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서 (1383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bs012600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7번째 줄: 47번째 줄:


[[1420년]](세종 2년) 윤정월에 광주판관(廣州判官)이 되었고, 봉상판관(奉常判官)으로 있으면서 의주·삭주도(義州朔州道)의 진제경차관(賑濟敬差官)으로 파견되었으며,
[[1420년]](세종 2년) 윤정월에 광주판관(廣州判官)이 되었고, 봉상판관(奉常判官)으로 있으면서 의주·삭주도(義州朔州道)의 진제경차관(賑濟敬差官)으로 파견되었으며,
[[1426년]](세종 8년) 4월에는 [[이조 (행정기관)|이조정랑]]으로서 전라도에 파견되어 침입한 왜인의 포획상황을 조사, 보고하였다.
[[1426년]](세종 8년) 4월에는 [[이조|이조정랑]]으로서 전라도에 파견되어 침입한 왜인의 포획상황을 조사, 보고하였다.
이후 [[1427년]](세종9년)에는 민정을 살피기 위하여 황해도 경차관으로 파견되었으며, [[1433년]](세종 15년) [[승정원|좌대언]]으로 이부지선(吏部之選)을 관장하도록 명령받았다.
이후 [[1427년]](세종9년)에는 민정을 살피기 위하여 황해도 경차관으로 파견되었으며, [[1433년]](세종 15년) [[승정원|좌대언]]으로 이부지선(吏部之選)을 관장하도록 명령받았다.



2014년 5월 18일 (일) 09:28 판

김종서
金宗瑞
출생1383년
고려 충청도 공주목
사망1453년 음력 10월 10일
조선 한성부
사인계유정난
성별남성
국적조선
별칭자 국경(國卿), 호 절제(節齋), 시호 충익(忠翼)
학력태종 5년 (1405) 을유 식년시 동진사 13위
직업문신, 군인, 정치가
종교유교
부모아버지 김추(金錘)
자녀장남 김승규
차남 김승벽
삼남 김승유
서자 김목대
서자 김석대
김종서(金宗瑞)
별명 대호(大虎)
출생지 고려 충청도 공주목
사망지 조선 한성부
복무 조선
최종계급 함길도병마도절제사, 충청·전라·경상 3도의 도순찰사
지휘 조선 육군
주요 참전 4군 6진 개척
기타 이력 의정부 우찬성

김종서(金宗瑞, 1383년[1]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명장이며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로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김종서는 흔히 무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문과에 급제한 문관 출신이다. 그의 6진 개척을 통한 북방 경영이 워낙 커다란 업적이기도 하고, 그의 생애 중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오해가 생겼다. 조선 초까지는 조선의 북방 국경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였지만, 최윤덕의 4군과 김종서의 6진 개척으로 인하여 국경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현재의 위치로 결정되었다. 충청도 출신이나, 부친과 선대의 고향이 전라도 순천부(현재 전남 순천시)였으므로 전라도 출신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생애

생애 초반

김종서는 1383년 (우왕 9년) 충청도 공주에서 아버지 김추(金錘)와 대사헌 배규(裵規)의 딸, 성주 배씨 사이에서 3남 중 둘째로 태어났다.

관료 생활

1405년(태종 5년)에 문과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415년(태종 15년) 상서원직장(尙書院直長)을 지냈고, 1418년(세종 원년) 11월 사헌부감찰로서 강원도의 답험손실로 원성이 크자 조정에서는 그에게 다시 조사토록 하였다. 1419년(세종 1년) 3월에는 행대감찰(行臺監察)로서 충청도에 파견되어 진휼상황을 조사하였고, 이어 사간원 우정언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꾸준히 관료로서 성장해 나갔다.

1420년(세종 2년) 윤정월에 광주판관(廣州判官)이 되었고, 봉상판관(奉常判官)으로 있으면서 의주·삭주도(義州朔州道)의 진제경차관(賑濟敬差官)으로 파견되었으며, 1426년(세종 8년) 4월에는 이조정랑으로서 전라도에 파견되어 침입한 왜인의 포획상황을 조사, 보고하였다. 이후 1427년(세종9년)에는 민정을 살피기 위하여 황해도 경차관으로 파견되었으며, 1433년(세종 15년) 좌대언으로 이부지선(吏部之選)을 관장하도록 명령받았다.

