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5번째 줄: 55번째 줄:
* {{cite book|last=Nicolaescu|first=Liviu|title=An Invitation to Morse Theory|date=2011|isbn=978-1-4614-1104-8|series=Universitext|issn=0172-5939|publisher=Springer|doi=10.1007/978-1-4614-1105-5|edition=2판|mr=2883440|언어고리=en}}
* {{cite book|last=Nicolaescu|first=Liviu|title=An Invitation to Morse Theory|date=2011|isbn=978-1-4614-1104-8|series=Universitext|issn=0172-5939|publisher=Springer|doi=10.1007/978-1-4614-1105-5|edition=2판|mr=2883440|언어고리=en}}
* {{cite journal|title=Lectures on Morse theory, old and new|first=Raoul|last=Bott|authorlink=라울 보트|journal=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new series)|volume=7|issue=2|date=1982-09|pages=331–358|issn=0273-0979|mr=663786|doi=10.1090/S0273-0979-1982-15038-8|언어고리=en}}
* {{cite journal|title=Lectures on Morse theory, old and new|first=Raoul|last=Bott|authorlink=라울 보트|journal=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new series)|volume=7|issue=2|date=1982-09|pages=331–358|issn=0273-0979|mr=663786|doi=10.1090/S0273-0979-1982-15038-8|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이름=Raoul|성=Bott|저자고리=라울 보트|제목=Morse theory indomitable|doi=10.1007/BF02698544|mr=1001450|날짜=1988|저널=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권=68|호=1|쪽=99–114|issn=0073-8301|언어고리=en}}
* {{cite journal|title=Commentary on “Lectures on Morse theory, old and new”|first=Daniel S.|last=Freed|journal=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issn=0273-0979|volume=48|date=2011|pages=517–523|doi=10.1090/S0273-0979-2011-01349-0 |mr=2823021|언어고리=en}}
* {{cite journal|title=Commentary on “Lectures on Morse theory, old and new”|first=Daniel S.|last=Freed|journal=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issn=0273-0979|volume=48|date=2011|pages=517–523|doi=10.1090/S0273-0979-2011-01349-0 |mr=2823021|언어고리=en}}
* {{cite book|title=Lectures on Morse Homology|series=Kluwer Texts in the Mathematical Sciences|volume=29|issn=0927-4529|volume=29|last=Banyaga|first=Augustin|coauthors=David Hurtubise|date=2004|isbn=978-1-4020-2695-9|doi=10.1007/978-1-4020-2696-6|publisher=Kluwer|mr=2145196|언어고리=en}}
* {{cite book|title=Lectures on Morse Homology|series=Kluwer Texts in the Mathematical Sciences|volume=29|issn=0927-4529|volume=29|last=Banyaga|first=Augustin|coauthors=David Hurtubise|date=2004|isbn=978-1-4020-2695-9|doi=10.1007/978-1-4020-2696-6|publisher=Kluwer|mr=2145196|언어고리=en}}

2013년 9월 20일 (금) 16:49 판

미분위상수학에서, 모스 이론(영어: Morse theory)은 다양체위상수학을 그 위에 정의된 매끈한 함수로 분석하는 분야이다. 이 경우 함수의 임계점을 통해 다양체의 호몰로지를 다룰 수 있다.

전개

모스 함수와 모스 지표

콤팩트 미분다양체라고 하고, 그 위에 매끈한 함수 이 있다고 하자. 임계점들은 헤시안 행렬이 0인 의 부분집합이다. 특이점 모스 지표(영어: Morse index)는 에서의 헤시안 행렬의 음의 고윳값의 수이고, 라고 쓰자.

모스 함수(영어: Morse function)는 모든 임계점들의 헤시안 행렬이 비퇴화 형식인 함수다. 매끈한 함수 의 공간 위에 임의의 리만 계량을 가해, 다음과 같은 일련의 노름들로 프레셰 공간의 구조를 줄 수 있다.

이 프레셰 위상을 위상이라고 하고, 리만 계량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위상에 따라, 모스 함수들의 부분공간은 조밀집합이다.

세포 구조

콤팩트 미분다양체 위에 모스 함수 가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로 정의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 만약 사이에 의 임계값이 없다면, 미분동형이다.
  • 만약 의 임계점이고, 또한 이외 다른 임계점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세포를 추가한 공간과 호모토피 동치이다.

