyclopedia of Diderot & d'Alembert –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ject》. 2015년 4월 1일에 확인함. 
  10. 《The thoughts of Marcus Aurelius Antoninus viii. 52》. 
  11. Einstein, A. (1952). “Cosm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The Principle of Relativity. Dover Books on Physics. June 1, 1952. 240 Pages. 0486600815, P. 175-188》: 175–188. Bibcode:1952prel.book..175E. 
  12. Dodelson, Scott (2003년 3월 30일). 《Modern Cosmology》 (영어). Elsevier. ISBN 978-0-08-051197-9. 
  13. Falk, Dan (2009년 3월 18일). “Review: The Day We Found the Universe by Marcia Bartusiak”. 《New Scientist》 (영어) 201 (2700): 45. doi:10.1016/S0262-4079(09)60809-5. ISSN 0262-4079. 
  14. Hubble, E. P. (1926년 12월 1일). “Extragalactic nebulae.”. 《The Astrophysical Journal》 64: 321. Bibcode:1926ApJ....64..321H. doi:10.1086/143018. ISSN 0004-637X. 
  15. Martin, G. (1883). “G. DELSAULX. — Sur une propriété de la diffraction des ondes planes; Annales de la Société scientifique de Bruxelles; 1882”. 《Journal de Physique Théorique et Appliquée》 (프랑스어) 2 (1): 175. doi:10.1051/jphystap:018830020017501. ISSN 0368-3893. 
  16. Hubble, Edwin (1929년 3월 15일). “A Relation Between Distance and Radial Velocity Among Extra-Galactic Nebula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5 (3): 168–173. Bibcode:1929PNAS...15..168H. doi:10.1073/pnas.15.3.168. ISSN 0027-8424. PMC 522427. PMID 16577160. 
  17. Penzias, A. A.; Wilson, R. W. (1965년 7월 1일). “A Measurement of Excess Antenna Temperature at 4080 Mc/s.”. 《The Astrophysical Journal》 142: 419–421. Bibcode:1965ApJ...142..419P. doi:10.1086/148307. ISSN 0004-637X. 
  18. Boggess, N. W.; Mather, J. C.; Weiss, R.; Bennett, C. L.; Cheng, E. S.; Dwek, E.; Gulkis, S.; Hauser, M. G.; Janssen, M. A.; Kelsall, T.; Meyer, S. S. (1992년 10월 1일). “The COBE mission – Its design and performance two years after launch”. 《The Astrophysical Journal》 397: 420–429. Bibcode:1992ApJ...397..420B. doi:10.1086/171797. ISSN 0004-637X. 
  19. Parker, Barry R. (1993). 《The vindication of the big bang : breakthroughs and barriers》. New York: Plenum Press. ISBN 0-306-44469-0. OCLC 27069165. 
  20. 〈Computer Graphics Achievement Award〉. 《ACM SIGGRAPH 2018 Awards》. SIGGRAPH '18.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8년 8월 12일. 1쪽. doi:10.1145/3225151.3232529. ISBN 978-1-4503-5830-9. S2CID 51979217. 
  21.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2007년 6월 15일). “NETWATCH: Botany's Wayback Machine”. 《Science》 (영어) 316 (5831): 1547. doi:10.1126/science.316.5831.1547d. ISSN 0036-8075. S2CID 220096361. 
  22. Paraficz, D.; Hjorth, J.; Elíasdóttir, Á (2009년 5월 1일). “Results of optical monitoring of 5 SDSS double QSOs with the Nordic Optical Telescope”. 《Astronomy & Astrophysics》 (영어) 499 (2): 395–408. arXiv:0903.1027. Bibcode:2009A&A...499..395P. doi:10.1051/0004-6361/200811387. ISSN 0004-6361. 
  23. Alan Guth is reported to have made this very claim in an Edge Foundation interview EDGE 보관됨 11 4월 2016 - 웨이백 머신
  24. Sample, Ian (2014년 6월 4일). “Gravitational waves turn to dust after claims of flawed analysis”. 《the Guardian》. 
  25. Cowen, Ron (2015년 1월 30일). “Gravitational waves discovery now officially dead”. 《Nature》. doi:10.1038/nature.2015.16830. S2CID 124938210. 
  26. Dennis Overbye (2014년 12월 1일). “New Images Refine View of Infant Universe”. 《The New York Times》. 2014년 12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