같은해인 1433년(세종 15년)에 최윤덕의 파저강 정벌에 이어 북방의 정세를 살피기 위해 함길도(함경도) 도관찰사(都觀察使)로 임명되어 국경 지역의 사령관으로 파견되었다. 세종은 김종서에게 명하여, 고려윤관이 쌓은 9성 중에 공험진이 어디인지를 실제로 확인해서 보고하라고 하였고, 그것을 확인한 뒤 김종서로 하여금 공험진을 되찾으려고 하였다. 그 과정 중에 약 7~8년간 노력한 결과 개척된 것이 6진인데, 이는 두만강까지 경계를 이루는 현재의 국경선이 되었다. 다시 반환하자는 반대론이 상당했다고 당시의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2]

1435년 함길도 병마도 절제사를 겸직하며, 양인의 정세를 탐지·보고하여 그 비변책(변방을 지키는 방법)을 건의했고, 1440년 형조와 예조의 판서를 지낸 후, 세종의 특명으로 예조판서가 된 후, 판예조사로 승진되었다. 1445년(세종27년)에는 충청·전라·경상 3도의 도순찰사로 파견되었으며, 1446년 의정부 우찬성이 되었다.

1449년 권제(權踶) 등이 수정하여 쓴 《고려사》가 공정하지 못하여 왕명으로 개찬(改撰)하게 되자, 지춘추관사 총책임을 맡아 1451년 간행했다. 평안도 도절제사를 거쳐 1450년 좌찬성으로 평안도 도체찰사를 겸직하였으며, 이듬해 우의정에 오르고 1452년 《세종실록》의 총재관을 거쳐 《고려사절요》의 편찬을 감수하여 간행했다.

김종서는 집현전 학사들과 더불어 세종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다. 이후 문종이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승하하면서 김종서를 고명대신으로 정하고 단종을 잘 보호해 달라는 유고를 남겼다. 이는 정치적 야심이 큰 수양대군을 의식해서 그런 말을 남겼을 가능성이 크다.

그해 12세의 단종이 즉위하자 어린 왕을 보필했다. 3정승 직을 문종대에는 영의정에 황보인, 좌의정에 남지, 우의정에 김종서였으나 남지가 벙어리가 된 채 좌의정을 사임하자, 김종서가 좌의정을 우의정직에는 의정부 좌찬성 정분이 책임을 맡게됐다.

계유정난의 배경

1452년 단종이 즉위하자 선왕인 문종의 유명을 받들어 좌의정으로서 황보인·정분 등과 함께 단종을 보필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다. 그러나 정권을 장악하여 왕위를 획책하려는 야망을 품던 수양대군계유정난 중에 보낸 하인 임운에게 철퇴를 맞았다. 그러나 수양대군한명회등이 거사를 시행하던 중에 가까스로 살아나 가마를 탄채, 여장을 하고 수하 원구를 통해 사대문을 문을 열것을 말하자 열어주질 않으니 둘째며느리의 친정집으로 피신했으나, 새벽녘에 양정 등에게 발각되어 목이 잘려 비참한 죽음을 당했다. 당시에 양정이 "역적의 괴수 김종서는 나오너라!" 라고 하니 김종서의 마지막 남은 원구가 양정의 앞길을 막자 양정이 원구의 가슴을 미친듯이 난자하였다. 이번엔 이홍상이 "역도를 타도하니 썩나오너라" 라고 하였다. 이에 김종서가 방문을 열고, "네 이놈 양정, 네놈은 지난 날 내가 육진을 개척하던 중 내가 와서 도적들을 데려와 나를 협박하고 온갖 해괴한 짓을 하지 않았느냐! 그때 내가 인정으로 네놈을 살려주었건만 벌써 그 은혜를 잊었느냐" 하니 양정이 "시끄럽다. 니 놈은 지금 역적이니 내 그 죄를 묻는것이다. 서둘러 네놈은 형벌을 받으라" 하니 김종서가 "정승이 어찌 걸어나가겠느냐 초헌을 가져오너라" 라고 말을 하는 그 순간, 김종서는 순진하게도 자신이 투옥되는 줄 알고 있었다. 양정이 갑사들에게 김종서를 끌어내게 한 뒤, 김종서의 목을 칼로 베었다. 거사 다음날 아침에 자신의 아들인 김승규를 비롯해 황보인, 조극관, 민신, 이양 등과 함께 대역모반죄라는 누명을 쓰고 저자거리효시(梟示)되었다. 그러나 이를 눈물로 반대하던 재상 허조의 아들 허후 또한 유배를 가서 사약을 들이켰다. 혜빈 양씨는 목매어 죽는 교살을 당하고, 내시 엄자치는 제주도로 귀양가던 중 무참히 참살당하였다. 안평대군, 그의 아들 의춘군 또한 강화로 교동으로 유배를 갔다. 김종서, 그는 시대의 금기가 되고 71세라는 노인의 나이에 비참한 최후를 맞아야만 했던 비운의 명신이었다.

