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 디나르
바레인 디나르 | |
---|---|
아랍어: دينار بحريني | |
ISO 4217 코드 | BHD |
중앙은행 | 바레인 중앙은행 http://www.cbb.gov.bh |
사용국 | ![]() |
인플레이션 | 3.5%[1] |
고정 비율 | 미국 달러 (0.376:1) |
보조단위 | |
1/1000 | 필스 |
기호 | .د.ب(아랍 문자), BD(로마자) |
동전 | 5, 10, 25, 50, 100, 500 필스 |
지폐 | BD ½, BD 1, BD 5, BD 10, BD 20 |
바레인 디나르(아랍어: دينار)는 바레인의 통화이다. 공식 코드는 BHD이다. 1 디나르는 1000 필스로 나뉜다. 디나르라는 이름은 고대 로마의 은화 명칭에서 유래한다고 전한다. 바레인 디나르는 걸프 루피를 10 루피 = 1 디나르의 비율로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바레인 디나르는 아랍어로 .د.ب 로 쓰거나 라틴어로 BD라고 쓴다.
동전
[편집]1965년, 액면 1, 5, 10, 25, 50, 100 필스 동전이 도입되었다. 1 ,5, 10 필스 동전은 청동으로 만들었고 다른 동전은 백동으로 만들었다. 1 필스 동전은 1966년 이후 발행되지 않으며 유통도 되지 않는다. 1992년 5, 10 필스 동전은 황동으로 제조하고 있다. 함께 100필스 짜리 동전은 바이메탈 동전으로 만들게 되었다. 바이메탈 동전인 500필스는 2000년에 도입되었다.
지폐
[편집]1965년 바레인 통화 기관은 100 필스, ¼, ½, 1, 5, 10 디나르 지폐를 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1973년 바레인 통화기구(the Bahrain Monetary Agency)가 조폐 발행권을 이관받았다. 이때부터 ½, 1, 5, 10, 20 디나르만 발행 및 유통되었다. 2006년 통화기구의 명칭이 바레인 중앙 은행으로 개칭되었지만 아직까지 화폐에 새로운 이름은 명시되지 않은 채 여전히 바레인 통화 기구로 표시되어 통용되고 있다.
현재의 시리즈 | |||||
---|---|---|---|---|---|
그림 | 액면 | 색 | 설명 | ||
앞면 | 뒷면 | 앞면 | 뒷면 | ||
½ 디나르 | 갈색 | ||||
1 디나르 | 빨간색 | ||||
5 디나르 | 파란색 | ||||
10 디나르 | 녹색 | ||||
20 디나르 | 보라색 |
고정 환율
[편집]1980년 12월에 디나르는 공식적으로 IMF의 특별인출권(Special Drawing Rights, SDRs)에 고정되었다. 관행적으로 1 바레인 디나르는 2.65957달러이다.[2] 이 기준은 2001년 공식 제정된 것으로 몰타가 유로화를 도입하기 전까지 바레인 디나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가치가 높은 통화였다. 현재는 두 번째로 가치가 높은 화폐이다.
현재 BHD 환율 | |
---|---|
구글 파이낸스: | AUD CAD CHF CNY EUR GBP HKD JPY KRW USD |
야후! 파이낸스: | AUD CAD CHF CNY EUR GBP HKD JPY KRW USD |
XE.com: | AUD CAD CHF CNY EUR GBP HKD JPY KRW USD |
OANDA: | AUD CAD CHF CNY EUR GBP HKD JPY KRW USD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e World Factbook 보관됨 2018-12-25 - 웨이백 머신, 2007 est.
- ↑ “Exchange Rate Policy, Bahrain Monetary Agency”. 2006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6월 28일에 확인함.
- Krause, Chester L. and Clifford Mishler (1991).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1801-1991, 18th ed., Krause Publications. ISBN 0-87341-150-1.
- Pick, Albert (1994).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General Issues, Colin R. Bruce II and Neil Shafer (editors), 7th ed., Krause Publications. ISBN 0-87341-2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