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34번째 줄: 634번째 줄:
}}</ref> [[2009년]] [[6월 23일]], 예정대로 5만원권은 발행되었으나, 10만원권 발행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ref> [[2009년]] [[6월 23일]], 예정대로 5만원권은 발행되었으나, 10만원권 발행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최근 2만원권 발행이 검토되고 있다.
최근 2만원권 발행이 검토되고 있다.

== 이천원권 기념지폐 발행 계획 ==

[[2016년]] [[5월 29일]], 한국은행은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기념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사상 최초로 기념지폐 발행을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news.donga.com/3/all/20160529/78381311/1
|제목=한국은행,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기념지폐 만든다…사상 최초
|출판사=동아일보
|저자=김상수 기자
|날짜=2016-05-29
|확인일자=2017-01-08
}}</ref> [[2016년]] [[12월 15일]], 한국은행은 이 기념지폐의 액면가는 2000원이며, 규격은 가로 140㎜, 세로 75㎜이라고 발표하였다. 실제 발행시기는 2017년 4분기이며, 약 280만장이 발행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ref>{{뉴스 인용
|url=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6121500156
|제목=한은, 내년 4분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 발행
|출판사=메트로신문
|저자=이봉준 기자
|날짜=2016-12-15
|확인일자=2017-01-08
}}</ref>


==각주==
==각주==

2017년 1월 8일 (일) 02:08 판

대한민국 원
大韓民國 원1 (한자)
대한민국 원의 화폐와 은행권 (1원과 5원은 현재 통용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원의 화폐와 은행권 (1원과 5원은 현재 통용되지 않는다)
ISO 4217 코드 KRW
중앙은행 한국은행
웹사이트 bok.or.kr
사용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인플레이션 1.3%
출처 [1], 2016년 2월 기준, 전년동월대비
보조단위
1/100 전(錢)
(이론적으로 존재하며, 사용되지 않음)
기호
복수형 이 통화의 언어는 형태학적 복수 구분이 없다.
동전 ₩10, ₩50, ₩100, ₩500
지폐 ₩1000, ₩5000, ₩10,000, ₩50,000
인쇄처 한국조폐공사
웹사이트 www.komsco.com
  1. 옛 원한자 였으나,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원은 한글로만 쓰여져 있다.[1]

대한민국통화이다. 1902년에서 1910년 사이에 "원"이라는 이름으로 통화가 최초로 유통되었으며 대한민국의 통화로 등장하는 것은 1945년에서 1953년 무렵이다. 현재의 원화는 1962년에 도입되었다. 한자 圓(원)의 표기는 1953년 화폐 개혁 이전에 사용하던 표기로서, 지금은 예전의 원과 구별하기 위해 한자 없이 한글로만 표기한다. 원화의 하부 단위로 1/100의 가치를 지닌 ""(錢)이 있었으나 현재에는 회계용으로만 사용된다. ISO 4217 코드는 KRW이고 기호로는 를 사용한다.

주화

1966년부터 1982년까지 만들어진 동전

1966년부터 1982년까지 만들어진 동전[2]
사진 액면 크기 도안 발행
앞면 모습 뒷면 모습 지름 무게 재질 앞면 도안 뒷면 도안 도안 연도 최초 발행일 발행 중단일
₩1 17.2 mm 1.7 g 황동
60% 구리
40% 아연
무궁화 액면 숫자,
중앙 은행 이름,
발행 연도
1966년 1966년 8월 16일 1980년 12월 1일
0.729 g 100% 알루미늄 1968년 1968년 8월 26일
₩5 20.4 mm 3.09 g 황동
88% 구리
12% 아연
거북선 1966년 1966년 8월 16일
2.95 g 황동
65% 구리
35% 아연
1970년 1970년 7월 16일
₩10 22.86 mm 4.22 g 황동
88% 구리
12% 아연
불국사 다보탑 1966년 1966년 8월 16일
4.06 g 황동
65% 구리
35% 아연
1970년 1970년 7월 16일
₩50 21.6 mm 4.16 g 70% 구리
18% 아연
12% 니켈
이삭 1972년 1972년 12월 1일
₩100 24 mm 5.42 g 백동
75% 구리
25% 니켈
이순신 1970년 1970년 11월 30일 1976년 한 해 동안만
일시 중단
1977년부터
다시 발행

