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오세티야
남오세티야 공화국 | |||||
---|---|---|---|---|---|
오세트어: Республикӕ Хуссар Ирыстон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Южная Осетия | |||||
| |||||
국가 | 남오세티야의 국가 | ||||
![]() | |||||
수도 | 츠힌발리 북위 42° 14′ 00″ 동경 43° 58′ 00″ / 북위 42.233333° 동경 43.966667° | ||||
정치 | |||||
공용어 | 오세트어, 러시아어, 조지아어 | ||||
정치체제 | 공화제, 이원집정부제, 미승인 국가 | ||||
대통령 | 아나톨리 비빌로프 | ||||
총리 | 도멘티 쿨룸베고프 | ||||
역사 | |||||
사실상 독립 | 조지아로부터 독립1 | ||||
• 독립 선언 | 1991년 11월 28일 | ||||
지리 | |||||
면적 | 3,885km2 | ||||
시간대 | (UTC+3) | ||||
DST | 없음 | ||||
인구 | |||||
2004년 어림 | 70,000명 | ||||
인구 밀도 | 18명/km2 | ||||
경제 | |||||
통화 | 루블, 라리 (AMD) | ||||
남오세티야(오세트어: Хуссар Ирыстон 후사르 이러스톤, 조지아어: სამხრეთი ოსეთი 삼흐레티 오세티, 러시아어: Южная Осетия 유즈나야 오세티야[*], 문화어: 남부오쎄찌야)는 조지아 안에 있는 사실상의 독립 상태로 통치되는 지역이다.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지만, 러시아와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등 소수만이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조지아 정부는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수도는 츠힌발리이다.
주민[편집]
주민의 상당수는 오세트인 (89.1%)이며, 그 밖에도 조지아인 (8.9%), 러시아인 (1.0%), 우크라이나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있다. 인구는 2012년 자료로 약 5만 2천 명이다.
남오세티야지역에 살던 조지아인들이 2008년 조지아-남오세티야 전쟁으로 인해 1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피난을 가거나 사망하여 2007년에 남오세티야 인구의 25.0%를 차지했던 조지아인들은 2012년 8.9%로 줄어들었다.
주요 언어는 오세트어이지만 러시아어, 조지아어도 사용된다. 현재 러시아의 세베로오세티야 공화국과 같이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남오세티야는 사실상의 독립국이다. 하지만 남오세티야 지역에 조지아가 폭동을 일으켰다는 것을 빌미로 삼아 러시아가 조지아의 기지를 폭격하였고 조지아와 러시아 간 전쟁이 발발되었다.[1]
전쟁 이후인 2008년 8월 25일에는 러시아 의회가 압하스 공화국과 더불어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지지하기로 결의하였다.[2] 그리고 독립이 인정된 이후에는 남오세티야에 러시아 군사기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3] 9월 2일에 러시아는 압하스 공화국과 남오세티야와 군사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4] 2008년 10월 8일에 러시아군은 남오세티야 부근에서 최종 철군작업을 시작했다. [5] 남오세티야는 2009년 5월 31일에 총선이 시작되었으며 6월 1일에 개표결과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유럽 연합은 남오세티야의 총선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6]
한편, 2009년 9월 10일,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을 방문한 베네수엘라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베네수엘라가 조지아 내 독립지역인 압하지야 공화국과 남오세티야 공화국이 독립국임을 인정한다고 발언하여, 베네수엘라가 러시아, 니카라과(2008년 9월 5일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함)에 이어 남오세티야에 대한 독립 승인을 인정한 3번째 국가가 되었음을 알렸다.[7]
나우루는 2009년 12월 16일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했다. 투발루는 2011년 9월 18일 남오세티야의 독립을 승인했지만 2014년 3월 31일 조지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철회했다.
외교[편집]
독립 승인 국가[편집]
유엔 회원국[편집]
나라 | 독립 승인일 | 비고 |
---|---|---|
![]() |
2008년 8월 26일 | 2008년 9월 9일 수교. |
![]() |
2008년 9월 5일 | 2010년 4월 14일 수교. |
![]() |
2009년 9월 10일 | 2010년 7월 9일 수교. |
![]() |
2009년 12월 16일 | 2009년 12월 16일 수교. |
유엔 비회원국[편집]
나라 | 독립 승인일 | 비고 |
---|---|---|
![]() |
2006년 11월 17일 | 2007년 9월 26일 수교. |
![]() |
2006년 11월 17일 | |
![]() |
2006년 11월 17일 |
독립 승인 철회 국가[편집]
나라 | 독립 승인 기간 | 비고 |
---|---|---|
![]() |
2011년 9월 19일 ~ 2014년 3월 31일 | 2011년 9월 19일 수교, 2014년 3월 31일 단교. |
각주[편집]
- ↑ 러시아, 그루지야 기지 폭격 … 사실상 전면전
- ↑ 러' 상원, 남오세티야 독립 인정 지지(1보)
- ↑ 러시아, 남오세티야에 군사기지 설치할듯
- ↑ 러, 남오세티야-압하지야와 군사협정 체결
- ↑ 그루지야 영토내 러시아 군, 최종 철군작업 개시
- ↑ EU "남오세티야 총선 인정 못 해"
- ↑ 베네수엘라, 조지아 내 두 자치영토 독립 인정
같이 보기[편집]
- 세베로오세티야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
외부 링크[편집]
유럽의 나라 | ||
---|---|---|
나라 | ![]() | |
속령 | ||
미승인 국가 | ||
아시아의 나라와 지역 | ||
---|---|---|
독립국 |
| ![]() |
속령 | ||
미승인 국가 | ||
|
종류 | 지역 | 실질적 지배 | 분쟁 국가 | |
육지: | 올리벤사 | ![]() |
![]() ![]() | |
지브롤터 | ![]() |
![]() ![]() | ||
나고르노카라바흐1 | ![]() |
![]() ![]() | ||
쥐트티롤 | ![]() |
![]() ![]() | ||
체첸 | ![]() |
![]() ![]() | ||
코소보 | ![]() |
![]() ![]() | ||
북이피로스 | ![]() |
![]() ![]() | ||
칼리닌그라드 주 | ![]() |
![]() ![]() | ||
북키프로스1 | ![]() |
![]() ![]() | ||
프스코프 주 | ![]() |
![]() ![]() | ||
마케도니아 | ![]() |
![]() ![]() | ||
벨기에 | ![]() |
![]() ![]() ![]() ![]() ![]() | ||
카탈루냐 | ![]() |
![]() ![]() | ||
스코틀랜드 | ![]() |
![]() ![]() | ||
동부 우크라이나 | ![]() |
![]() ![]() | ||
크림 반도 | ![]() |
![]() ![]() | ||
남오세티야1 | ![]() |
![]() ![]() | ||
압하지야1 | ![]() |
![]() ![]() | ||
트란스니스트리아 | ![]() |
![]() ![]() | ||
바스크 | ![]() |
![]() ![]() | ||
북아일랜드 | ![]() |
![]() ![]() | ||
가가우지아 | ![]() |
![]() ![]() | ||
네움 | ![]() |
![]() ![]() | ||
섬과 해역: | 피란 만 | ![]() ![]() |
![]() ![]() | |
이미아/카르다크 섬1 | ![]() ![]() |
![]() ![]() | ||
다뉴브 강 수역 | ![]() ![]() |
![]() ![]() | ||
주(註): | 1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2활동적으로 주장하고 있지 않음. 3셋 이상의 국가가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4서로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5미승인국. 6망명 정부 7일방적으로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 8모국으로부터의 독립 요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