사후

사후 계유정난단종복위운동으로 노산군으로 강등된 단종은 끝내 죽게되고, 그와 죽은 인파는 너무 커서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에게도 불똥이 튀었다. 수양대군이 함길도는 아직 이징옥이 있어 위협을 느끼자 지난날 김종서를 탄핵하던 박호문을 함길도로 보낸다. 신임 함길도 도절제사가 되는것이다. 그러나 해임되는 이징옥은 믿지못했다. 자신이 아버지처럼 모시는 김종서가 도성에 큰일이 있기 전에 부르지 않겠다고 했기에 소수의 군사들을 이끌고, 박호문에게 물어보러간다. 박호문에게 수양이 난을 일으켜 죄상을 죽이고 어린왕을 겁박한다는 말을 듣자, 이에 반발하여 박호문을 죽이고 여진족의 추장들과 손을잡고 스스로를 대금황제로 칭하고 난을 일으키지만 종성판관 정종의 밀사로 난은 실패하였다. 이 난으로 훗날 이시애의 난이 일으키게 되는 사건이 되게 이어졌다. 김종서가 함길도와 친분이 두텁기 때문이다. 그의 신원은 그가 죽은 뒤 293년만에 영조때 복구되고 충익이라는 시호가 내려지고 지금까지 단종조의 충의의 상징으로 우리에게 기억된다.

6진 개척

야연사준도(夜宴射樽圖)

남부 만주지방에는 만주족들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들은 두만강과 압록강을 넘어 조선의 국경을 자주 침범하였다. 이 이민족을 '야인'(野人)이라고 불렀는데, 후에는 여진족으로 알려졌다. 고려 때부터 교역을 통하여 회유하기도 하고 무력으로 정벌하기도 하였지만 여진족과의 마찰은 계속 이어졌다. 조선 초에는 영변 이북지방으로 조선의 지배가 미치지 못하고 있었는데, 세종 이후로 조선이 안정되면서 국토가 침탈될 상황에 이른 북방에 주목하게 되었다.

당시 조선의 북방 진지는 정도전이 공주에 설치한 경원부였는데, 계속되는 여진족의 침입으로 방어하기가 어려워졌다. 그는 당시 백성들의 흉년으로 인해 국내문제 해결에 급급하는 조정을 반박하며 세종에게 올린 상소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남겼다.

백성이 굶주리고 나라재정이 바닥났다고 하여 오랑캐가 쳐들어 오지 않는다는 말입니까? 여진족이 뭉쳐서 군사가 일만이 되면 망한다고 경고한 사람이 있는데도 요나라는 여진족에 대한 아무런 방비를 하지 않다가 패망 했습니다.
 
— 김종서, 세종 29년 (1447년) 7월 27일, 세종실록

결국, 세종 15년(1433년) 평안도 지역에 계속되는 여진족의 침탈에 최윤덕을 평안도 절제사로 임명하여 동년 4월에 평안도와 황해도의 군사 15,000명을 동원하여 압록강의 지류인 파저강 유역의 이만주세력을 정벌시키면서 압록강 유역을 평정시켰다.

