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동

베트남 동 | |
---|---|
베트남어: đồng Việt Nam | |
ISO 4217 코드 | VND |
중앙은행 | 베트남 은행 |
웹사이트 | https://www.sbv.gov.vn/ |
사용국 | ![]() |
보조단위 | |
1/10 | 하오 (hào) |
기호 | ₫ |
동전 | 200₫, 500₫, 1000₫, 2000₫, 5000₫ |
지폐 | 100₫, 200₫, 500₫, 1000₫, 2000₫, 5000₫, 10 000₫, 20 000₫, 50 000₫, 100 000₫, 200 000₫, 500 000₫ |
인쇄처 | 베트남 은행 |
베트남 동(베트남어: đồng/
목차
어원[편집]
동(đồng)이라는 말은 동전(베트남어: đồng tiền/
역사[편집]
베트남어로 동은 돈 또는 청동을 의미한다. 프랑스에 식민지화 되기 전에는 동화가 유통되었고, 통화단위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다. 베트남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된 후 프랑스어로 달러를 의미하는 피아스톨이 통화단위였다. 피아스톨은 베트남어에서는 동 혹은 은을 의미하는 바크(베트남어: bạc/
동전[편집]
최초 발행[편집]
1978년 알루미늄으로 만든, 1, 2, 5하오와 1동짜리 동전이 발행되었다. 만성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몇 년 동안 유통되지 못했다.
두 번째 발행[편집]
구리와 황동, 구리-니켈, 은화, 금화 기념 주화가 1986년부터 오늘까지 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동전들은 유통이 되지 않았다.
2003년 발행[편집]
베트남 은행은 2003년 12월 7일부터 동전 발행을 재개하였다. 새 동전은 핀란드 조폐국의 도움을 받았으며, 동전 단위가 200, 500, 1000, 2000, 그리고 5000동이 있었다.
지폐[편집]
최초 발행[편집]
1978년 베트남 은행이 5하오와 1, 5, 10, 20, 50₫짜리 지폐를 발행하였다. 1980년에 2, 10₫이 추가 되었고, 1981년에는 30, 100₫짜리 화폐가 발행되었다.
두 번째 발행[편집]
1985년 5하오와 1, 2, 5, 10, 20, 30, 50, 100동 그리고 500₫짜리 지폐가 발행되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자, 1987년에는 200, 1000, 2000, 5000₫짜리 지폐가 발행되었고, 1990년에는 1만₫, 5만₫이, 1991년에는 2만₫이 추가되었고, 94년에는 10만₫이, 2003년에는 50만₫이 2006년에는 20만₫짜리 화폐가 추가되었다.
다섯 가지 종류의 지폐가 있다. 현재 2003년에 발행된 지폐 외에, 이전에 발행된 지폐는 다소 복잡하고, 통일된 디자인이 되지 못하였다.
2007년 6월 7일에는 5만₫과 10만₫ 종이 지폐의 발행을 중지를 명하고, 2007년 9월 1일부터 회수에 들어갔다.
수표[편집]
경제 발전에 따른 대단위 돈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은행은 10만~500만₫에 해당하는 가계 수표를 발행하였다. 위조를 막기 위해서 위조방지에 노력을 하였고, 5~6개월마다 디자인을 변경하였고, 발행일로부터 5~6개월 이내에 만료되도록 하였다.
이전 화폐[편집]
북베트남 동[편집]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1946년 통화발행법령을 발표하고 북베트남 동을 독자적으로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1976년 통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화폐를 발행, 유통시켰다.
남베트남 동[편집]
베트남국과 베트남 공화국은 1953년부터 1975년까지 남베트남 동을 발행, 유통시켰다.
1953년 이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화폐였던 피아스트르가 사용되었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