따라서, 모스 함수 는 다양체 호모토피 동치세포 복합체를 결정짓는다. 이 세포 복합체에서 지표가 인 특이점은 차 세포에 대응된다.

모스 부등식

지표가 인 특이점의 수를 라고 하자. 그렇다면 세포 복합체의 호몰로지 이론에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베티 수이고, 오일러 지표다. 또한, 세포 복합체 호몰로지로부터 다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를 약한 모스 부등식(영어: weak Morse inequality)이라고 한다.

약한 모스 부등식을 다음과 같은 강한 모스 부등식(영어: strong Morse inequality)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모든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모스 호몰로지

콤팩트 미분다양체 의 호몰로지를 다음과 같이 모스 이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호몰로지를 모스 호몰로지(영어: Morse homology)라고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콤팩트 미분다양체 위에 임의의 리만 계량 와 모스 함수 를 정의하자. 이 경우 그 기울기 벡터장 을 정의할 수 있다. 각 임계점 에 대하여, 의 안정 부분공간(stable subspace) 과 불안정 부분공간(unstable subspace) 을 정의할 수 있다. 만약 모든 임계점들의 안정 부분공간과 불안정 부분공간이 횡단교차(틀:En)한다면 (즉, 모든 에서 이라면) 순서쌍 모스-스메일(영어: Morse–Smale)이라고 한다. 이는 마스턴 모스스티븐 스메일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의 기울기 흐름(gradient flow)은 의 임계점들을 연결시킨다. 두 임계점 , 사이의 기울기 흐름들의 모듈러스 공간 을 정의하자. 이 모듈러스 공간의 차원은 임계점들의 모스 지표의 차의 절댓값과 같다.

모스-스메일 구조 가 주어진 콤팩트 미분다양체 위에, 모스 사슬 복합체(영어: Morse chain complex) 는 모스 지표가 인 임계점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이며, 그 위에 정의된 경계 연산자

로부터 시작하는 의 기울기 흐름들의 (부호가 붙은) 종점들의 합으로 대응시킨다. 이 사슬 복합체로부터 정의한 호몰로지

모스 호몰로지라고 한다. 이는 모스-스메일 구조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으며, 또한 다른 호몰로지 이론(특이 호몰로지, 드람 호몰로지 등)과 일치함을 보일 수 있다.

역사와 어원

마스턴 모스 이전에도 이미 아서 케일리[1]제임스 클러크 맥스웰[2] 등이 측량학에 관련하여, 곡면 위에 정의된 높이 함수의 특이점들을 고려하였다.

마스턴 모스변분법을 연구하면서 모스 이론을 1934년 도입하였다.[3] 이후 모스는 평생을 주로 모스 이론을 연구하는 데 바쳤다.

1950년대에, 라울 보트는 모스 이론을 특이점들이 고립돼 있지 않고 닫힌 집합을 이루는 경우로 확장한 모스-보트 이론(영어: Morse–Bott theory)을 도입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위상 K이론보트 주기성(영어: Bott periodicity)을 증명하였다.[4][5][6]

1982년에 에드워드 위튼은 모스 이론을 초대칭 양자역학을 사용하여 재정의하였다. 이를 모스-위튼 이론(영어: Morse–Witten theory)이라고 한다.[7]

참고 문헌

  1. Cayley, Arthur (1859). “On Contour and Slope Lines”. 《Philosophical Magazine (series 4)》 18 (120): 264-268. doi:10.1080/14786445908642760. 
  2. Maxwell, James Clerk (1870). “On hills and dales”. 《Philosophical Magazine (series 4)》 40 (269): 421–427. doi:10.1080/14786447008640422. 
  3. Morse, Marston (1934). 《The Calculus of Variations in the Larg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Colloquium Publication 18. New York: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JFM 60.0450.01. 
  4. Bott, Raoul (1956). “An application of the Morse theory to the topology of Lie-groups”. 《Bulletin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84: 251–281. ISSN 0037-9484. MR 0087035. 
  5. Bott, Raoul (1957). “The stable homotopy of the classical group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43: 933–935. ISSN 0027-8424. JSTOR 89403. MR 0102802. 
  6. Bott, Raoul (1959). “The stable homotopy of the classical groups”.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70: 313–337. ISSN 0003-486X. JSTOR 1970106. MR 0110104. 
  7. Witten, Edward (1982). “Supersymmetry and Morse theory”.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17 (4): 661–692. MR 683171. Zbl 0499.53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