(상소문을 올린 것은 세종 29년이고 압록강 유역 평정은 세종 15년이라니,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으니, 역사학도들의 수정 바람)

이후 동년 10월 두만강 유역의 여진족 사이에 내분이 발생하여, 알목하의 추장인 동맹가첩목아 부자가 죽는 등 내부적인 여진족의 분열이 있었는데 이에 세종은 김종서를 함길도 관찰사로 임명하여 국토 회복 작업을 지시하였다. 김종서는 함길도 관찰사로 부임한 뒤 흩어진 민심을 추스르고, 함길도 남부 지방의 농가 2,200호를 경원부와 같은 북방 진지인 영북진으로 이주시켰다. 김종서는 먼저 회령을 공격하여 회령진을 설치하고 경원부도 더 북쪽인 경원으로 이동시키고, 경원부가 있던 지역에는 공성현을 설치하였다. 또한 종성과 온성에도 진을 설치 하여 동북면의 국경을 확정하였다.

김종서는 그 후 세종 22년(1440년)에 형조판서로 임명되어 중앙 조정으로 돌아온다. 세종의 북방 개척은 영토를 확장하는 의미뿐만 아니라 농토가 없는 농민에게는 새로운 생활 터전을 마련해주고, 국토를 균형있게 개발하여 국력을 증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학 작품

김종서가 무장으로 유명하나, 원래는 문과에 급제한 문인이다. 그는 안평대군의 시회에 참석하여 '몽유도원도시축'에 오언고시를 남겼다. 문신으로써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등의 간행에 힘쓰기도 하였다.

장백산(長白山)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을 씻겨
셕은 져 션비야, 우리 아니 사나희냐.
엇더타, 능연각(凌練閣) 상(上) 뉘 얼골을 그릴고

[3]

삭풍(朔風)은 나모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찬듸
만리변성(萬里邊城)에 일장검 집고 셔셔
긴 바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거시 업세라

[4]
  • 의미: 나라에 공을 세워 기린각에 초상화를 올릴 수 있는 사람은 썩은 선비가 아니라 변방을 지키는 군인들이라는 무인의 기개를 나타내었다.

송시열, 송준길 가문과의 관계

송준길의 7대조이며 송시열의 8대조 계사(繼祀)는 판관을 지냈으며 김종서의 동생 김종흥(金宗興)의 딸과 혼인했다. 순천 김씨는 김종서의 후손들이 난을 피해 공주에 숨어 있던 집안이다. 순천 김씨와의 사이에 두 아들 요년(遙年)과 순년(順年)을 두었다. 계사의 자손으로 동춘당 송준길과 우암 송시열이 요년과 순년 형제에서 갈라진다. 요년의 5대손이 송준길이다. 그리고 순년의 6대손이 송시열이다.[5]

가계 순천김씨

  • 할아버지: 김태영(金台泳)
    • 아버지: 김추(金錘)
    • 어머니: 성주 배씨(星州裵氏)
      • 형님: 김종한(金宗漢)
      • 동생: 김종흥(金宗興)
      • 부인: 파평 윤씨(坡平尹氏)
        • 장남: 김승규(金承珪)
        • 차남: 김승벽(金承璧)
        • 3남: 김승유(金承琉)
        • 4남: 김목대(金目臺, 서자)
        • 5남: 김석대(金石臺, 서자)

김종서를 다룬 작품

드라마
영화

기타

그의 생가터인 김종서 유허지(金宗瑞遺墟地)는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138-2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4호로 지정되어 공주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한편, 공주시 의당면 일부와 장기면 일부 지역으로 구성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의 '장군(將軍)'은 김종서를 가리키는 것이며, 의당면에 그의 생가터가 있고, 장군면에 그의 가 있는 데서 유래한다.

함께 보기

주석

  1. 일설에는 1390년생 출생설도 있다.
  2. <간도를 되찾자> 간도분쟁 정계비 이전에도 있었다 - 네이버 뉴스
  3. 현대어역:

    장백산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 씻기니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대장부냐
    어떻게 기린각 화상에 누가 먼저 오를까

  4. 현대어역:

    삭풍(朔風)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속에 찬데
    만리변성(萬里邊城)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5. 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88

바깥 고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조선초의 대외관계"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