현재 주조하지 않는 동전

현재 주조하지 않는 동전[3]
사진 액면 크기 도안 발행
앞면 모습 뒷면 모습 지름 무게 재질 앞면 도안 뒷면 도안 제작 연도 최초 발행 발행 중지
₩1 17.2 mm 0.729 g 100% 알루미늄 무궁화 액면 숫자,
중앙 은행 이름,
발행 연도
1983년 1983년 1월 15일 1992년[4][5]
₩5 20.4 mm 2.95 g 황동
65% 구리
35% 아연
거북선 1983년 1983년 1월 15일 1992년[6][5]
₩10 22.86 mm 4.06 g 황동
65% 구리
35% 아연
불국사 다보탑 1983년 1983년 1월 15일 2006년[7]

현재 주조되는 동전

현재 주조되는 동전[8]
사진 액면 크기 도안 발행
앞면 모습 뒷면 모습 지름 무게 재질 앞면 도안 뒷면 도안 제작 연도 최초 발행 발행 중지
₩10 18 mm 1.22 g 구리 도금 알루미늄
48% 구리
52% 알루미늄
불국사 다보탑 액면 숫자,
중앙 은행 이름,
발행 연도
2006년 2006년 12월 18일
₩50 21.6 mm 4.16 g 70% 구리
18% 아연
12% 니켈
이삭 1983년 1983년 1월 15일
₩100 24 mm 5.42 g 백동
75% 구리
25% 니켈
이순신
₩500 26.5 mm 7.7 g 두루미 1982년 1982년 6월 12일

1 원, 5 원, 10 원 동전은 1966년 8월 16일부터 발행되었다. 당시 1 원 동전의 재료가격이 액면가를 넘자 1968년 8월 26일에 소재를 구리아연에서 알루미늄으로 변경했으며, 5 원 동전은 1970년 소재 배합 비율이 변경되었다. 10 원 동전은 5 원 동전과 함께 소재 배합 비율을 한 번 변경했으나, 2000년대 들어 다시 재료가격이 액면가를 넘어 2006년 소재와 크기를 변경하였다. 500원 동전은 1980년대 초반에 처음 제작되었으며 500원을 제외한 모든 현행 동전은 1983년에 도안이 변경되었다.

1998년에 발행된 500원짜리 동전은 IMF 구제금융사건의 영향으로 극소량(8,000 개)만 발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중유통용이 아닌 기념용 현용주화세트에 들어간 것으로 단 8000개만 제작되었고,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은 약 1000개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매우 희소성이 높다.[9]

은행권

1962년부터 1979년까지 공개한 은행권

권종 사진 가치 크기 색상 도안 날짜 변경사항
앞면 뒷면 앞면 뒷면 최초발행 발행정지
1차 시리즈 (1962년)
일원권 ₩1 94 × 50 mm 분홍색 한국은행 휘장 액면 1962년 6월 10일 1970년 5월 20일
오원권 ₩5 파랑색 1969년 5월 1일
십원권 ₩10 108 × 54 mm 초록색 1962년 9월 1일
오십원권 ₩50 156 × 66 mm 주황색 총석정 봉화, 액면 1970년 5월 20일
백원권 ₩100 초록색 독립문 1969년 2월 14일
오백원권 ₩500 회색 숭례문 1967년 2월 3일
2차 시리즈 (1962년)
십전권 \1/10 90 × 50 mm 파랑색 액면 1962년 12월 1일 1980년 12월 1일
오십전권 \1/2 갈색
십원권 ₩10 140 × 63 mm 자주색 첨성대 거북선 1962년 9월 21일 1973년 10월 30일
오십원권 ₩50 149 × 64 mm 초록,주황,파랑색 파고다공원 봉화, 무궁화 1969년 5월 21일
백원권 ₩100 156 × 66 mm 초록색 독립문 경회루 1962년 11월 1일
백원권 세종대왕 한국은행 본부 1965년 8월 14일 1980년 12월 1일
오백원권 ₩500 165 × 73 mm 갈색 숭례문 거북선 1966년 8월 16일 1975년 5월 10일
오천원권 ₩5,000 167 × 77 mm 갈색 이이 한국은행 본부 1972년 7월 1일 1980년 12월 1일
만원권 ₩10,000 171 × 81 mm 갈색 세종대왕, 무궁화 경복궁 근정전 1973년 6월 12일 1981년 11월 10일
3차 시리즈 (1973년)
오백원권 ₩500 159 × 69 mm 초록색분홍색 이순신, 거북선 현충사 1973년 9월 1일 1993년 5월 12일
천원권 ₩1,000 163 × 73 mm 자주색 이황, 무궁화 도산서원 1975년 8월 14일 1993년 5월 12일
오천원권 ₩5,000 167 × 77 mm 주황색 이이 오죽헌, 무궁화 1977년 6월 1일 1993년 5월 12일
  • 용지에 3종류 색사 첨가
만원권 ₩10,000 171 × 81 mm 초록색 세종대왕, 자격루 경회루, 무궁화 1979년 6월 15일 1993년 5월 12일
  • 용지에 3종류 색사 첨가

1983년부터 2002년까지 공개한 은행권

권종 사진 가치 크기 색상 도안 날짜 변경사항
앞면 뒷면 앞면 뒷면 최초발행 발행정지
4차 시리즈 (1983년)[10]
천원권 ₩1,000 151 × 76 mm 자주색 이황
투호
도산서원 1983년 6월 11일 2005년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오천원권 ₩5,000 156 × 76 mm 주황색 이이
벼루
오죽헌 1983년 6월 11일 2002년 1월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오천원권 2002년 6월 12일 2005년
  • 홀로그램 문자가 인쇄된 부분노출은선, 숨은막대 신규 적용
  • 숨은그림과 시각장애인용 점자 크기 확대 및 요판심도 강화
만원권 ₩10,000 161 × 76 mm 연두색 세종대왕
자격루
경회루 1983년 10월 8일 1993년 9월
  • 앞뒤판맞춤, 시각장애인용 점자 신규 적용
만원권 1994년 1월 20일 2000년 1월
  • 부분노출은선, 미세문자, 요판잠상, 광간섭무늬 등 신규 적용
만원권 2000년 6월 19일 2005년
  • 색변환잉크, 돌출은화 신규 적용
  • 부분노출은선 폭 확대 및 개수 축소, 숨은그림 크기 확대
  • 광간섭무늬 제거

2006년부터 공개한 현용 은행권

권종 사진 가치 크기 색상 도안 최초 발행일 변경사항
앞면 뒷면 앞면 뒷면
5차 시리즈 (2006년부터 만들고 있는 현용 지폐)[11][12]
천원권 ₩1,000 136 × 68 mm 파란색 이황
성균관 명륜당
매화
정선계상정거도 2007년 1월 22일
  • 색변환잉크, 부분노출은선, 요판잠상,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오천원권 ₩5,000 142 × 68 mm 주황색 이이
오죽헌
대나무
신사임당의 초충도 2006년 1월 2일
  • 홀로그램, 숨은은선, 요판잠상, 색변환잉크, 미세문자, 돌출은화 신규 적용
  •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숨은막대, 볼록인쇄 효과 강화
만원권 ₩10,000 148 × 68 mm 초록색 세종대왕
일월오봉도
혼천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 천문대 망원경
2007년 1월 22일
  • 홀로그램, 숨은은선(부분노출은선 대체), 숨은막대 신규 적용
  •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그림, 앞뒤판맞춤, 볼록인쇄 효과 강화
오만원권 ₩50,000 154 × 68 mm 노란색 신사임당
묵포도도
초충도수병
어몽룡의 월매도
이정의 풍죽도
2009년 6월 23일[13]

한국은행은 2006년 1월 2일 화폐위조의 위험을 줄인 새로운 오천원권 지폐를 새로 출시했고, 이어서 2007년 1월 22일에는 천원권과 만원권 지폐도 출시했다. 새 화폐에는 위조방지기능(홀로그램, 색변환잉크, 요판잠상, 숨은은선, 앞뒤판 맞춤, 미세문자, 숨은그림, 돌출은화, 숨은막대, 볼록인쇄, 형광색사, 엔드리스 무늬, 무지개색 인쇄)이 많이 추가되었다. 또한 기존의 지폐에 인쇄된 일련번호가 "가나다"로 시작되는 것과 달리 "ABC"로 시작된다. G, I를 제외하고 A에서 L까지의 문자가 들어가는데 일련번호 표기 방식은 "AA0000000A"로 이루어진다. 이는 국가간 외환 거래시의 신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위조 지폐 관련 범죄 발생시 국가간 공조 수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련번호를 영문자로 변경한 것이다.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의 인물 초상은 각각 이유태, 이종상, 김기창 화백이 그렸다.

2009년 2월 25일에 한국은행은 새로 발행될 5만원권의 도안을 공개하였다. 앞면에는 신사임당의 초상, "묵포도도"와 보물 595호인 "초충도수병"이 들어가고, 뒷면에는 조선 중기 화가인 어몽룡의 "월매도"와 이정의 "풍죽도"를 넣었는데 기존의 지폐와는 달리 일부분을 세로로 디자인했다.

지폐에 채택되는 위조 방지 장치

일반인들이 위조를 구분하도록 띠 홀로그램을 부착하였다. 이는 기존의 5천 원권, 1만 원권 앞면에 작게 홀로그램이 부착된 것과는 달리 왼쪽 숨은 그림 옆에 부착하였다. 왼쪽 끝 부분에 특수필름으로 부착된 띠형 홀로그램은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태극, 한반도, 4괘의 무늬가 상·중·하 3곳에 배치됐고 무늬 사이에는 숫자 '50000'이 들어가 있다. 특히 오만원권에만 존재하는 태극무늬 띠의 속에 그려진 태극 문양은 희한하게도 지폐를 좌우로 움직이면 태극무늬는 상하로 움직이며 마찬가지로 지폐를 상하로 움직이면 태극무늬는 좌우로 움직인다.

또한 1000원권에 장착된 부분 노출 은선과 유사한 입체형 부분 노출 은선이 적용되었다. 입체형 부분노출 은선은 청회색 특수필름 띠에 여러 개의 태극무늬가 새겨져 지폐를 상하로 움직이면 좌우로, 좌우로 움직이면 상하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입체형 부분 노출 은선 부분을 건드리면 틈새가 벌어지는데, 이 틈새는 지폐를 잘못 만든 것이 아니냐는 오해를 샀다. 그러나 이는 첨단 칼라 복사기에 의한 위조 방지 요소의 일부이다.

또한 색 변환 잉크와 숫자를 숨기는 볼록 인쇄 기법 등의 기능이 강화되었다. 전문가들을 위한 위조 방지 장치로 자외선이나 X선을 비추면 녹색 형광 색상이 드러나는 형광 잉크 등이 사용되었다.[12]

일련 번호의 경우 오른쪽으로 갈수록 글자 크기가 커진다. 예를 들어 일련번호 AA0000000A라는 화폐가 있다고 할 때 맨 왼쪽의 글자 크기는 맨 오른쪽의 글자 크기의 약 4분의 3 크기이다. 맹인을 위한 점자는 원형이 아니라 왼쪽과 오른쪽 절단면 부분에 돌출된 다섯 가닥의 선이 점자 역할을 한다. 요판 잠상은 기존 권종과는 달리 오른쪽 하단에 위치해 있는 원형 무늬이며 지폐를 기울였을 경우 "5"라는 숫자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숨은 그림 아래에 위치한 돌출 은화로서 무궁화 무늬 바탕에 5라는 숫자가 새겨져 있다. 이 밖에 신사임당 초상 옷깃 아래 부분에는 한글 닿소리 14글자가 미세 문자로 인쇄되어 있다. 뒷면에는 사선 모양으로 뻗은 매화 나무 줄기 가운데에 "BANK OF KOREA"라는 미세 문자가 숨어 있다.

오만원권의 장단점과 문제점

고액권의 발행은 화폐 발행 후 이를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 절감 뿐만 아니라 자기앞 수표의 발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007년 한국은행에 따르면 고액권을 발행할 경우 수표 발행 및 취급에 들어가는 연간 2800억원과, 1만원권의 발행으로 들어가는 관리 비용 연간 4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지폐 휴대 장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이동 및 관리, 보안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이 밖에 수표 사용시마다 개인 정보(특히, 자신의 성명 및 주민 등록 번호)를 이서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단점으로는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 고액권이기 때문에 같은 수량 및 부피로 환산하면 최고 5배 가까운 금액의 암거래를 막을 수 없고, 현금이기 때문에 정확한 자금 출처 및 경로를 추적할 수 없다. 이 외에도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기존 4만 5천 원 이었던 물건이 고액권 영향으로 5만 원으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5만원권은 5000원권과 색상이 비슷해 혼동할 수 있다[14]

발행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오만원권 인쇄 부분인 50000의 '5'자 일부분이 홀로그램 위에 인쇄되었기 때문에 손톱으로 손쉽게 지워지거나, 입체형 부분 노출 은선이 삽입된 부분이 벌어지는 취약점을 드러내기도 했다.[15] 그러나 한국은행은 임의의 오만원권에 똑같은 방식으로 틈새를 만든 뒤 ATM 기기에 넣고 실험한 결과 ATM 기기에는 이상이 없다고 발표했으며, 덧붙여 고의로 훼손하지 말것을 알리기도 했다. 또한 이 틈새는 첨단칼라복사기 방지를 위한 것이라고 외환은행 금융기관영업부 서태석 부장이 밝혔다.[16]

신사임당을 그린 이종상은 자신이 김은호의 제자라고 말하지만,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7]

대한민국의 역대 통화조치

환율

1990년 1월부터의 한국 원과 미국 달러의 환율의 그래프

원화는 서울 중심의 현물환 시장, 부산 한국거래소선물 옵션 시장, 뉴욕 차액 결제 선물환(NDF) 시장, 시카고 상업거래소 선물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진다.

다음은 2016년 2월 14일 17시57분 매매기준율로 KEB 하나은행 기준율이다.

  • 1 미국 달러 (USD) = ₩ 1,208.00
  • 1 유로 (EUR) = ₩ 1,361.54
  • 100 일본 엔 (JPY) = ₩ 1,072.82
  • 1 중국 위안 (CNY) = ₩ 184.87
  • 1 영국 파운드 (GBP) = ₩ 1,752.69
  • 1 캐나다 달러 (CAD) = ₩ 868.44
  • 1 스위스 프랑 (CHF) = ₩ 1,236.56
  • 1 홍콩 달러 (HKD) = ₩ 155.11
  • 1 덴마크 크로네 (DKK) = ₩ 182.45
  • 1 스웨덴 크로네 (SEK) = ₩ 143.79
  • 1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달러 (AUD) = ₩ 857.92
  • 1 뉴질랜드 달러 (NZD) = ₩ 804.65
  • 1 러시아 루블 (RUB) = ₩ 15.23
  • 1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SAR) = ₩ 322.09
  • 1 쿠웨이트 디나르 (KWD) = ₩ 4,050.29
  • 1 바레인 디나르 (BHD) = ₩ 3,204.75
  • 1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AED) = ₩ 328.89
  • 1 싱가포르 달러 (SGD) = ₩ 865.64
  • 1 말레이시아 링깃 (MYR) = ₩ 289.76
  • 1 신 타이완 달러 (TWD) = ₩ 36.59
  • 1 태국 바트 (THB) = ₩ 33.96
  • 1 필리핀 페소 (PHP) = ₩ 25.44
  • 100 인도네시아 루피아 (IDR) = ₩ 8.97
  • 1 터키 리라 (TRY) = ₩ 413.2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과의 관계

2009년 11월 3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화폐 개혁을 실시하기 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0원은 대한민국의 1원 정도의 가치를 가졌다. 기존의 100원을 1원으로 바꾸는 화폐 개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원은 대한민국의 원화로 약 10.5원 정도의 가치를 지닌다(2014년 연평균 환율 기준).

고액권 발행 계획

2007년 5월 2일, 한국은행은 2009년 상반기에 5만원권과 10만원권을 발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하였고, 같은 해 11월 5일에 고액권의 초상 인물로 10만원권에는 김구, 5만원권에는 신사임당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18] 2009년 6월 23일, 예정대로 5만원권은 발행되었으나, 10만원권 발행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최근 2만원권 발행이 검토되고 있다.

이천원권 기념지폐 발행 계획

2016년 5월 29일, 한국은행은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는 2018년 동계 올림픽을 기념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사상 최초로 기념지폐 발행을 발표하였다.[19] 2016년 12월 15일, 한국은행은 이 기념지폐의 액면가는 2000원이며, 규격은 가로 140㎜, 세로 75㎜이라고 발표하였다. 실제 발행시기는 2017년 4분기이며, 약 280만장이 발행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20]

각주

  1. Bank of Korea. “화폐 < 홍보교육자료 < 우리나라 화폐단위 변경 | 한국은행 홈페이지. #1”. 2012년 11월 24일에 확인함. 한글로만 표기" → Translation: "Spelling in hangul only 
  2. “화폐연대표 1962년~1970년”. 한국은행. 2016년 3월 15일에 확인함. 
    “화폐연대표 1970년~1982년”. 한국은행. 2016년 3월 15일에 확인함. 
  3. “Korean Currency in Use” (영어).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확인함. 
    부산본부 (2006년 12월 12일). “새 10원 동전, 12. 18(월)부터 발행” (hwp). 한국은행. 2006년 12월 12일에 확인함. 
  4.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2100329117015&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2-06-21&officeId=00032&pageNo=17&printNo=14442&publishType=00010
  5. 기념용 현용주화세트에 들어가는 주화는 현재도 해마다 일정량 발행된다.
  6.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2100329117015&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2-06-21&officeId=00032&pageNo=17&printNo=14442&publishType=00010
  7.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others/newsview?newsid=20061211115405379
  8. “Korean Currency in Use” (영어).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확인함. 
    부산본부 (2006년 12월 12일). “새 10원 동전, 12. 18(월)부터 발행” (hwp). 한국은행. 2006년 12월 12일에 확인함. 
  9. "1998년도 500원 있으세요?" 팔면 100만원!, 머니투데이, 2012년 6월 15일 작성.
  10. “화폐연대표 1982년~2005년”. 한국은행. 2016년 3월 15일에 확인함. 
  11. “화폐연대표 2006년 이후”. 한국은행. 2007년 5월 25일에 확인함. 
  12. '신사임당 초상' 5만원권 첫선 《세계일보》 2009년 2월 25일 20:26, 《미디어다음》에서 2009년 3월 14일 1:22 확인
  13. “5만원권 다음달 23일 나온다”. 연합뉴스. 2009년 5월 24일. 
  14. “고액권 발행되면… 화폐·수표 유통 줄어 연간 3200억 절감”. 쿠키뉴스.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5. “5만원권 이번엔 숫자 ‘5’ 지워지는 현상”. 경향신문. 2009년 6월 29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6. “40년 위폐감별 전문가가 본 5만원권 논란”. 노컷뉴스. 2009년 7월 3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17. “5만원권 도안 화가, '이당 선생' 제자 맞나?”. 노컷뉴스. 2009년 6월 16일. 2009년 6월 22일에 확인함. 
  18. 김상수 기자 (2008년 1월 1일). “10만원권 ‘회색’ 5만원권 ‘황색’”. 동아일보. 2008년 7월 26일에 확인함. 
  19. 김상수 기자 (2016년 5월 29일). “한국은행,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기념지폐 만든다…사상 최초”. 동아일보. 2017년 1월 8일에 확인함. 
  20. 이봉준 기자 (2016년 12월 15일). “한은, 내년 4분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기념은행권 발행”. 메트로신문. 2017년 1월 8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